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사회정의론의 정책규범을 활용한 도시정비사업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Norm of ‘Theory of Social Justic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1, v.21 no.4, pp.114-163
안균오 (세종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도시정비사업에서 롤즈 사회정의론의 핵심적 개념과 원칙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활용방안을 찾기 위해 도시공간의 정의담론을 중간 매개적 개념으로 활용하여 롤즈 정의론을 정책규범화하였다. 이를 통해 롤즈의 순수절차적 정의관을 구성하는 정의의 원칙 중, ‘평등한 자유의 원칙’이 가지는 정책규범을 ‘구조적 절차의 공정성’, ‘공정한 기회균등의 원칙’이 가지는 정책규범을‘과정적 절차의 공정성’, ‘차등의 원칙’이 가지는 정책규범을 ‘결과의 실질적 형평성’으로 도출하였다. 롤즈 정의론의 정책규범에 따른 도시정비사업의 평가결과,도시정비사업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는 현행 도시정비사업 사업구조의 사회적부정의성에 근원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정비사업의 사회적 부정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성 내지 공익성의 원칙’, ‘사회통합의 원칙’,‘구조적 공정성의 원칙’, ‘절차적 공정성의 원칙’, ‘실질적 형평성의 원칙’을 도시정비사업의 사업구조 결정을 위한 다섯 가지 기본원칙으로 제시하고 있다.

keywords
정의론, 사회정의, 정책규범, 도시정비사업, 정책평가, 정책원칙, Theory of Social Justice, Policy Norm, Urban Regeneration Project, Policy Evaluation, Policy Principle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overall facts and figures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nd to present policy alternatives that are proper for changing paradigm. The Theory of Social Justice by J. Rawls deals with issues on what to distribute from the original position. Assuming that certain primary values are discussed for distribution, Rawls insists the Principle of Difference in which the least advantaged takes the advantageous position. In particular, this study formalized the Principle of Decision for the structur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th each principle of justice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Theory of Social Justice by J. Rawls in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decision for the structure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e principle of decision for the structure of projects is classified from the perspectives of objectives, procedures, and benefits of the project.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analysis of current facts and figur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bjective of the project were set as ‘improvement in housing and life quality’ and ‘intensification of public benefit through restriction of possession rights’ and tho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ocess of the project were set as ‘openness’ and ‘fairness’ for the project process. Thos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benefits of the project were set as ‘fair equity distribution of development gain’ and ‘fairness in guaranteeing residential stability’. Technical evaluation elements were set specifically through additional discussions.

keywords
정의론, 사회정의, 정책규범, 도시정비사업, 정책평가, 정책원칙, Theory of Social Justice, Policy Norm, Urban Regeneration Project, Policy Evaluation, Policy Principle

참고문헌

1.

강준모‧박정민. 2008. 「도심재생의 정책 및 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8권 제1D호.

2.

경향신문. 2009. 「불도저로 밀어버린 서민의 삶 … 30년 야만의 역사」. 2009.1.23.

3.

김남근. 2010. 「용산참사로 드러난 재개발행정의 실태와 극복과제」. 국가인권위원회. ≪우리 사회 재개발사업의 문제와 대안토론회 자료집≫, 2010.1.19.

4.

김덕규. 2009. 「재개발‧재건축사업에 있어서 주민의 권리강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절차 참여와 동의제도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김수현. 2008. 주택정책의 원칙과 쟁점: 시장주의를 넘어 . 한울아카데미.

6.

김항집‧이창호‧배웅규‧이동환‧서수정. 2010. 「거점확산형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추진현황과 발전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제339호

7.

김흥순‧정미숙‧정다운. 2010. 「도시재생사업에 따른 이주 및 보상대책에 관한 연구:세운재정비촉진지구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45권 제2호.

8.

박재길‧조판기‧정윤희‧김중은. 2004. 도시계획결정과 사회적 정의에 관한 연구 . 국토연구원.

9.

박환용‧김호권. 2007. 「재건축‧재개발사업의 갈등해소 및 사업투명화연구」. 한국주택학회. ≪주택연구≫, 제15권 제1호.

10.

배순석‧천현숙‧김승종. 2005. 주거환경개선사업의 원주민 재정착 제고방안 연구 . 국토연구원.

11.

배웅규. 2005. 「기성시가지 도시정비사업에서의 참여주체의 역할과 협력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제27호.

12.

변영진. 1994. 「존 롤즈 사회정의론의 정책규범화에 관한 연구: 저소득층의 주거복지정책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변창흠. 2009. 「지속가능성과 주거안정을 위한 서울시 도시재정비사업의 방향」.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통권 제325호.

14.

변창흠. 2010. 「도시권을 기준으로 본 도시재정비사업의 구조와 대안」. 한국공간환경학회 외. ≪도시와 정의, 도시와 권리 학술문화제 자료집≫, 2010.12.3.

15.

서울특별시 균형발전본부. 2010. 「서울특별시 뉴타운 사업통계」. 서울특별시 균형발전본부 뉴타운사업기획관. 2010.7.31.

16.

서울특별시. 2008.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및 뉴타운사업구역내 주거실태조사 . 서울 특별시.

17.

서울특별시. 2009. 「서울시 주거환경개선정책 종합점검 및 보완발전방안」. 서울특별시 주거환경개선정책 자문위원회 설명회 자료집 , 2009.1.15.

18.

오준근. 1997. 「주택재개발사업에 있어 세입자의 법적지위: 개정 도시재개발법의 문제점과 그 대안 제시를 위하여」. 창작과비평사. ≪법과 사회≫, 제14집 (1997.4).

19.

윤혜정. 1994. 「J. Rawls의 정의개념에 관한 시론: 도시계획에 대한 의미를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시정연구≫, 제2권 제2호.

20.

이명훈. 2009. 「정비사업에서 공공성 증진을 위한 과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정보≫, 통권 제325호.

21.

이윤상. 2005. 「바람직한 도시정비사업 추진방안: 설문조사 분석을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5정기학술대회자료집 , 2005.11.4.

22.

이창무. 2010. 「뉴타운사업에 대한 비판적 진단과 해법」. 국가인권위원회. 우리사회재개발사업의 문제와 대안토론회 자료집 , 2010.1.19.

23.

장성수‧윤혜정. 1995. 「[특집] 공동주택 재건축의 현황과 대책-‘분배적 정의’ 개념에서 본 재건축사업의 문제: 존 롤즈의 정의론적 관점에서」. 대한건축학회. ≪건축≫, 제39권 제3호.

24.

장영희. 2009. 「도시재정비사업의 평가와 제도개선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서울도시연구≫, 제10권 제1호.

25.

장영희. 2010. 「사회갈등예방을 위한 도시재정비사업 제도개선방안」. 사회통합위원회‧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한국주택학회. 사회갈등예방을 위한 도시재정비제도개선 토론회 자료집 , 2010.11.3.

26.

주관수. 2004. 「광역단위 재개발사업의 구체화방안: 집합적 사업방식을 중심으로」. 주택도시연구원. ≪주택도시≫, 제83호.

27.

주관수. 2008. 「도시정비에서 도시재생으로: 재개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하여」. 주택도시연구원. ≪HURI FOCUS≫, 제27호.

28.

진교훈. 1989. 「주거(집)의 철학적 의미」. ≪공간≫, 1989.8.

29.

최명관. 1974. 「정의의 의미」. 한국철학회. ≪철학≫, 제8집.

30.

최인기. 2010. 「[기획연재] 우리사회의 도시빈민운동사(1)~(10)」. 민중언론 참세상. 2010.4.1~2010.7.29

31.

토지주택공공성네트워크. 2010. 「재개발 행정 실태와 과제」. 용산참사로 드러난 재개발 행정의 실태와 책임행정의 과제발표회 자료집 , 2010.1.19.

32.

하성규. 2010. 「헌법과 국제인권규범을 통해서 본 주거권과 ‘적절한 주거’ 확보방안」.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경제≫, 제17집 제1호.

33.

한국도시연구소. 1998. 철거민이 본 철거: 서울시 철거민 운동사 . 한국도시연구소.

34.

홍준현. 1990. 「합동재개발사업에 대한 사회경제적 평가: 관련 이해당사자별 개발이익 귀착의 공평성을 중심으로」.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주택도시(주택도시연구원)≫, 제51호, 202~207쪽.

35.

Bryson, J. & Crosby, B. 1993. “Policy Planning and the design of forums, arenas and courts.” Environment and Planning B, 20(2).

36.

Healey, P. 2003. 협력적 계획(Collaborative Planning): 분절된 사회의 협력적 거버넌스 . 권원용‧서순탁(역). 한울아카데미.

37.

John Rawls. 1958. “Justice as Fairness.” The Philosophical Review, vol. 67(1958.4).

38.

John Rawls. 1971. A Theory of Justice. Cambridge. Mass: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39.

John Rawls. 2008. 정의론 . 황경식(역). 이학사;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Revised Edition, 1999.

40.

Lebacqz, K. 1986. Six Theories of Justice. Augusburg Publishing House.

41.

Merleau-Ponty, M. 1962. Phenomenology of Perception. trans.. C. Smith. Humanities Press:New York.

42.

Michael J. Sandel. 2009. JUSTICE: What’s the right thing to do?. Farrar, Straus Giroux.

43.

Robert Nozick. 1974. Anarchy. State and Utopia. Basic Books.

44.

UN HABITAT. 2010. “The Right to the City: Bridging the Urban Divide.” The Fifth Session of the World Urban Forum 5.

45.

UNESCO. UN-HABITAT. 2009. “Urban Policies and the Right to the City-Rights. responsibilities and citizenship.” Paris: UNESCO. MOST.

46.

UNESCO. UN-HABITAT. ISS.. 2006. “International Public Debates: Urban Polices and the Right to the City.” Paris: UNESCO, MOST.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