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한 태안지역의 사회경제적 변동 사회적 재난의 파편화(fragmentization)와 사사화(privatization)

Socio-economic change of TaeAhn resulted from Hubei Spirit Oil Spill: Fragmentization and Privatization of Social Disaster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0, v.0 no.34, pp.142-184
박순열 (서울대학교)
홍덕화 (서울대학교)

Abstract

허베이 스피리트 기름유출사고는 연안생태계를 심각하게 파괴하였을 뿐 아니라태안지역에 심각한 사회적, 경제적 피해를 야기하였다. 비록 연안생태계와 지역공동체가 제자리를 찾아가는 것으로 보이지만, 회복은 지연되고 불균등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 논문은 복원의 지연을 총체적인 접근과 분절화된 접근이라는 인식방법에서의 대립과 사사화와 사회화라는 사회적 대응양식의 대립이라는 두 개의틀로 분석한다. 정부는 기름유출사고에 총체적인 접근을 시도한 듯 보이나, 생태적,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심리적인 피해간의 상호작용을 진지하게 다루지 않았다. 그 결과는피해와 복원을 주로 경제적 보상과 법적 이해당사자간의 해결로 다루게 된다. 삼성중공업은 사고에 대한 분절화된 인식과 사고 책임을 법적인 것으로 환원, 지역주민들의 회유를 통해 해결과정을 사사화함으로써 책임을 최소화하려했다. 피해대책위원회는 주로 IOPC로부터의 경제적 보상에 치중함으로써 지역주민들의 총체적인 인식과 사회화 전략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 많은 지역주민들이 대책위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철회하였다. 이런 상황과 더불어 지역의 보수적인 사회정치적 조건은 지역공동체가 전체적이고 갈등을 사회화하는 전략을 추진할 수 있는 집합적 행동의 여지를 거의 주지 않았다. 그 때문에 태안지역에서의 사회적 복원과정은 지연되고 불균등하게 나타나고 있다.

keywords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사회적 재난, 파편화, 사사화, 환경 갈등, 공동체 복원, 태안, Hu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social disaster, fragmentization, privatization, environmental conflict, TaeAhn, community recovery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 2010.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 피해보상 백서 (미발간).

2.

김교헌·권선중.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주민들의 심리적 건강에 미친 영향」. ≪환경사회학연구 ECO≫, 12(1), 83~107쪽.

3.

김교헌·권선중. 2009. 「태안 주민들의 재난 후 스트레스 반응: 사고 후 2개월과 8개월 시점의 지역별 비교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13(1), 89~125쪽.

4.

김도균. 2010. 「환경재난에 의한 어촌마을의 주민갈등과 사회자본」. ≪환경사회학연구 ECO≫, 14(1), 125~165쪽.

5.

노진철.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초기대응과 재난관리의 한계」.≪환경사회학연구 ECO≫, 12(1), 43~82쪽.

6.

노진철. 2009. 「고도 불확실성의 재난상황에서의 삶의 질 저하에 대한 인지와 소통:허베이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13(1), 49~88쪽.

7.

박순열. 2007. 「환경갈등의 사법적 해결: 그 의미와 한계」. 2007년도 춘계환경사회학대회 발표문.

8.

박재묵. 2008. 「환경재난으로부터 사회재난으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사회적 대응분석」. ≪환경사회학연구 ECO≫, 12(1), 7~42쪽.

9.

박재묵·이정림.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자원봉사자 분석: 의사결정 요인과 봉사자의 성격을 중심으로」. ≪환경사회학연구 ECO≫, 13(1), 173~216쪽.

10.

생태지평. 2010. 삼성중공업 해상크레인-허베이 스피리트호 유조선 충돌 유류유출 사고에 따른 환경영향 조사보고서 .

11.

서해안유류사고대책지원총괄본부. 「2010 주요업무 추진계획」(10/2/17), 「농림수산식품부장관 방문 결과보고」(10/2/22).

12.

유류피해대책위 연합회.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삼성중공업 유류오염사고 2주년 보고대회” 자료집.

13.

이시재. 2008.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사회영향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12(1), 109~144쪽.

14.

이시재.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의 생태적, 경제적, 사회적 영향 연구」, ≪환경사회학연구 ECO≫, 13(1), 127~171쪽.

15.

태안군. 2010a.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오염사고 백서 (미발간).

16.

태안군. 2010b.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 사고의 이해 (소책자).

17.

태안환경보건센터.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관련 중장기 건강영향조사 1차결과 발표회” 자료집.

18.

홍덕화·구도완. 2009.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한 사회갈등: 갈등의 제도화와 공동체의 해체」. ≪환경사회학연구 ECO≫, 13(1), 7~47쪽.

19.

환경운동연합. 2009. 사람과 자연, 생명의 연대를 위하여: 삼성중공업 기름유출사고 2주년 환경운동연합 활동백서 .

20.

Cardona, O. D. 2004. “The Need for Rethinking the Concepts of Vulnerability and Risk from a Holistic Perspective: A Necessary Review and Criticism for Effective Risk Management.” in G. Bankoff, G. Frerks and D. Hilhorst(eds.). Mapping Vulnerability: Disasters, Development and People. London: Earthscan.

21.

Davis, Nancy Y. 1996. “The Exxon Valdez Oil Spill, Alaska.” in J. K. Mitchell(Eds.). The Long Road to Recovery.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2.

Dryzek, J. 1995(1987). Rational Ecology: Environment and Political Economy. 환경문제와 사회적 선택: 정치·경제 생태론 (최승 외 옮김. 신구문화사).

23.

Edelstein, M. R. 1988. Contaminated Communities: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Impacts of Residential Toxic Exposure. Westview Press.

24.

E. E. Schattschneider. 2008(1975). The Semisovereign People: A Realist’ view of Democracy in America. 절반의 인민주권 (현재호·박수형 옮김. 후마니타스).

25.

Iijima, Nobuko, 1992, “Social Structures of Pollution Victims.” Ui, Jun(ed.). Industrial Pollution in Japan.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Press.

26.

Oliver-Smith, A. 2004. “Theorizing Vulnerability in a Globalized World: A Political Ecological Perspective.” in G. Bankoff, G. Frerks and D. Hilhorst(eds.). Mapping Vulnerability: Disasters, Development and People. London: Earthscan.

27.

≪대전일보≫

28.

≪연합뉴스≫

29.

≪태안신문≫

30.

≪한겨레신문≫

31.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is.kr/

32.

관광지식정보시스템, http://www.tour.go.kr/

33.

태안군 통계연보, http://www.taean.go.kr/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