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동자원의 지속가능성과 마을만들기 전략 : 제주 가시리의 사례

The Strategy of Community Building based on the CPR: The Case of Gasiri in Jeju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6, v.26 no.4, pp.267-295
https://doi.org/10.19097/kaser.2016.26.4.267
최현 (제주대학교)
김선필 (제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이 글은 자본주의의 발전 과정에서 단절된 공동자원과 공동체의 관계를 현대적 방식으로 복원함으로써 공동자원을 지속가능하게 관리할 수 있는 길을 찾기위해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제주도 가시리의 마을만들기 사례를 분석했다. 가시리는 마을 공동자원인 공동목장을 적극적으로 활용해 공동체와 공동자원의 관계를 복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을만들기 사업에 성공한 대표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가시리의 공동목장은 과거 마을 주민들의 생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던공동자원이었지만, 화학비료와 농기계의 보급, 축산업의 퇴조 같은 이유로 관계가점차 단절되었다. 공동목장은 더 이상 유지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외지인이나대기업에 팔려 골프장이나 리조트로 개발될 가능성이 커져갔다. 하지만 마을 지도자들의 헌신적인 노력으로 공동목장과 마을 주민들의 관계는 다시 복원될 수있었다. 이제 공동목장은 마을 주민들의 공동복지(commonwealth)를 위해 이용·관리되고 있으며, 마을의 문화공간, 교육공간, 양로원, 공동목욕탕 등 마을의 새로운 공동자원을 마련할 수 있는 경제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가시리 공동목장은 새로운 방식으로 마을 주민들과 유대관계를 형성함으로써 진정한 지속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성공에는 마을만들기 전략이 큰 역할을 했다. 즉, 공동자원과 공동체의 관계를 현대적 방식으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마을만들기 전략이 매우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이 글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공용자원, 공동자원, 자산기반 공동체 발전 전략, 마을만들기 전략, 제주도, commons, common pool resource, asset-based community development, community building strategy, Jeju island

참고문헌

1.

가시리. 1988. 『가스름』.

2.

강만익. 2004. 「일제강점기 제주도 공동목장의 운영실태」. 『전국향토문화공모전수상집』 제19회. 전국문화원연합회, 17∼74쪽.

3.

강만익. 2011. 「일제시기 제주도 마을 공동목장조합 연구」. 제주대학교박사학위논문.

4.

강민식. 2014. 「가시리유채꽃플라자, 농촌건축대전 대상 수상」. ≪제주레저신문≫2014.09.29.

5.

강정만. 2012. 「제주도 12일~10월 10일 마을공동목장 실태조사!」. ≪뉴시스≫ 2012. 09.11.

6.

김선필·정영신. 2013. 「제주의 소규모학교 통폐합 논쟁과 공공성의 재구성」. ≪탐라문화≫ 제43호, 229∼263쪽.

7.

김양현. 2016. 「마을 경관 개선사업에서 나타나는 주민참여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석사학위논문.

8.

김정헌. 2010a. 「제주도 표선면 가시리와 ‘신문화공간 조성사업’(1)」. ≪프레시안≫2010.07.16.

9.

김정헌. 2010b. 「제주도 표선면 가시리와 ‘신문화공간 조성사업’(2)」. ≪프레시안≫2010.07.23.

10.

김태연. 2015. 「이주민, 이민자, 정착주민, 뭐라고 부르면 좋을까?」. ≪제주의소리≫2015.09.19.

11.

라인보우(Peter Linebaugh). 2012. 『마그나카르타 선언』. 정남영 역. 갈무리.

12.

박진도. 2011. 『순환과 공생의 마을만들기』. 교우사.

13.

반스(Peter Barnes). 2016. 『우리의 당연한 권리, 시민배당』. 위대선 역. 갈마바람.

14.

볼리어(David Bollier). 2015.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배수현 역. 갈무리.

15.

안봉수. 2015. 「인터뷰 자료(2015.07.15)」.

16.

양기훈. 2014. 「양기훈의 제주마을 탐방(4): 표선면 가시리」. ≪한라일보≫2014.08.21.

17.

오스트롬(Elinor Ostrom). 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윤홍근·온도경 역. 랜덤하우스.

18.

윤순진. 2004. 「옛날에 공유지를 어떻게 이용했을까?」. 『한국의 전통생태학』. 이도원편. (주)사이언스북스, 136∼169쪽.

19.

윤순진. 2016. 「제주 마을공동목장 해체의 원인과 사회·생태적 귀결」. 『공동자원의섬 제주1: 땅, 물, 바람』. 최현 외. 진인진, 177∼233쪽.

20.

윤양수. 1987. 「제주도 마을 공동재산의 시·군에의 귀속과 그에 따른 주민권익문제」. ≪제주대학교 논문집≫ 제24호, 9∼54쪽.

21.

이가라시 다카요시. 2016. 『현대총유론』. 최현 외 역. 진인진.

22.

이노우에 마코토. 2014. 『공동자원론의 도전』. 최현·정영신·김자경 역. 경인문화사.

23.

이자원. 2015. 「제주 가시리 마을만들기 사례를 통한 한국형 마을만들기 연구」. ≪탐라문화≫ 제46호, 96∼127쪽.

24.

조석곤. 2003. 『한국 근대 토지제도의 형성』. 해남.

25.

좌동철. 2014. 「가시리, 행복마을만들기 콘테스트 대통령상」. ≪제주신보≫2014.11.10.

26.

전대욱·최인수·김건위. 2016. 「지역공동체 소유권과 자산화 전략」. 『한국행정학회 60주년 기념 하계공동학술대회 및 국제학술대회 자료』.

27.

정창원. 2013. 「중국 춘추시기를 중심으로 본 신(信)관념」. ≪탐라문화≫ 제42호, 165∼188쪽.

28.

정창원. 2014. 「戰國시기를 중심으로 본 信 관념의 변화-제주지역 공유재 연구를 위한 담론 II」. ≪탐라문화≫ 제46호, 75∼76쪽.

29.

제주특별자치도. 2012. 『제주의 마을을 품다』.

30.

지금종. 2011. 「농촌 커뮤니티 활성화와 문화 활동-제주도 가시리 마을 신문화공간조성사업 추진 사례를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제6호, 311∼339쪽.

31.

최 현. 2013a. 「공동자원 개념과 제주의 공동목장」. ≪경제와 사회≫ 제98호, 12∼39쪽.

32.

최 현. 2013b. 「제주의 토지와 지하수-공동자원으로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EC O≫ 제17권 제2호, 79∼106쪽.

33.

최 현. 2016. 「공동자원이란 무엇인가?」.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땅, 물, 바람』. 최현외. 진인진, 23∼40쪽.

34.

최현·김선필. 2014. 「제주의 바람: 공동자원론적 관리 방식」. ≪탐라문화≫ 제46호, 96∼127쪽.

35.

최현 외. 2016a. 『공동자원의 섬 제주 1: 땅, 물, 바람』. 진인진.

36.

최현 외. 2016b. 『공동자원의 섬 제주 2: 지역 공공성의 새로운 지평』. 진인진.

37.

페데리치(Silvia Pederici). 2013. 『혁명의 영점』. 황성원 역. 갈무리.

3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13. 「‘가시리의 마을만들기 이야기’ 현장토론회 개최」. ≪농경나눔터≫ 제403호, 19쪽.

39.

McKnight, John and John Kretzmann. 1996. Mapping Community Capacity. Evanston, IL:Northwestern University Institute for Policy Research. http://www.abcdinstitute. org/docs/MappingCapacity.pdf.

40.

Rowland, Stan. 2008. “What is Asset Based Community Development(ABCD)”. Collaborative of Neighborhood Transformation. Retrieved 22 February 2015. http://www.neighborhoodtransformation.net/pdfs/What_%20is_Asset_Based_Comm unity_Development.pdf.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