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논문의 목적은 경쟁을 강조하는 학교교육 풍토로 인한 몇 가지 심각한 문제점들을 사례분석을 통해서 밝혀내는데 있다. 경쟁주의로 인한 첫 번째 문제는 도시지역 내, 그리고 도시 지역 간에 발생하는 학력격차에 있다. 수도권 서남부 지역의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성적을 파악해본 결과 중학교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던성적격차가 고등학교에서 심각하게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 인해 두번째 문제가 발생하는데, 학생들이 성적에 따라서 고등학교에 진학함으로 인해집과 멀리 떨어진 곳으로 학교를 진학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이다. 세 번째, 성적이 낮은 시의 지자체에서 실시하는 명문고육성프로젝트를 통해 이런 경쟁주의적인 교육풍토의 문제점들이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과정에서학생의 인권은 성적문제로 인해 현장에서 도외시되고 있는 심각한 현상을 바라볼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경쟁주의를 지양하고 고교평준화와 같이 경쟁을 지양하는 정책의 필요성과, 또한 최근 발표된 학생인권조례에 대한 필요성을주장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issues regarding academic competitiveness and achievement between cities. Current public educational competitiveness have many serious problems. First,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schools in an urban area as well as the areas is considerable. Second, the rights of students are threatened. In some cases, students who get low academic grade go to the high school far from their home. It damaged the rights to the city of student seriously. Third,the promoting prestige high school project was prosecuted by the local government of low academic leveled cities’. This abnormal policy cause the waste of the cities’budget. Therefore this paper encourages standardization of high schools to advance present educational problems.
강상진. 2005. 고교 평준화 정책 효과의 실증 분석 연구 . 한국교육개발원.
김기석. 2005. 평준화 정책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적 분석 . 한국교육개발원.
김하수 외. 2006. 교육격차 해소를 위한 정책연구 . 태통령자문정책기획위원회.
류방란‧김성식. 2006. 교육격차와 학교교육의 기능 . 제32차 KEDI 교육정책포럼.
윤종혁 외. 2003. 고교 평준화 정책의 적합성 연구(Ⅰ) . 한국교육개발원.
윤형호‧강민정. 2009. 「서울시 자치구별 상위학교 진학률에 대한 거주지 효과분석」. ≪서울도시연구≫, 9(4), 87~106.
전제아. 2001. 「롤즈의 공동자산 개념에 대한 교육 정의론적 고찰」. ≪교육철학≫, 23, 131~150.
최은영. 2007. 「지역특성별 학교 간 교육환경의 격차」. ≪공간과사회≫, 27, 150~171.
Alexander, K. L. & Pallas, A. M. 1983. “Private Schools and Public Policy: New Evidence on Coginitive Achievement in Public and Private Schools.” Sociology of Education, 56(October), 170~182.
Coleman, J. S., Hoffer, T., & Kilogore, S. B. 1982. High school achievement: Public, Catholic, and rivate schools compared. New York: Basic Books.
Dikec, M. 2001. “Justice and the spatial imagin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A, 33, 1785~1805.
Harvey. D, 1973. Social Justice and the City. London: Edward Arnold Publishers. 최병두 옮김. 1983. 사회정의와 도시 . 종로서적.
Lefebvre H, 1973. La survie ducapitalisme: La re-smeduction des rapports de smeduction Anthmepos. <English translation> Bryant, F. 1976. The Survival of Capitalism: Resmeduction of the Relations of Pmeduction. London: Allison and Busby.
McNeil, L. M, 2000. “Creating new inequalities: contradictions of reform.” Phi Delta Kappan, 81(10), pp.729~734.
OECD. 2004a. Education and Equity.
OECD. 2004b. Policy Brief.
Rawls, J. 1971.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Mass: Harvard Belknap Press.
Skon, L., & Johnson, R. 1980. “Competitive and induvidualistic conditions on children problem performanc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Spring, 17(1), 83~93.
UNESCO. UN-HABITAT. 2009. Urban Policies and the Right to the City-Rights. responsibilities and citizenship. Paris. UNESCO. MOST.
United Nations. 2005. Economic, Social and Cltural Rights-Handbook for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s. 국가인권위원회 옮김. 2007. 경제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국가인권 기구를 위한 안내서.
World Urban Forum. 2004. World Charter on the Right to the City.
Paul, W., 1978. Learning To Labour. Ashgate Publishing Limited. 김찬호‧김영훈 옮김. 2004. 학교와 계급 재생산: 반학교문화, 일상, 저항 . 이매진.
동아일보DESK: http://www.journalogplus.net/education/
정보공개시스템: https://www.open.go.kr/pa/PARetrieveMain.la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