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8‧10 광주대단지 사건은 현재 성남시의 공간적 사회적 성격을 규정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고 그 기능은 아직도 계속되는 현재진행형의 사건이다. 현재 성남시가 안고 있는 사회적 공간적 문제의 근원은 8‧10사건과 직‧간접적으로 연관된다. 구시가지의 왜곡된 도시공간은 지금 성남시 최대의 이슈인 전면적 재개발 문제로귀결된다. 신구시가지 문화적 장벽은 사건의 공간이미지 생성과 분리해서 생각할수 없다. 그동안 8‧10 광주대단지사건의 성격과 의미를 조명하려는 시도들이 있었으나 사건을 시공간적으로 분리하여 접근함으로써 사건의 현재적, 실천적 의미를 얻는데 미진한 측면이 있었다. 의미는 생산되는 것이다. 의미가 생산되는 기제는 계열화와 배치이다. 사건과 관련된 그룹마다 상이한 계열화와 배치를 통하여자기들에게 유리한 의미를 생산하고 있다. 현재 성남시의 공간‧사회문제를 둘러싼 논란의 바탕에도 계열화와 배치를 통한 의미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필연적 과정들을 우회하여 문제해결을 시도하는 접근들은 재검토될 필요가 있다. 그것이 사건의 의미를 구성하는 방식이 될 것이다.
김동춘. 2001. 「71년 광주대단지 8‧10 항거의 재조명」. 8‧10 30주년 기념사업회. 심포지엄 자료집.
김왕배. 1991. 「자본축적과 지역불균등발전」. ≪공간과 사회≫.
노융희. 1973. 신도시개발론 . 박영사.
박지환. 2003. 「분당신도시의 사회적 생산과 구성: 공간과 계급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석사학위논문.
성남20년사편찬위원회. 1993. ≪성남시사≫.
성남YMCA시민회. 1987. 성남의 역사현실과 시민의식 .
손정목. 1987. 「수도권 내 신도시 건설계획의 발표와 여론의 동향」. ≪도시문제≫, 24권 7호.
신상웅. 1971. 「광주대단지」. ≪창조≫, 10월호.
이동호. 1994. 「성남시 인구이동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이진경. 2002. 「사건의 철학과 역사유물론」. 철학의 외부 . 그린비.
장세훈. 1991. 「광주대단지 사건과 3공 도시정책의 파행」. ≪월간중앙≫, 3월호.
조명래. 1996. 「분당신도시의 사회경제적 배경」. 민족건축미학연구회 엮음. 18세기 신도시와 20세기 신도시 .
최병두. 1991. 「한국공간환경연구회의 현황과 과제」. ≪공간과 사회≫. 풀빛.
한상진. 1992. 「서울대도시권 신도시개발의 성격: 광주대단지와 분당신도시의 비교 연구」. 한국의 지역문제와 노동계급 . 문학과 지성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