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탄소규제 전략으로서 녹색도시주의: 성찰적 재검토

Green urbanism as a strategy for carbon control: a reflexive reconsideration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3, v.23 no.2, pp.40-85
최병두 (대구대학교)
신혜란 (University College London)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적 지구-지방화 과정에 동반된 경제침체와 다른 한편으로지구적 차원에서 심화된 에너지 고갈과 기후변화는 국가 및 도시 차원에서 경제성장과 환경퇴락의 탈동조화를 전제로 한 탄소규제 전략을 요청하고 있다. 이와관련하여, 이 논문은 특히 도시적 차원에서 탄소규제 전략의 추진을 녹색도시주의의 개념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녹색도시주의라는 용어를 제안한 학자들은 이를다소간 순수한 의미에서 재생가능하고 탄소중립적이며 생태효율적인 도시를 의미한다. 그러나 실제 서구 국가들의 환경정책의 전환과정을 살펴보면, 이 개념은 기존의 지속가능발전에서 저탄소 녹색성장으로의 부정적 전환을 전제로 한다. 이과정에서 등장한 녹색국가 및 녹색도시(주의)는 한편으로 신자유주의적 환경조정을 통한 자본축적에 기여하는 한편 탄소규제 거버넌스의 구축을 통한 새로운 통치 레짐을 모색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해된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탄소규제 전략이 2008년 도입되었으며, 도시 정책에도 반영되었다. 그러나 한국의 저탄소 녹색성장 또는 이를 반영한 저탄소 녹색도시(주의)는 개념적으로 도시 차원에서 시행할 필요성과 그 구조적 배경으로 사회-환경적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으며,이로 인해 이명박 정부는 이를 왜곡되게 활용했을 뿐만 아니라 지자체들도 이를자발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keywords
탄소규제 전략, 녹색도시주의, 녹색국가, 저탄소 녹색성장, 신자유주의, strategy for carbon control, green urbanism, green state, low-carbon green growth, neoliberalism

Abstract

Economic depression with the neoliberal process of glocalization on the one hand and energy drainage and climate change deepened on the global scale on the other have led strategy for carbon control both on the national and the local levels which presupposes decoupling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With this kind of problematic, this paper tries to see the recent pursuit of strategy of carbon control on the urban level in terms of ‘green urbanism’. The term green urbanism, as it has been suggested by some scholars, means more or less normatively a renewable, carbon-neutral, and eco-efficient city. But this concept seems to presuppose a transformation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to low-carbon green growth as we can see the development process of environmental policies in Western countries. The concept of green urbanism as well as that of green state which has emerged in this transformation process can be seen as a strategy to contribute capital accumulation through neoliberal environmental fix and to construct a new regime through carbon control governance. In recent Korea, this kind of strategy for carbon control has been introduced in a similar manner. But the strategy for low carbon green growth and low-carbon green city(or urbanism) in Korea seem neither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urban scale for the strategy nor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ontext on the structural level, and hence not only the Lee Myung-Bak’s central government mobilized this strategy in a highly distorted manner, but also most of the local governments could not see the necessity for pursuing the strategy voluntarily.

keywords
탄소규제 전략, 녹색도시주의, 녹색국가, 저탄소 녹색성장, 신자유주의, strategy for carbon control, green urbanism, green state, low-carbon green growth, neoliberalism

참고문헌

1.

강상준·정주철·권태정. 2010. 「도시유형에 따른 저탄소 도시계획요소 간의 상대적중요도」. ≪환경정책≫, 제18권 제1호, 27~52쪽.

2.

구자훈. 2008. 「New urbanism과 친환경도시의 도시계획적 실천방안」.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세미나 자료.

3.

길종백·정병걸. 2009. 「녹색성장과 환경·경제의 통합: 변형과 전환 사이에서」. ≪정부학연구≫, 제15권 제2호, 45~70쪽.

4.

김명수 외. 2009. 녹색성장 개념 정립 및 국토분야 정책과제 . 국토연구원.

5.

김홍주. 2009. 「저탄소 사회를 향한 지방정부의 탄소제로도시 정책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1권 제2호, 145~162쪽.

6.

류종현. 2009. 강원도 저탄소 녹색도시 실현을 위한 도시계획 방안 . 강원발전연구원.

7.

박성현·유의선 외. 2009. 녹색성장 전략의 국가 간 비교와 저탄소 녹색성장 종합평가지수 개발에 관한 연구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8.

박종순. 2010. 대구 도심형 저탄소 녹색마을 조성 방안 . 대구경북연구원.

9.

박종철·조상필·정철. 2009. 지방중소도시의 저탄소 녹색도시 조성방안 . 전남발전연구원.

10.

반영운 외. 2008.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토 및 도시개발전략」. ≪도시정보≫, 통권 318호, 3~17쪽.

11.

변병설. 2009. 「저탄소 에너지 절약형 신도시 해외사례 및 조성전략」. 저탄소 에너지절약형 신도시 조성을 위한 세미나 자료(2009.9.2).

12.

오용선·최용재. 2009. 「저탄소녹색성장의 세계 동향과 한국의 특성」.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3권 제2호, 69~97쪽.

13.

윤성식. 2011.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요소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석사논문

14.

윤순진. 2009. 「저탄소 녹색성장의 이념적 기초와 실제」. ≪환경사회학연구 ECO≫,제13권 제1호, 219~266쪽.

15.

이미홍·김륜희. 2011. 「녹색도시 조성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환경법연구≫,제33권 제2호, 275~296쪽.

16.

이상헌. 2009. 「MB 정부 ‘저탄소 녹색성장 전략’에 대한 정치경제학적 고찰」. ≪환경사회학연구 ECO≫, 제13권 제2호, 7~41쪽.

17.

이재준. 2008. 「저탄소 녹색도시 성장을 위한 전략」. ≪도시문제≫, 제43권, 59~68쪽.

18.

이재준·최석환·김세용. 2012. 「저탄소 녹색도시 계획기법의 중요도 평가: 전문가 설문조사 및 비용대비 탄소저감효과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지리학회지≫, 제46권 제1호, 11~23쪽.

19.

이홍주. 2010. 광주광역시 저탄소 녹색성장 발전 전략 . 광주발전연구원.

20.

임동일. 2011. 「생생도시를 통해 본 녹색도시의 도시계획적 특성」. ≪지역발전연구≫,제10권 제2호, 113~147쪽.

21.

장수환. 2009. 신도시의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그린인프라 조성 기준에 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기초연구 2009-17).

22.

장진규 외. 2009. 경제환경 변화에의 대응 및 국가 성장동력 확충을 위한 과학기술정책의 방향 .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09-30).

23.

조명래. 2008. 「녹색성장과 녹색사회 구현」. ≪국토≫, 1월호 통권 63호.

24.

최병두. 1999. 환경갈등과 불평등: 한국 환경문제의 재인식 . 한울.

25.

최병두. 2002. 「신도시주의 또는 새로운 도시화」. ≪공간과 사회≫, 통권 제17호, 215 ~239쪽.

26.

최병두. 2009. 「자연의 신자유주의화: (1) 자연과 자본축적 간 관계」. ≪마르크스주의연구≫, 제6권 제1호, 5~51쪽.

27.

최병두. 2011. 자본의 도시: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정책 . 한울.

28.

최병두·신혜란. 2013. 「영국의 탄소규제와 환경정책: 녹색국가 전략의 재평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9권 제2호, 302~324쪽.

29.

최병두·홍인옥·강현수·안영진. 2004. 「지속가능한 발전과 새로운 도시화: 개념적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제39권 제1호, 70~87쪽.

30.

최순영. 2010. 「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환경정치학적 성찰」. ≪환경철학≫, 제10권, 225~255쪽.

31.

한국토지공사·국토도시연구원 편. 2009. 녹색성장으로 가는 길: 저탄소 녹색국토녹색도시 조성방안 .

32.

Bailey, I. and Compston, H. 2010. “Geography and the politics of climate policy.” Geography Compass, Vol. 4, No. 8, pp. 1097~1114.

33.

Beatley, I. and Manning, K. 1997. The Ecology of Place: Planning for Environment, Economy and Community. Washington D.C.: Island press.

34.

Beatley, T. 2000. Green Urbanism: Learning from European Citi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35.

Beatley. T. and Newman. P. 2009. Green urbanism down under: Learning from sustainable communities in Australia. Washington DC.: Island Press.

36.

Benedict, M. and E. McMahon. 2006. Green infrastructure: Linking landscapes and communities. Washington. DC.: Island Press.

37.

Blok, A. 2012. “Greening cosmopolitan urbanism? On the transnational mobility of low-carbon formats in Northern European and East Asian citi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44, pp. 2327~2343.

38.

Brand, Peter. 2007. “Green subjection: The politics of neoliberal urban Environmental management.”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Vol. 31, No. 3, pp. 616~632.

39.

Bulkeley, H. 2010. “Cities and the governing of climate change.” Annual Review of Environment and Resources, Vol. 35, pp. 229~253.

40.

Bulkeley, H. and Betsillb, M. M. 2013. “Revisiting the urban politics of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Politics, Vol. 22, No. 1, pp. 136~154.

41.

Bumpus, A. 2011. “The Matter of carbon: understanding the materiality of CO2 in carbon offsets.” Antipode, Vol. 3, No. 3, pp. 612~638.

42.

Bumpus, A. and Liverman, D. 2008. “Accumulation by decarbonisation and the governance of carbon offsets.” Economic Geography, Vol. 84, pp. 127~156.

43.

Castree, N. 2008a. “Neoliberalising nature: the logics of deregulation and reregulation.”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40, No. 1, pp. 131~152.

44.

Castree, N.. 2008b. “Neoliberalising nature: processes. effects and evaluations.”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40, No. 1, pp. 153~173.

45.

Gibbs, D. and Krueger, R. 2007. “The new econom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 Krueger. R. and Gibbs. D. (ed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aradox, New York: Guilford Press, pp. 95~122.

46.

Harvey, D. 2010. A Companion to Marx’s Capital; 강신준 역. 2011. 데이비드 하비의맑스 자본 강의 . 창작과 비평.

47.

Jonas, A. and While, E. G. 2007. “Greening the entrepreneurial city: look for spaces of sustainability politics in the competitive city.” in Kruegger. R. and Gibbs. D. (ed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aradox: Urban Political Economy in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New York: Guilford Press, pp. 123~159.

48.

Jones, A. E. G., Gibbs, D. and While, A. 2011. “The new urban politics as a politics of carbon control.” Urban Studies, Vol. 48, No. 12, pp. 2537~2554.

49.

Keil, R. 2007. “Sustaining modernity. modernizing nature: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the survival of capitalism.” in Krueger. R. and Gibbs. D. (eds).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aradox, London: Guilford, pp. 41~65.

50.

Krueger, R. and Gibbs, D. 2010. “Competitive global city region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n interpretive institutionalist account in the South East of England.” Environment and Planning A., Vol. 42, pp. 821~837.

51.

Lehmann, S. 2008. “Sustainability on the urban scale: green urbanism - new models for urban growth and neighbourhoods.” in Droege. Peter (ed). 2008. Urban Energy Transition: From Fossil Fuels to Renewable Power, Oxford: Elsevier, pp. 409~429.

52.

Lerch, D. 2007. Post Carbon Cities: Planning for Energy and Climate Uncertainty. Portland. OR: Post Carbon.

53.

Newman, P. 2010. “Green urbanism and its application to Singapore.” Environment and Urbanization Asia, Vol. 1, No. 2, pp. 149~170.

54.

North, P. 2010. “Unsustainable urbanism? cities. climate change and resource depletion: A Liverpool case study.” Geography Compass, Vol. 4, No. 9, pp. 1377~1391.

55.

Newman, P., T. Beatley and H. Boyer. 2009. Resilient cities: Responding to peak oil and climate change. Washington. DC: Island Press.

56.

Pepper, D. 1999. “Ecological modernisation or the ‘ideal model’ of sustainable development? Questions promoted at Europe’s periphery.” Environmental Politics, Vol. 8, No. 4, pp. 1~34.

57.

While, A. and Jonas, A. E. G. and Gibbs, D. 2010. “From sustainable development to carbon control: eco-state restructuring and the politics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 Transactions of the Institute of British Geographers, Vol. 5, No. 1, pp. 76~93.

58.

Wolch, J. 2007. “Green Urban Worlds.”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Vol. 97, No. 2, pp. 373~384.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