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포용도시 : 개념과 한국의 경험

The Inclusive City: Concepts and Korean Experiences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5, v.25 no.1, pp.95-139
https://doi.org/10.19097/kaser.2015.25.1.95
박인권 (서울시립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도시에서 발생하는 다차원적이고 복합적인 사회적 배제를 극복할 도시비전으로서 ‘포용도시’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와 관련된 한국의 도시 정책들을 평가·재해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사회적 배제, 포용, 사회통합에 관한 이론과 문헌들을 검토하여 포용도시의 맥락과 정의, 차원들, 지리적 스케일을 규명한다. 특히 포용도시의 세 가지 차원으로 공간적 포용성, 참여, 상호의존성을 제시하여, 구체적 도시 정책의 분석틀로 사용한다. 한국의 포용도시 관련 정책으로는 저렴주택 의무비율과 공공임대주택 건설,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임대주택 의무비율제도와 공공임대주택 건설·공급은 공간적 포용성 확대에 기여하였고,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은 참여와 상호의존성 확대에 기여하였음을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한국의 포용도시 정책은 이제 막 시작단계에있으므로, 포용도시의 정착을 위해서는 관련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필요가 있다.

keywords
포용도시, 사회적 배제, 도시 비전, UN-Habitat, 한국의 경험, the inclusive city, social exclusion, city vision, UN-Habitat, Korean experiences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onceptualize the inclusive city as a city vision for overcomingmulti-dimensional and complex social exclusion and to evaluate and reinterpret therelated urban polic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I inquire into the context anddefinition, dimensions, and geographical scale of the inclusive city based on literaturereview. Specifically, I propose three dimensions, spatial inclusion, participation, andinterdependence to use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specific urban policies. TheKorean urban policies analyzed include affordable housing quota systems(AHQS),public rental housing, and community support projects(CSPs). The results of analysisshow that AHQS tenure regulation and the rental housing supply have contributedto spatial inclusion, while CSPs have contributed to participation and interdependence. Overall, the Korean policies related to the inclusive city are just in thebeginning stage, and thus the country needs to continue to expand on the relatedpolicies in order to achieve the vision of the inclusive city.

keywords
포용도시, 사회적 배제, 도시 비전, UN-Habitat, 한국의 경험, the inclusive city, social exclusion, city vision, UN-Habitat, Korean experiences

참고문헌

1.

강미연·김위정. 2005. 「주거의 관점에서 본 노숙인의 사회적 배제: 쉼터 노숙인들의생활 경험을 중심으로」. ≪도시와 빈곤≫ 74, 115~169쪽.

2.

국토해양부. 2008. 2008년도 임대주택 업무편람·매뉴얼 . 국토해양부.

3.

국토교통부. 2014. 2013년도 주택업무 편람 . 국토교통부

4.

김성준·안건혁. 2012. 「신도시 주택공급정책과 거주계층의 공간적 분포특성: 판교 신도시 필터링과정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8(1), 237~244쪽.

5.

김위정. 2004. 「공공임대주택 주민들에 대한 사회적 배제 연구: 주거지격리를 통한사회적 배제를 중심으로」. ≪도시연구≫ 9, 87~114쪽.

6.

김주진. 2008. 「사회적 혼합이 거주자의 사회적 배제와 주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50년 공공임대주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주진·서수정·정경일. 2005. 「사회통합을 고려한 임대주택정책 및 개발사례의 특성연구」. ≪국토계획≫ 40(6), 159~176쪽.

8.

김준영·김혜영. 2012. 「사회통합 지표 개발 및 16개 광역시도별 사회통합 수준 평가」. ≪복지행정논총≫ 22(2), 71~104쪽.

9.

김준형·김성제·최막중. 2005. 「임대주택 사회적 혼합의 장애요인과 해소방안에 관한연구」. ≪국토계획≫ 40(5), 153~163쪽.

10.

남원석. 2007. 「공공임대주택과 사회통합」. ≪도시문제≫ 42(462), 37~49쪽.

11.

남원석. 2014. 「한국 공공임대주택의 미래: 새로운 제도화의 경로와 과제」. ≪공간과사회≫ 24(2), 136~177쪽.

12.

박관민·송명규·이경진. 2009. 「임대아파트 단지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실증연구: 용인시 동백지구를 사례로」. ≪도시행정학보≫ 22(3), 107~131쪽.

13.

박세훈. 2010. 「한국의 외국인 밀집지역: 역사적 형성과정과 사회공간적 변화」. ≪도시행정학보≫ 23(1), 69~100쪽.

14.

박세훈·정소양. 2010.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분포 특성과 정책함의」. ≪국토연구≫64, 59~76쪽.

15.

박윤환. 2010. 「수도권 지역 외국인들의 거주지 분리에 대한 연구」. ≪행정논총≫48(4), 429~453쪽.

16.

배순석·전성제. 2006. 「서울시 저소득계층 주거의 입지현황과 공간적 분리패턴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51, 191~206쪽.

17.

서수정·김주진·정경일·설정임. 2004. 국민임대주택의 사회통합적 계획방안 연구 . 대한주택공사.

18.

서울시. 2013. 임대주택공급 기본계획수립 . 서울시.

19.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2014. 인포그래픽스로 보는 2013 서울시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성과자료집 .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제2013-01-016호).

20.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2015. 서울시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성과연구보고서: 마을. 3년의 변화 그리고 . 서울시 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제2014-03-0002호).

21.

신명호. 2004. 「한국 사회의 새로운 빈곤 혹은 사회적 배제」. ≪도시와 빈곤≫ 67, 160~170쪽.

22.

이원호. 2006. 「사회적 배제의 측정과 빈곤현상의 공간적 패턴: 서울시의 사례연구」. ≪지리학연구≫ 40(3), 367~379쪽.

23.

이원호. 2008.「 외환위기 이후 대도시 지역 간 실업의 차이와 그 역동성: 사회적 배제의 구조화에 대한 함의.”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1), 94~110쪽.

24.

이원호. 2011. 「광역대도시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사회적배제의 형성: 노동시장 변동의 지역성에 대한 이해」.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2), 129~142쪽.

25.

장경석. 2014. 「재건축사업의 소형주택 건설 의무비율 규제 완화의 쟁점과 과제」. ≪이슈와 논점≫ 842호, 1~4쪽.

26.

장세훈. 2005. 「현단계 도시빈곤의 지속과 변모: ‘신빈곤’ 현상에 대한 탐색」. ≪경제와사회≫ 66, 95~125쪽.

27.

전병유·김복순. 2005. 「노동시장의 양극화와 정책과제」. ≪노동리뷰≫ 7, 36~51.

28.

전홍규. 2006. 「노숙인과 인권: 사회적 배제의 관점에서 본 노숙인 거주」. ≪도시와빈곤≫ 78, 38~66.

29.

조규범. 2012. 「제노포비아 현상에 대한 정책적 대응방향」. ≪이슈와 논점≫ 451. 대한민국 국회 입법조사처.

30.

조 만·이창무. 2014. 「고령화·소가족화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정책시사점분석」.≪KDI FOCUS≫ 39호, 1~8쪽.

31.

조석주. 2007. 「다문화공생을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 지원 강화방안: 외국인근로자 및 결혼이민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 학술대회≫, 271~304쪽.

32.

천현숙. 2012. 「사회통합을 위한 공공임대주택단지의 사회적 혼합방안」. ≪국토정책Brief≫ 371, 1~8쪽.

33.

최막중·김준형. 2004. 「소형의무비율에 의한 주거복지정책의 실효성 분석」. ≪국토계획≫ 39(3), 69~79쪽.

34.

하성규·마강래·안아림. 2011. 「서울시 외국인 주거지의 공간적 분리패턴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12(3), 91~105쪽.

35.

한형수·문영기. 2007. 「주택 재건축사업의 소형평형 의무비율 규제정책의 제도개선방안」. ≪국토연구≫ 54, 191~214쪽.

36.

홍인옥. 2005. 「영구임대주택 주민들의 사회적 배제 해결 및 사회통합 방안」. ≪도시와 빈곤≫ 76, 32~60쪽.

37.

Aalbers. M. B. 2009. “Social exclusion.” in R. Hutchison(ed.). Encyclopedia of Urban Studies. Sage Publiscations, pp. 731~735.

38.

ADB. 2010. Access to justice for the urban poor: Toward inclusive cities. Asian Development Bank.

39.

Andreotti. A. Mingione E. & Polizzi. E. 2012. “Local welfare systems: A challenge for social cohesion.” Urban Studies 49(9), pp. 1925~1940.

40.

Beall. J. 2000. “From the culture of poverty to inclusive cities: Re-framing urban policy and politics.” Journal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12, pp. 843~856.

41.

Bento. A. Lowe. S. Knaap. G-J. & Chakraborty. A. 2009. “Housing market effects of inclusionary zoning.” Cityscape: A Journal of Policy Development and Research 11(2), pp. 7~26.

42.

Berger-Schmitt. R. 2000. “Social cohesion as an aspect of the quality of societies: Concepts and measurement.” EuReporting Working Paper No. 14. Centre for Survey Research and Methodology. Mannheim.

43.

Brunick. N. 2004a. “Effectiveness of mandatory programs over voluntary programs.” Zoning Practice 9.

44.

Brunick. N. 2004b. “Inclusionary housing: Proven success in large cities.” Zoning Practice 10.

45.

Calavita. N. & Grimes. K. 1998. “Inclusionary housing in California: The experience of two decade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4(2), pp. 150~169.

46.

Cassiers. T. & Kesteloot C. 2012. “Socio-spatial inequalities and social cohesion in European cities.” Urban Studies 49(9), pp. 1909~1924.

47.

Cook. I. R. & Swyngedow. E. 2012. “Cities, social cohesion and the environment: Towards a future research agenda.” Urban Studies 49(9), pp. 1959~1979.

48.

Dukes. T. & Musterd. S. 2012. “Bridging national integration rhetoric and local practice: The case of the Netherlands.” Urban Studies 49(9), pp. 1981~1997.

49.

Eizaguirre. S. Pradel. M. Terrones. A. Martinez-Celorrio. X. & Garcia. M. 2012. “Multilevel governance and social cohesion: Bringing back conflict ini citizenship practices.” Urban Studies 49(9), pp. 1999~2016.

50.

Fainstein. S. S. 2001. “Competitiveness, cohesion, and governance: Their implications for social justic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5(4), pp. 884~888.

51.

Fainstein. S. S. 2010. The Just Cit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52.

Fainstein. S. S. 2014. “The just city.”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Sciences 18(1), pp. 1~18.

53.

Fraser. N. 1997. Justice Interruptus. NY: Routledge.

54.

Gerometta. J. Haussermann. H. & Longo. G. 2005. “Social innovation and civil society in urban governance: Strategies for an inclusive city.” Urban Studies 42(11), pp. 2007~2021.

55.

Jenson. J. 1998. Mapping Social Cohesion: The State of Canadian Research. Ottawa: Renouf Publishing Co. Ltd.

56.

Kabeer. N. 2006. “Poverty, social exclusion and the MDGs: The challenge of ‘durable inequalities’ in the Asian context.” IDS Bulletin 37(3), pp. 64~78.

57.

Kearns. A. and Forrest. R. 2000. “Social cohesion and multilevel urban governance.” Urban Studies 37(5/6), pp. 995~1017.

58.

Kübler. D. & Schwab. B. 2007. “New regionalism in five Swiss metropolitan areas: An assessment of inclusiveness, deliberation and democratic accountability.” European Journal of Political Research 46, pp. 473~502.

59.

Lerman. B. R. 2006. “Mandatory inclusionary zoning: The answer to affordable housing problem.” Boston College Environmental Affairs Law Review 33(2), pp. 383~416

60.

Maloutas. T. and Malouta. M. P. 2004. “The glass menagerie of urban governance and social cohesion: Concepts and stakes/concepts as stakes.”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28(2), pp. 449~465.

61.

Meltzer. R. & Schuetz. J. 2010. “What drives the diffusion of inclusionary zoning.” Journal of Policy Analysis and Management 29(3), pp. 578~602.

62.

Miciukiewicz. K. Moulaert. F. Novy. A. Musterd. S. & Hillier. J. 2012. “Problematising urban social cohesion: A transdisciplinary endeavour.” Urban Studies 49(9), pp. 1855~1872.

63.

Miciukiewicz. K. & Vigar. G. 2012. “Mobility and social cohesion in the splintered city:Challenging technocentric transport research and policy-making practices.” Urban Studies 49(9), pp. 1941~1957.

64.

Mukhija. V. Regus. L. Slovin. S. & Das. A. 2010. “Can inclusionary zoning be an effective and efficient housing policy? Evidence from Los Angeles and Orange Counties.”Journal of Urban Affairs 32(2), pp. 229~252.

65.

Murie. A. and Musterd. S. 2004. Social exclusion and opportunity structures in European cities and neighbourhoods. Urban Studies 41(8), pp. 1441~1459.

66.

Novy. A. Coimbra. D. & Moulaert. F. 2012. “Social cohesion: Conceptual and political elucidation.” Urban Studies 49(9), pp. 1873~1889.

67.

Pratschke. J. & Morlicchio. E. 2012. “Social polarisation, the labor market and economic restructuring in Europe: An urban perspective.” Urban Studies 49(9), pp. 1891~1907.

68.

Room. G. 1995. “Poverty and social exclusion: The new European agenda for policy and research,” in G. Room (ed.). Beyond the Threshold: The Measurement and Analysis of Social Exclusion. Bristol: Policy Press, pp. 1~9.

69.

Schuetz. J. Meltzer. R. & Been. V. 2009. “31 flavors of inclusionary zoning: Comparing policies from San Francisco, Washington, DC, and suburban Boston.”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75(4), pp. 441~456.

70.

Schuetz. J. Meltzer. R. & Been. V. 2011. “Silver bullet or Trojan horse? The effects of Inclusionary zoning on local housing markets in the United States.” Urban Studies 48(2), pp. 297~329.

71.

Schwartz. S. I. & Johnston. R. 1983. “Inclusionary housing programs.”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49(1), pp. 3~21.

72.

Steinberg. F. & Lindfeld. M. (eds.). 2011. Inclusive Cities. Asian Development Bank.

73.

Storey. D. 2003. “The peri-urban Pacific: From exclusive to inclusive cities.” Asia Pacific Viewpoint 44(3), pp. 259~279.

74.

Stren. R. 2001. “Thinking about urban inclusiveness.” Centre for Urban and Community Studies Research Bulletin 4. University of Toronto.

75.

Talbert. C. & Costa. N. 2003. “Inclusionary housing programs: Local governments respond to California’s housing crisis.” Boston College Environmental Affairs Law Review 30(3), pp. 567~579.

76.

Talbert. C. & Costa. N. 2004. The global campaign on urban governance. UN-Habitat. retrieved Jan. 26. 2015from http://ww2.unhabitat.org/campaigns/governance/documents/Urban%20Gover nance_english-July04.pdf.

77.

UNCHS (Habitat). 2000. “UNCHS (Habitat): the global campaign for good urban governance.” Environment & Urbanization 12(1), pp. 197~202.

78.

국토교통통계 누리집(임대주택통계) http://stat.molit.go.kr, 2015년 3월 15일 최종확인.

79.

서울시 누리집(핵심 정책 중 마을공동체 사업 소개 영문자료)http://english.seoul.go.kr/policy-information/key-policies/city-initiatives/2-town-community/, 2015년 3월 15일 최종확인.

80.

통계청 e-나라지표 누리집(사회복지 지출규모)http://www.index.go.kr/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2759, 2015년 3월 15일 최종확인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