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비주거용 부동산 종합부동산세 개선방안

A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on Non-Residential Property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8, v.28 no.1, pp.267-299
https://doi.org/10.19097/kaser.2018.28.1.267
박준 (서울시립대학교)
박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Abstract

현행 비주거용 부동산 종합부동산세는 비주거용 부동산 건물분이 제외되어 있고 비주거용 부동산 토지분인 별도합산의 과세기준 금액이 80억 원의 고액으로설정되어 비주거용 부동산 소유주의 상대적 세 부담이 적게 되는 구조를 가지고있다. 이 연구에서는 주요 비교대상국의 관련 부동산보유세제 검토와 유형별 세부담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조세 형평성 문제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을제시한다. 주요 비교대상국가의 부동산보유세 체계에서는 비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세제상 혜택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또한 비주거용 부동산 건물분 비과세와 토지분 별도합산 및 고액의 과세기준금액 산정의 논리적 근거가 약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부동산 유형별 세 부담 시뮬레이션 분석에서 비주거용 부동산 포트폴리오의실효세율이 주택 및 토지 실효세율의 20~40% 수준으로 나타나 세 부담이 현저히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도입준비가 마무리에 있는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제도는 비주거용 부동산 종합부동산세를 개선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이를 활용하여 비주거용 부동산의 건물분과 토지분을 통합 과세하는 방식으로 비과세인 건물분을 과세대상으로 편입하고 과세기준금액과 과세구간 및 세율을 타 유형 및 재산세 체계와의연계를 고려하여 개선함으로써 조세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non-residential property, Comprehensive Real Estate Holding Tax, simulation analysis, tax equity, 비주거용 부동산, 종합부동산세, 가격공시제도, 시뮬레이션 분석, 조세 형평성

참고문헌

1.

국세청. 2016. 『부동산과 세금』. 국세청.

2.

국세청. 2017. 『국세통계연보』. 국세청.

3.

국토교통부. 2016. 『2016년도 부동산가격공시에 관한 연차보고서』. 국토교통부.

4.

김경환•손재영. 2010. 『부동산경제학』. 건국대학교출판부.

5.

김행선•윤태연. 2016.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도입에 따른 재산세 과세체계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6.

남기업•성승현•조성찬. 2014. 『주요국의 부동산 세제 비교연구』. 토지+자유연구소.

7.

노영훈. 2005. 「종합부동산세의 쟁점사항과 향후 정책과제」. ≪재정포럼≫, 104권, 5~25쪽.

8.

박상수. 2015. 『비주거용 건물 시가표준액 조정기준 개선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9.

박상수•유보람. 2016. 『비주거용부동산 가격공시제도 도입 시 과표 및 세수영향 분석』. 한국지방세연구원.

10.

박상수•임민영. 2013. 『비주거용 부동산에 대한 재산세 부담 수준의 분석 및 정책방향』. 한국지방세연구원.

11.

박준•김재환•배유진. 2015. 「부동산 공시 가격 현실화에 따른 가계 세 부담 변화 분석」. ≪부동산연구≫, 25권 3호, 137~156쪽.

12.

박준•박상수•이상훈. 2018. 「부동산 공시 가격 변화에 따른 지방재정 영향 분석」. ≪국토연구≫, 96권, 83~102쪽.

13.

박준•이태리. 2016. 「부동산보유세 변화의 거시경제 파급효과 분석」. ≪도시행정학보≫, 29권 4호, 93~116쪽.

14.

박준•이태리•배유진•정희남•최수. 2014. 『부동산보유세 변화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연구』. 국토연구원.

15.

안종석. 2012. 『주요국의 조세제도: 호주편』. 한국조세연구원.

16.

안창남. 2009. 『주요국의 조세제도: 프랑스편』. 한국조세연구원.

17.

유태현•이상호. 2016. 『비주거용 부동산 가격공시제도 도입에 대비한 지방세 과세체계 개편방안』. 한국지방세연구원.

18.

이동식. 2010. 「가족합산과세제도의 합헌성: 종부세 사건에 대한 헌재판결의 타당성검토를 중심으로」. ≪공법연구≫, 39권 2호, 545~570쪽.

19.

이선화. 2015. 『부동산 자산 분포 및 재산과세 부과특성 분석』. 한국지방세연구원.

20.

이정전. 1999. 『토지경제학』. 박영사.

21.

차동섭•최민섭. 2016. 「비주거용 건물의 기준시가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주거환경≫, 14권 1호, 135~150쪽.

22.

통계청. 2013. 『국가자산통계』. 통계청.

23.

통계청•한국은행. 2014. 『2013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청•한국은행.

24.

통계청•한국은행. 2017. 『2016 국민대차대조표』. 통계청•한국은행.

25.

한상국. 2011. 『주요국의 조세제도: 대만편』. 한국조세연구원.

26.

행정자치부. 2013. 『지방세통계연감』. 행정자치부.

27.

행정자치부. 2016. 『지방세통계연감』. 행정자치부.

28.

홍원철•정준호•서광채. 「비주거용 부동산 과세평가의 수직적 형평성 분석」. ≪주거환경≫, 14권 4호, 383~402쪽.

29.

OECD. 2016. Revenue Statistics 1965-2016.

30.

≪문화일보≫. 2005.5.10. “종합부동산세 기업만 덤터기쓰나”.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