본 연구는 RDA 및 ISBD 자원유형 기술방안을 비교하여 KCR4 자원유형 기술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RDA 혹은 ISBD 규칙의 내용유형(내용형식), 매체유형을 비교하기 위해 테스트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ISBD에 비해 RDA가 내용유형 기술에서 일관성과 정확성이 높았다. 특히, RDA 내용유형 리스트는 상세한 용어로 구성되어 있어 자원의 내용을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었지만, ISBD는 내용한정어를 결합하여 기술해야 하기 때문에 오류가 많았다. 결과적으로 RDA 및 ISBD로 내용유형 기술시 고려할 사항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RDA의 내용유형 용어 리스트가 보다 구체화되어야 한다. 둘째, ISBD 내용한정어 기술에 관한 명확한 세부 규정이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RDA와 ISBD 매핑표에서 ISBD의 내용형식에 내용한정어가 기술되어 있지만 정확한 매핑을 위해서는 일부 수정이 필요하다. 넷째, 국내 자원유형 기술방식에서 RDA와 같이 일관성과 정확성이 높은 용어리스트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KCR4 내용유형 및 매체유형 기술방식으로 적합한 용어리스트를 모색하기 위해 2개 규칙의 자원유형 기술방법을 비교분석하고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겠다.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escription of content types(content forms) and media types of RDA and ISBD in order to revise GMD of KCR4. Test and survey were conducted as the research methods for comparing content types and media types description of RDA and ISBD. As a result, RDA content types description is better than ISBD in aspects of uniformity and correct rates. Especially, detailed list of content types in RDA could make the resources to be expressed completely, but content forms with adding the content qualification in ISBD could make the resource to be expressed with many errors. Therefore, there were some considerations to describe content types. First, content types terms in RDA need to be specified more. Second, some detailed rules need to be regulated on the combination of content qualification of ISBD. Third, the mapping tables between RDA content types and ISBD content forms need to be revised. Fourth, RDA content types list will be more applicable in KCR4 based on the uniformity and correct rates in the tes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nalyze and suggest RDA and ISBD terms list of content types and media types for KCR4.
이미화. 2011a. KCR4 GMD 및 SMD 기술의 새로운 방안 모색.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2(2): 237-255.
이미화. 2011b. RDA 자원유형의 KCR4 적용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28(3): 103-121.
이미화. 2012. ISBD 통합판의 서지기술 특징 및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6(4): 169-188.
Bertolini, M. V. 2012. “The new ISBD area 0 and the teaching of cataloging of non-book materials.” JLIS.it, 3(1): 4794-1-4794-49. [online]. [cited 2013.1.10]. <dialnet.unirioja.es/descarga/articulo/3947078.pdf>.
Dunsire, G. 2007. “Distinguishing content from carrier: the RDA/ONIX framework for resource categorization." D-Lib Magazine, 13(1/2). [online]. [cited 2011.3.10]. <http://www.dlib.org/dlib/january07/dunsire/01dunsire.html>.
ISBD Review Group. 2012. Mapping of RDA Content Types to ISBD Content Forms and Media Types. [online]. [cited 2012.10.5]. <http://www.ifla.org/node/5618>.
JSC for Development of RDA. 2010. RDA: Resource Description and Access. Chicago: ALA. [online]. [cited 2012.3.10]. <http://www.rdatoolkit.org/subscribe>.
JSC for Revision of AACR. 2006. RDA/ONIX Framework for Resource Categorization. [online]. [cited 2013.3.15]. <http://www.rda-jsc.org/docs/5chair10.pdf>.
Standing Committee of the IFLA Cataloguing Section. 2011. ISBD : International Standard Bibliographic Description(ISBD). Consolidated edition. Berlin: Sau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