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5-6706
이 논문은 충칭모델 형성에 대한 기존 연구가 중앙정부와 공산당의 역할을 과도하게 강조하고 다른 스케일 행위자들의 역할을 소홀히 한 것에 대한 비판적 관점에서 시작되었다. 우선 이 논문은 개혁기 중국에서 발전전략으로서의 중국모델이 문제점을 드러내자 이를 대체하기 위한 모델의 실험이 충칭 량장신구에서 수행되었다고 전제한다. 이 논문의 목적은 다중스케일 분석의 관점에서 량장신구형성에 개입한 다양한 공간스케일의 행위자와 조건들을 규명하고, 량장신구 형성과정에서 이들 사이의 역동적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논문은 글로벌, 국가, 지역, 도시로 스케일을 분류하고, 각 스케일에 연결되는 다중스케일적 행위자 황치판에 주목했다. 연구 결과 황치판은 다중스케일적 행위자로서 자신의 푸동신구 경험, 중공중앙 정치국 상무위원들과의 인적 네트워크, 정책생산 능력에 기초해서, 국가스케일을 매개로 두 도시스케일을연결해 량장신구 형성에 기여했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This paper begins with criticism on preceding research of the making ofChongqing model, which excessively emphasizes the role of central government andcommunist party and neglects the role of other scale agents in the making. Thispapers assumes that when China model which had been a core development modelstarted to expose problems, the experimentation to find a new model to replacethe old model has been conducted in Liangjiang New Area(L.N.A.), Chongqing. And this paper aims to clarify multiscale agents and conditions that played an importantrole in the making of L.N.A. and to analyze dynamic interaction amongthem. To accomplish this aim, this paper classifies global, national, regional, urbanscales and pays attention to a multiscalar agent, Huang Qifan. Lastly, this paperconcludes that based on his experience in Pudong New Area, personal network withpolitburo standing committee members, and ability to produce policies, Huang Qifancontributed to the making of Liangjiang New Area connecting two urban scalesthrough national scale.
박배균·김동완 엮음. 2013. 『국가와 지역: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한국의 지역』. 알트.
박배균·장세훈·김동완 엮음. 2014. 『산업경관의 탄생: 다중스케일 관점에서 본 발전주의 공업단지』. 알트.
이정구. 2013. 「중국모델에 대한 비판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제31집.
이홍규, 2011. 「보시라이 숙청과 충칭모델의 미래」. ≪현대중국연구≫, 제14집 1호.
이홍규, 2012. 「‘충칭모델’의 등장과 성과: ‘중국모델’의 혁신의 관점에서 본 함의」. ≪국가전략≫, 제18권 3호.
이희옥, 2007/2008. 「새로운 중국모델의 대두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재구성」. ≪중소연구≫, 통권 116호.
장윤미, 2011. 「‘중국모델’에 관한 담론 연구」. ≪현대중국연구≫, 제13집 1호.
전성흥, 2007/2008. 「‘중국모델’의 부상: 배경, 특징 및 의미」. ≪중소연구≫, 통권 116호.
주쉬펑. 2014. 『중국 정책변화와 전문가 참여』. 박철현·이광수 옮김. 학고방.
추이즈위안. 2014. 『프티부르주아 사회주의 선언: 자유사회주의와 중국의 미래』. 김진공 옮김. 돌베개.
李希光·顧小琛. 2011年 5期. 「重慶夢與中國模式」. 『馬克思主義硏究』.
潘維. 2009. 『中國模式: 解讀人民共和國的60年』. 中央編譯出版社.
蘇偉·楊帆·劉士文. 2011. 『重慶模式』. 中國經濟出版社.
兪可平. 2006. 「中國模式: 經驗與鑒戒」. 兪可平·黃平·謝曙光·高健 主編. 『中國模式與‘北京共識’』. 社會科學文獻出版社.
張仲. 2011年 14期. 「“三線建設”爲重慶經濟騰飛做儲備」. 『重慶與世界』.
鄭永年. 2010. 『中國模式: 經驗與困局』. 浙江人民出版社.
丁學良. 2011. 『辯論“中國模式”』. 社會科學文獻出版社.
何一民·周明長. 2009年 9期. 「156項工程與中國工業城市的新生」. 『中國城市經濟』.
許經勇. 2011年 23期. 「從經濟特區到綜合配套改革試驗區」. 『北方經濟』.
黃亞生. 2011. 『“中國模式”到底有多獨特?』. 中信出版社.
Aihwa Ong. 2006. Neoliberalism as Exception: Mutations in Citizenship and Sovereignty. Duke University Press.
John Agnew. 1994. “The territorial trap: the geographical assumptions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Vol. 1, Issue 1, pp. 59~60.
Kris Olds. 2001. Globalization and Urban Change: Capital, Culture, and Pacific Rim Mega-Projects. Oxford University Press.
Neil Brenner. 1999. “Beyond State-Centrism? Space, Territoriality and Geographical Scale in Globalization Studies.” Theory and Society, Vol. 28, Issue. 1, pp. 45~46.
http://cqcbepaper.cqnews.net/cqcb/html/2011-06/17/content_1378248.htm
http://europe.chinadaily.com.cn/business/2012-04/26/content_15148555.htm
http://news.southcn.com/china/zgkx/content/2009-02/02/content_4874296.htm
http://sunday.joins.com/archives/19442
http://www.atkinsglobal.com/en-GB/asia-pacific
http://www.caupd.com/into/into.asp
http://www.dooland.com/magazine/article_798317.html
http://www.gov.cn/zwgk/2009-02/05/content_1222355.htm
http://www.liangjiang.gov.cn/Content/2015-07/31/content_151191.htm
http://www.tylin.com/?locale=en
www.liangjiang.gov.c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