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마을공동체와 시설이라는 공간적 재현 및 지식으로 오롯이 환원될 수 없는 음성 나환자촌의 공간성을 주로 1950년대와 1960년대 아카이브를 통해 연구하는 과정에 대해 논한다. 특히 음성나환자촌 분석의 시작점에서부터 드러나는 마을과 시설의 재현 사이 잔여(residue)에 주목하며 발전시켜 나가는 연구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 잔여적 감정과 관계, 세계에 집중하는 유감/수치의 정동을 감각하고 체현하는 ‘볼 빨간 연구자’를 제안한다. 그럼으로써 이 ‘볼 빨간 연구자’가 노이즈적 아카이브와 더불어 음성나환자촌의 공간성을 탐구해 가는 과정이 어떻게 한국의 집단수용시설 공간 연구를 해체적으로 확장해 갈 가능성을 담지하고 있는지 논한다. 이를 위해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나는 유감/수치의 정동이 기존 사회과학과 사회운동 영역에서 개인적 차원의 순간적인 감정일 뿐 아니라 세계에 끊임없이 닿고자 하는 흥미와 관심의 신체적 반응/표현으로 논의되어 왔음을 분석한다. 이 연장선상에서 나는 근대적 개인 단위의 연구자를 넘어서는 가능성을 담지한 연구자로 ‘볼 빨간 연구자’를 제안한다. 둘째, 기존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아카이브 방법론에서 ‘노이즈’를 중심으로 한 방법론적 전환을 논의한다. 이를 통해 아카이브를 이미 하나의 의미로 재현이 완료되고 고정된 과거가 아닌, 기표와 기의 사이 지속적으로 미끄러지는 오어법(catachresis)하에 서 파생되는 찰나적 상태로 제안한다. 셋째, 나의 박사학위논문 연구 계획과 현장연구에서 마주한 다층적인 유감/수치의 순간들이 어떻게 마을과 시설 사이 음성나환자촌의 공간성을 탐구해 나갈 추진력으로 작동하였는지 살핀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research process of villages for negative leprosy patients, which cannot be reduced to either community or long-term welfare institutions, mainly through archives from the 1950s and 1960s. I propose a “researcher with a blush” who feels and embodies shame, an affect that focuses on residual emotions, relationships, and the world. I show how the process of exploring the residual spatiality of villages for negative leprosy patients by the researcher with a blush, along with the archives of noises, has the potential to deconstructively expand the study of institutionalization in Korea. Specifically, I first analyze the ongoing discussion of shame in the social sciences and social movements, not only as a temporal, personal emotion but also as an affective commons that is a bodily response and an expression of interest in constantly touching and engaging with the world. Second, I examine the methodological shift from data-centric to noise-centric archival practices. I suggest the archive as an ephemeral state resulting from a constant slippage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under catachresis rather than as a stasis fixed in an absolute representation. Third, I delve into the moments of shame that generate a new way of encountering the villages for negative leprosy patients by detailing my archival collection process.
비재현 이론(Non-Representational Theory) 논의에서 출발하는 비재현적 접근법은 인지 이전에 일어나는 신체적 경험과 일상적 실천, 예기치 못한 사건, 정동의 흐름에 관심을두며 기존의 재현주의적인 사회과학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못했던 세계의 비재현성을 체현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시도이다. 비재현적 접근법은 ‘재현되지 않았던 것’, ‘재현될 수 없는 것’을 학술연구의 차원에서 다루고자 한다는 점에서, 단순한 이론의 교체를 넘어 방법론과 연구자 주체성, 연구의 매체와 같은 학술연구의 전반적 과정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재검토하기 위한 논의를 촉발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소고에서는 비재현 이론과 비재현적 연구의 간략한 개념과 의의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비재현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 이러한방법론을 수행적으로 실천하는 연구자 주체성, 체현된 비재현성을 재현 너머의 양식으로전달할 수 있는 연구 매체의 필요성을 논한다. 지식 생산 과정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들을 경유하며, 이 논의는 학술연구의 다양한 경로와 언어의 확보를 통한 ‘학술적인 것’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에 대한 요청으로 종합된다. 여러 어려움과 위험에도 불구하고, 비재현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 주체성, 매체에 대한 대안적 상상과 실천은 관념주의적 인식론과 학술적 글쓰기를 중심으로 영토화된 학술연구의 장에 활기를 불어넣고 그 외연을 개방적으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Non-Representational approaches oriented from Non-Representational Theory(NRT) seek to address 'the unrepresented' in research, prompting a reassessment of the components that shape academic studies, such as methodology, researcher subjectivity, and research media, going beyond mere theory replacement. In this context, the study briefly delves into the fundamental notions and importance of NRT and associated research, discussing the necessity of corresponding methodologies, the role of researcher subjectivity in practical application, and the media through which the embodied 'unrepresented' can be conveyed. Despite potential difficulties and risks, envisioning alternative ways for methodology, subjectivity, and media in non-representational research ca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xpansion of academic research which territorialized around representational epistemology and academic writing.
본 글은 2012년부터 지난 11년간 서울시 곳곳에서 열리고 닫히며 대안적인 먹거리 실천의윤리를 만들어가는 ‘마르쉐@’ 농부시장에 대한 사례연구로, 농부시장의 먹거리 실천들이 만들어가는 집합적 정동 — 농의 정동 — 의 자생적인 힘을 탐색한다. 특히 농부시장의 먹거리를 매개로 펼쳐지는 ‘물질-담론적 실천(material-discursive practices)(Barad, 2003)’ 의 정동적 성격에 주목하여 이러한 실천들이 시장의 안팎으로 퍼져나가며 먹거리 실천의 윤리를 재조정해 가는 과정을 분석한다. 나아가 이에 대해 ‘연구’하는 과정에서 현장의 정동과연구자가 마주치고 어긋나는 지점들을 적극적으로 드러내는 정동연구의 글쓰기 방법을 탐색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에코페미니즘, 생태주의 또는 먹거리 체계의 대안적인 규범과 같이 몇 가지 담론만으로 농부시장의 실천들을 틀 지우지 않을 때 비로소 생동하는 ‘물질-담론적 실천’의 힘을 전달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한국의 여성환경운동의발생과 그 실천적·이론적 흐름을 집대성한 문순홍의 ‘다시 있게 함(restoration)’이라는 생태적 감수성을 만들어가는 전략의 언어를 재료로 삼아 다음을 질문하고, 대답해 볼 것이다. ‘마르쉐@’ 농부시장은 우리의 일상에 무엇을 다시 있게 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 노원구 중계동 은행사거리를 사례로 하여 한국의 학군 형성의 역사와 그의미를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학군이라는 개념의 시작은 1968년 중학교 무시험 전형에서 비롯되며, 초기 학군 설정은 중학교 입시 폐해 해소와 인구 분산에 있었다. 70년대 서울시의 강남 이전 계획은 명문 학교를 집중시켜 학군의 의미를 중산층 주거지의 주요 요인으로 변화시켰다. 이때부터 학군은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인자가 되었으며, 학군병, 학군 프리미엄이라는 단어를 만들어냈다. 매년 바뀌는 입시제도와 교육환경의 변화에따라, 학군의 영향력은 과거보다 감소하였으나 상징적·은유적인 차원에서 학군의 의미는여전히 유효하게 작용하고 있다. 사례 지역의 경우, 1990년대 초반에서 중반 사이 건설된중계2지구 택지개발사업을 통해 소득수준이 유사한 집단이 중계동 은행사거리 주변 아파트 단지로 이주했다. 또한 은행사거리는 제한된 상업지구의 발달로 사교육 시장이 밀집하여 성장하였고, 노원구청의 적극적인 지원에 따라 ‘강북의 대치동’으로 불리며 명문 학군의이미지를 획득하였다. 도시 구성체로서 학군은 단순히 교육기관의 집중을 의미하는 것이아니라 입시제도의 역사적 변천과 도시 개발 계획으로 인한 인구학적 변화, 교육을 통한 계급 유지에 대한 욕망 등이 뒤엉켜 나타난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history and meaning of school district formation in Korea based on the case of Eunhaeng crossroads in Junggye-dong, Nowon-gu. The beginning of the concept of a school district comes from the 1968 middle school non-examination, and the initial school district setting was in eliminating the middle school entrance examination and dispersing the population. In the 1970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s plan to relocate Gangnam concentrated prestigious schools, transforming the meaning of school districts into a major factor in middle-class housing; from then on, school districts became a key factor influencing real estate prices, coining the words school district sickness and school district premium. As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hange every year, the influence of the school district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ast, but the symbolic and metaphorical meaning of the school district still works effectively. As an example, the Junggye-dong Bank Intersection originated from the development of the Junggye 2 district housing site in 1993, and caused the movement of groups with similar income levels. In addit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a limited commercial district called the Bank Crossroad,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has grown densely and has been developed into a prestigious school district called Daechi-dong of Gangbuk with the active support of Nowon-gu Office. As an urban construct, the school district does not simply mean the concentr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ut i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of the history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demographic changes caused by urban development plans.
이 연구에서는 채식 운동의 한 형태로 등장한 채식지도 만들기에 주목해서 채식지도와 지리적 상상력의 관계를 관계적·물리적·재현적 차원의 장소성이란 틀로 분석했다. 이를 위해자발적으로 제작된 채식지도 여섯 종을 선정하고 해당 지도를 만든 사람들 아홉 명을 연구참여자로 섭외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채식지도에 기입된 정보와 메시지, 물성과 함께지도를 공유하는 SNS나 홈페이지의 게시물과 댓글 등의 자료도 수집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채식 운동 참여자들은 채식지도를 협력하며 유대감을 느끼는 관계의 장소로, 채식의개념과 가치를 노출하고 전시하는 물리적 장소로, 지속가능한 사회에 대한 지리적 상상력을 표상하는 재현적 장소로 활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채식지도가 단순히 채식음식점을 표기하는 지도의 기능을 넘어 참여자들의 지리적 상상력을 상호 구성하는 하나의대안적 장소로 역할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role of vegan-location mapping as an integrated form of the veganism movement, by analyzing its relationship with the geographical imagination of mapmakers through the lens of relational, physical, and representational placeness. For this purpose, six national and local vegan maps, created voluntarily by individuals, were selected and nine mapmakers who created them were recruited and interviewed as our research participants. We also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through messages and properties inscribed in the maps, as well as through posts and comments on social media and websites that share the maps. We found that participants in the vegetarian movement utilize vegan maps as a relational site of collaboration and bonding, a physical site of exposure and display of vegetarian concepts and values, and a representational site of geographical imaginaries of sustainable societi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vegan maps function as more than just a map merely displaying vegan locations, but as alternative places for the mutual construction of participants’ geographical imaginaries.
본 연구는 도시공간적 현상으로서의 플랫폼(화)에 관한 국내의 경험적 논의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플랫폼 어바니즘의 실재를 탐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본 연구는 서울 신촌 일대의 샵인샵 배달음식점 29개소의 입지와 경관을 중심 사례로 플랫폼과 도시공간이 관계 맺는 방식을 분석했다. 샵인샵은 하나의 점포에서 여러 개의 하위 브랜드를 동시에 운영하는 업태를 의미하는데, 특히 샵인샵 배달음식점들은 배달플랫폼을 매개로 하위 브랜드를 추가·변경·삭제하며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배달플랫폼과의 관계에서 촉진되는 도시 문화의 변형을 드러내며, 신촌의 샵인샵에서 플랫폼과 도시공간의 서로다른 입지 논리는 (어떻게) 뒤섞이는지, 그리고 이와 같은 입지 논리가 음식경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했다. 사례 점포들은 스스로의 영업에 유리한 조건으로 온라인 플랫폼의 논리와 오프라인 공간의 지역적 조건을 접합함으로써, 온·오프라인의 공간성을 혼성하는 입지를 (재)구성하고 있었다. 또한 하위 브랜드 단위의 모바일 집객 노력과는 달리, 현장의 점포 단위에서 배달 바이크 이외의 다른 접근을 배제하는 ‘캄캄한’ 음식경관을 생산하고 있었다. 이에 대해 분석하며 본 연구는 플랫폼 논리가 도시공간에 그대로 이식되는 것이아니며, 플랫폼 논리와 도시공간의 지역적 요인 간의 관계 맺기 과정에서 플랫폼 도시가 공구성(co-construction)됨을 확인했다.
This research explores platform urbanism from the critical approach that previous studies in South Korea have not sufficiently addressed platformization as an urban spatial phenomen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nalyzes the way how platform and urban space relate by focusing on the locations and scapes of 29 food delivery shop-in-shop stores on Sinchon area in Seoul. Shop-in-shop is a business type that operates multiple sub-brands simultaneously in one store, and they are easily managed to add, change and delete brands through delivery platforms. In order to reveal the transformation of urban culture facilitated by delivery platforms, this research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do the different logic of platform and urban space intermingle in shop-in-shop stores on Sinchon?" and 2) How do these logics of location affect the foodscapes? The studied stores that managed shop-in-shop food delivery were (re)constructing store locations that mix online and offline spatialities by articulating online platform logics and the local conditions of offline spaces under favorable conditions for their business. In addition, many of them were producing “dark” foodscapes at the store scale that precluded access other than by delivery bike, in contrast to their mobile efforts for attracting customers to their sub-brands. Through this analysis, this research confirms that the logic of platform is not transplanted 'just as it is' into urban space, but platform city is co-construc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between platform logics and local factors in urban space.
스마트 도시에 대한 담론은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도시문제를 해결한다는 기능주의적비전과 그것의 기술 중심적 의도에 대한 비판 논의가 주를 이루어왔다. 이러한 담론들과 무관하게 여러 도시에서 스마트 도시 실험이 진행되어 왔으며, 다른 한편에서는 데이터 기술이 우리 일상 대부분의 사물에 급속히 스며들어 도시적 삶에서 근원적인 것이 되어가고 있다. 이 글은 향후 도시에서 ‘디지털 기술’이 분리될 수 없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스마트 도시를 이데올로기적 담론이 그려내는 상상물로서 비판하는 것을 넘어 디지털 세계의 도시적 실천으로서 인식할 것과 그것의 구체적 형식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 먼저 스마트 도시 비판 담론의 사각지대와 규범적 접근의 한계를 지적한다. 다음은 스마트 도시가 기술·사회·공간의 통합을 추구하면서 데이터 기술과 함께 도시성 자체가 동시에새롭게 구성되는 메커니즘을, 주체와 사회적 상호작용의 영역에서 관련 논의와 사례를 들어 살펴본다. 이어서 스마트 도시와 같은 ‘깊은 정보화’ 도시에서 공공성이 처하게 될 딜레마를 살펴보고 새로운 공공성의 개념이 필요하다는 점을 설명한다. 마지막으로는 기술·도시 결합물의 양식으로서 사물과 공간의 알고리즘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알고리즘분석을 스마트 도시 현상을 분석하는 비판적 방법론의 하나로서 제안한다.
The discourse on smart cities has been dominated by a functionalist vision of leveraging data technology to solve urban problems, and critiques of its technocratic intentions. Regardless of this discourse, smart city experiments have been conducted in several cities, and on the other hand, data technologies are rapidly permeating things in our daily lives and becoming a fundamental part of urban life. Based on the recognition of the inseparability of ‘digital technologies’ in future cities, this article argues that we need to go beyond critiquing smart cities as imaginaries drawn from ideological discourses to recognize them as urban practices in the digital world and analyze their concrete mode. To this end, I first point out the blind spots in the critical discourse on smart cities and the limitations of normative approaches. Next, the mechanisms, by which urbanity itself is simultaneously reconfigured alongside the data technologies for smart cities that integrates technology society and space is examined from the view point of subjectivity and social interaction with relevant discussions and examples. It then explores the dilemma of publicness in the “deeply digitalized” urban like smart cities, and argues that a new concept of publicness is needed. Lastly, I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of things and spaces as a modality of the technology-urban nexus and propose that the analysis of the design can become one of the critical methodologies for addressing the smart city phenomen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