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제주특별자치도의 유원지 개발방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예래휴양형주거단지 개발사업 중단 사례를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Amusement Park Development Method: A Case Study on the Stopped Yerae Resort-Type Residential & Commercial Complex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9, v.29 no.3, pp.114-157
https://doi.org/10.19097/kaser.2019.29.3.114
조성찬 (하나누리 동북아연구원)

Abstract

본 연구의 핵심 문제의식은, 외부 개발주체에게 막대한 개발이익을 안겨주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유원지 개발방식은 지역을 발전시키기보다는오히려 지역사회를 파괴하는 방식이라는 관점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하여2015년 3월에 대법원 판결로 중단된 예래사업을 사례로 제주특별자치도의 유원지개발방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대안을 탐색했다. 비판적 검토는 ‘공유자원 사유화 모델’에 입각했으며, 대안 모색은 ‘토지가치 공유형 지역자산화’에 입각했다. 비판적 검토의 이론적 기초인 ‘공유자원 사유화 모델’에 입각하여 예래사례를분석한 결과, 제주특별자치도는 유원지에 대해 대자본에게 특권적인 개발권을 부여하여 과도한 개발을 추진하다가 대법원의 원인무효 판결로 사업 추진의 정당성을 상실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해당 지역사회는 물론 한국 사회 전체가 심각한 영향을 받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첫째, 예래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면서 원주민이 소외되고 지역 공동체가 갈등 상황에 빠졌다. 둘째, 예래사업 중단으로 자원 낭비와 환경파괴가 진행되었다. 셋째, 투자자-국가 소송(ISDS)을 포함한 각종법적 분쟁으로 행정력이 과도하게 소요되고 있다. 대안 모색은 ‘토지가치 공유형 지역자산화’에 입각하여 진행하였다. 대안의 기본적인 방향성은 정부 기관의 독점적 지배권 행사를 막고, 지역 공동체가 보다 실질적인 주체로 참여하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지역자산화 전략으로, 예래사업에 적합성이 높은 토지협동조합을 예래사업의 출구전략으로 삼았다. 기본 원칙은현 유원지 사업을 도시개발사업으로 전환하되, 사업주체를 새롭게 예래토지협동조합으로 하여 토지 및 건물을 확보하고 곶자왈 빌리지를 하나의 지역자산(community asset)으로 전환하여 지역사회가 이익을 공유할 수 있는 구조로 재추진하는 것이다.

keywords
유원지,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제주국제자유도시, 사유화, 지역자산화, Amusement Park, Yerae Resort-Type Residential & Commercial Complex Development, Jeju Free International City, Privatization, Community Asset

참고문헌

1.

‘Pre’ 제주사회포럼. 2016.3.31. 「제주사회 평가와 과제」.

2.

≪연합뉴스≫, 2015.7.17. “서귀포 예래휴양형단지 개발 무산 위기.”

3.

≪제주국제신문≫, 2019.9.19. “이호유원지 조성 사업계획 전면 재검토 촉구.”

4.

≪제주의소리≫, 2015.7.15. “대법 판결 4개월 만에 예래휴양형 주거단지 결국 공사 중지.”

5.

Jones Lang LaSalle. 1999.9.1.-2000.4.30.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타당성 조사 및 기본 계획수립 연구용역’ 보고서」

6.

NICE신용평가(주). 2015.1.14. 「버자야제삼차(주) 신용등급 평가 보고서」.

7.

강남규. 1985. 『제주도 토지투기 실태』. 돌베개.

8.

강대선. 2007. 「지역사회복지 자산화를 위한 지역사회역량의 분포특성 및 접근방향: 제주도 대상」. ≪國土計劃≫, Vol.42, No.4.

9.

고등법원 판결문. 2011.1.12. (제주)2009누401 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 등.

10.

김동주. 2016. 「제주도 풍력자원 공유화운동 분석: 프레임과 레퍼토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Vol.20.

11.

김자경. 2017. 「커머닝 개념을 통한 마을의 문제 해결 방안에 관한 사례 연구」. ≪로컬리티 인문학≫, No.17.

12.

김중은‧이민정. 2017. 「도시계획시설로서 유원지의 공공성 강화 방안 연구」. ≪국토연구≫, 2017.6, 61~74쪽.

13.

대법원 판결문. 2015.3.23. 2011두3746 토지수용재결처분취소등.

14.

박성남·이은석. 2019. 「공동체토지신탁의 국내 도입가능성 고찰: 국내 지역사회자산화, 대안주거 및 도시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설계한국도시설계학회지≫, 제20권 제1호(통권 제91호),

15.

박수빈·남진. 2016. 「젠트리피케이션의 부작용 방지를 위한 지역공동체 역할에 관한 연구」. ≪서울도시연구≫, Vol.17 No.1,

16.

박환용 외. 2015. 『도시계획시설 입지구조기준 정비방안 연구』. 국토교통부.

17.

삼성경제연구소·제주발전연구원. 2011.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2012-2021)』.

18.

이영웅. 2016. 「제주지역 유원지 개발사업 추진 현황과 과제」. 제주환경운동연합.

19.

이정민 자료. 2015. alog.auric.or.kr/home/sindori.aspx.

20.

정이근·김대래. 2017. 「둥지 내몰림: 부산의 사례와 대책」. ≪부산연구≫, Vol.15, No.2.

21.

제주 MBC. 2015.4.10. <시사진단> “불법 논란 관광개발 대책은?”

22.

제주특별자치도 국제자유도시건설교통국. 2015.4.6. 『현안업무보고』.

23.

제주특별자치도. 2002. 「제1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2002-2011)」.

24.

제주특별자치도. 2006. 「제1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보완계획(2006-2011)」.

25.

제주특별자치도. 2011.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2012-2021)」.

26.

제주특별자치도. 2014. 「‘예래휴양형주거단지’ 관광단지 지정(변경)·조성계획 승인(변경) 고시」, 제2014-43호.

27.

조성찬. 2016a. 「‘공유자원 사유화 모델’에 기댄 제주국제자유도시 발전전략의 비판적 검토」. ≪공간과 사회≫, 2016년 6월호(제26권 2호).

28.

조성찬. 2016b. 「도시재생에서 공유경제 실현을 위한 ‘토지가치 공유형 지역자산화 모델’ 연구」. ≪입법·정책≫, 서울특별시의회, 제14호 2016년 6월, 107~132쪽.

29.

조성찬‧성승현. 2014. 「공공토지임대제의 한계 극복을 위한 토지협동조합 모델 및 전통시장 적용 연구」. ≪도시행정학보(KCI)≫, 2014년 3월, 제27집 제1호, 1~33쪽.

30.

조준혁. 2011. 「영상제작단지의 도시마케팅 자산화 과정 연구: 고양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14, No.3.

31.

네이버 검색 자료: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4&dirId=410&docId=35009549&qb=67KE7J6Q7JW8&enc=utf8&section=kin&rank=1&search_sort=0&spq=0&pid=Skmp3soRR08ssa6jSnssssssss8-093362&sid=f%2B%2BFLCwOgDhdkIgTEXlT3A%3D%3D (검색일: 2015.7.29.).

32.

버자야레져 공시 정보: http://www.bursamalaysia.com/market/listed-companies/companyannouncements/677189.

33.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홈페이지(https://www.jdcenter.com/main.cs).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