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도시재생 논의에서 바람직한 도시재생 방안으로 제시된 목표와 전략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기존 연구 동향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통해 향후 도시재생방향을 모색하는 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도시재생 관련 논문 435편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각 연구 논문에서 강조하고 있는 전략을 4가지 범주(경제 활성화 전략, 주민 참여·시민사회 역량 강화와 거버넌스, 통합적 재생을 위한 도시재생 관련 법 제도 개선, 사회정책으로서 도시재생)로 구분하였으며, 이러한 전략을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도시재생의 목표를 경제적, 사회적, 통합적 목표로 구분하였다. 대부분의 연구가 도시재생 과정에서 젠트리피케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탈신자유주의적이고 민주적인 공간 실현을 추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복지를 강조하는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전략이나 목표가 젠트리피케이션을 방지하기 위한 도시재생과연결되지 않았음을 지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계층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 대안적 도시재생을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통해 종국적으로 지역주민들의 생활환경문제를 해결하고 거주 안정성을 확보해 주는 것과연결되어야 한다고 제안한다.
With the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research in Korea, this paper considers the aims and strategies suggested for alternative urban regeneration in the debate. This paper aims to contribute to discovering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the future. Reviewing the research of 435 papers, the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physical and economic revitalization, residents’ and citizens’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urban regeneration as a social policy, and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for better urban regeneration policy. Furthermore, the aims of the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are classified into three: economic, social and holistic perspectives. Despite there being an understanding of urban regeneration as practice for post-neoliberal space, little research tries to connect the aims and strategies specifically suggested in the papers and the ways to prevent from gentrification. In order the lower class not to be swept from the area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living environments, such as affordable housing and safe public spaces, and the welfare of resident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강맹훈‧송혜승‧이명훈. 2017. 「거주자 및 상인 집단의 도시재생사업 만족도에 관한연구: 서울시 도시재생활성화지역 13곳을 대상으로」. ≪주택도시연구≫, 7(3), 19~33쪽.
강혜규‧엄태영‧류진아. 2017. 「도시재생사업에서의 사회복지사업 유형 및 내용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7(7), 31~43쪽.
곽동근‧임영상. 2017. 「고려인동포의 ‘귀환’과 도시재생: 안산 고려인마을을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제64집, 175~212쪽.
고주연‧이승일. 2017. 「일본의 지속가능 도시재생 계획에 관한 사례 연구: 입지적정화계획의 도시기능유도구역 설정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52(6), 5~25쪽.
권정주‧황희연‧박기용. 2017. 「도시재생 거버넌스 참여주체의 의사결정 영향력 분석: 청주시 중앙동 도시재생사업 추진과정을 대상으로」. ≪국토계획≫, 52(2), 5~20쪽.
김동우‧오세규. 2017. 「국내 쇠퇴도시 주거지역 재생사업 추진전략 비교」.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9(1), 99~106쪽.
김상묵‧황종술. 2015.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 제60권, 87~105쪽.
김용창‧강현수. 2018. 「도시재생,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도시에 대한 권리」. 한국도시연구소 엮음.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서울: 한울아카데미, 432~467쪽.
김인서‧나주몽. 2018. 「도시재생사업의 문화영향평가 지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문화정체성 지표를 중심으로」.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집≫, 8(3), 451~466쪽.
김태헌‧김주리. 2017. 「도시재생이 관광수용태세와 도시관광활성화 및 관광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 명동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13(4), 91~113쪽.
김학범. 2017. 「도시재생 지역의 CPTED요소에 대한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16(2), 29~56쪽.
김혜진. 2014. 「상하이의 문화적 도시재생이 지역 커뮤니티에 미친 영향: 텐즈팡 사례를 중심으로」. ≪한중사회과학연구≫, 12(4), 181~211쪽.
문창용‧신우진. 2017. 「도시재생활성화지역 내 관광숙박시설 특성이 이용 만족도에미치는 영향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집』, 1~12쪽.
박미규‧황희연. 2014. 「참여관찰기법을 통한 쇠퇴상업지 프리마켓 운영과정에서의 참여주체별 특성 분석: 마산 창동 ‘골목여행 그리고 프리마켓’을 중심으로」. 『2014 한국지역개발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43~363쪽.
박세훈‧주유민. 2014. 「도시재생을 위한 문화지구정책 거버넌스 연구: 부산광역시또따또가를 사례로」. ≪국토연구≫, 제83권, 49~67쪽.
박성현‧이경아‧유창호‧이보형. 2018. 「철도폐선부지를 활용한 선형공원의 도시재생효과」. ≪한국지적정보학회지≫, 20(1), 109~120쪽.
박원석. 2017. 「도시재생사업에서 리츠의 활용방안」. ≪주택도시연구≫, 7(2), 1~17쪽.
박윤미. 2018. 「인구감소, 축소도시, 그리고 도시재생」. ≪건축≫, 62(6), 28~32쪽.
박인권. 2015. 「포용도시: 개념과 한국의 경험」. ≪공간과 사회≫, 25(1), 95~139쪽.
박진석. 2017. 「지역 커뮤니티 재생을 통한 도시재생사업의 성과와 문제점 연구: 영국의 커뮤니티 재생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33(2), 41~51쪽.
박혁서. 2018. 「일본의 콤팩트 도시 구축을 통한 지방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다핵네트워크형 콤팩트 도시 구축과 단핵 콤팩트 도시 구축의 비교 분석」. ≪주거환경≫, 16(2), 197~219쪽.
송애정‧김예성. 2018. 「크라우드 펀딩을 활용한 일본의 도시재생 재원확보 사례와시사점」. ≪도시행정학보≫, 31(3), 29~40쪽.
신동호. 2014. 「독일 루르지역의 지역재생정책: 추진과정과 성과에 대한 경로이론적접근」.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7(1), 200~213쪽.
신우화‧신우진. 2018. 「도시재생사업 유형별 성과관리지표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5), 39~52쪽.
신현주‧강명구. 2017. 「도시재생사업에서 주민 참여 수준에 관한 연구: 서울시 용산구 해방촌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3), 25~46쪽.
심재승. 2014. 「콤팩트시티(compact city)와 지방도시의 재생: 일본의 토야마(富山)시를 중심으로」. ≪한국지적정보학회지≫, 16(3), 197~215쪽.
심현남‧나인수‧김세용. 2015. 「도시재생사업에서 사업추진기구의 단계별 특성에 관한 연구: 창원 도시재생테스트베드 상가지구 도시재생 신탁업무센터를 중심으로」. ≪계획계≫, 31(9), 109~118쪽.
안균오. 2015. 「도시정비사업의 주거세입자 권리에 관한 고찰: 존 롤스의 정의론 관점에서」. ≪도시행정학보≫, 28(2), 351~379쪽.
엄상근‧남윤섭. 2014. 「도시재생 정책 수립을 위한 지방중소도시의 도시쇠퇴지표 적용: 제주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3), 111~122쪽.
엄현태‧우명제. 2014. 「교외지역 신시가지 개발이 중심도시의 구시가지 쇠퇴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토계획≫, 49(5), 51~66쪽.
오윤경‧최현선‧이은지. 2013.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커뮤니티 지표의 구성」. ≪현대사회와 행정≫, 23(3), 1~21쪽.
온영태. 2012. 「새로운 도시재생의 구상」. 도시재생사업단 엮음. 『새로운 도시재생의 구상』. 서울: 한울, 9~17쪽.
유승수‧문준경‧고재찬‧채병선. 2014. 「도심활성화사업의 효과분석을 통한 도시재생방안 연구: 전주시 도심쇠퇴 및 도심활성화사업 전후의 비교를 중심으로」. ≪국토계획≫, 49(7), 33~51쪽.
유해연‧조훈희. 2013. 「프랑스 노후주거지 재생을 위한 근린재생 프로그램 연구」.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6), 19~32쪽.
윤병훈‧남진. 2018.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부동산학보≫, 제73집, 73~85쪽.
윤용석. 2014. 「커뮤니티 중심 도시재생을 위한 주민 참여 마을만들기 고찰과 개선방향」. ≪주택도시연구≫, 4(1), 33~43쪽.
윤희연. 2013. 「도시 공원의 경제적 역할: 미국 도시 재생 운동에서의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조경학회지≫, 41(4), 85~101쪽.
이광국‧양위주. 2014. 「문화도시재생을 위한 근대산업유산의 특화 공간 디자인에 관한 연구: 부산 자갈치 건어물시장 내 가로를 사례로」. ≪동북아 문화연구≫, 제41권, 5~19쪽.
이광국‧임정민. 2013. 「선진국의 도시재생 흐름 고찰과 시사점」. ≪국토계획≫, 48(6)521~547쪽.
이규복‧박태원. 2017. 「컨테이너 건축을 활용한 문화예술 기반 도시재생방안 연구:한시적 복합문화시설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Korea Institute of Design Research Society≫, 2(1), 50~61쪽.
이동훈. 2018. 「4차 산업 혁명 시대의 스마트 도시 재생을 위한 지역 정보화 정책제안」. ≪e-비즈니스연구≫, 19(2), 123~135쪽.
이미숙. 2018. 「창조적 도시재생을 위한 효과적인 전략 방안: 영국의 도시재생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9(3), 1033~1044쪽.
이보람‧허자연. 2018. 「도시재생사업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대안 연구-뉴욕시 로우라인 사례를 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31(1), 1~19쪽.
이삼수‧정광진. 2018.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의 개념과 현실」. 한국도시연구소엮음. 『도시재생과 젠트리피케이션』. 서울: 한울아카데미, 36~65쪽.
이삼수‧정성훈‧김정곤‧이상준. 2017. 「도시재생사업 특성을 고려한 재원조달 다각화방안」. ≪주택도시연구≫, 7(2), 19~35쪽.
이승우. 2013. 「도시재생사업의 본질과 재산권보장의 관계: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내용을 중심으로」. ≪공법연구≫, 42(1), 241~269쪽.
이연숙‧박성남‧박경난. 2013. 「천사마을 축제사업을 통한 근린재생 파트너십 사례고찰」. ≪국토연구≫, 제78권, 37~51쪽.
이영범. 2013. 「지역공동체 기업의 사회적 개발에 관한 연구: 런던 코인스트리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EU연구≫, 제33호, 281~312쪽.
이영아. 2014. 「주민의 인식과 태도로 본 도시 공동체의 현황과 과제: 대구 동구 안심지역을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3), 269~281쪽.
이영아‧서종균. 2016. 『도시재생과 가난한 사람들』. 국토연구원.
이영은. 2018. 「도시재생의 목적, 성장인가 지속인가」. ≪공간과 사회≫, 28(2), 5~11쪽.
이원동‧최명식. 2017. 「지역기반형 도시재생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 Greater University Circle Initiative(GUCI)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93권, 127~147쪽.
이유리‧이영훈. 2017. 「사회경제조직의 네트워크 효과에 따른 지역사회 영향 분석:성수동 소셜벤처 밸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3), 161~188쪽.
이재삼. 2017. 「도시재생법상 도시재생사업에 관련된 문제점 및 효율성 제고방안:문재인 정부의 도시재생뉴딜사업을 중심으로」. ≪토지공법연구≫, 제79집, 31~61쪽.
이정호‧박선명‧김상희. 2014. 「역사가로 정비사업에서 민관협력을 통한 공공성확보에 관한 연구: 대구광역시 근대문화골목 역사경관조성 개선사업을 중심으로」. ≪주거환경≫, 12(1), 67~81쪽.
이지현‧남진. 2016. 「도시재생특별법과 도시재생 관련법의 정합성 분석 연구」. ≪도시행정학보≫, 19(1), 35~61쪽.
이태희‧김예성. 2017. 「영국 근린재생정책의 변화과정과 그 배경에 대한 연구: 대처정부~신노동당정부의 재생정책을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95권, 21~40쪽.
이호정‧노수연. 2018. 「서울 중구 근대역사문화유산의 문화적 도시재생: 상하이 조계지의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인문사회21≫, 9(4), 1681~1694쪽.
임민택‧유진형. 2014. 「도시 공간의 재활성화를 위한 팝업 개념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9(4), 163~174쪽.
임병우. 2017. 「융합 디자인 요소로서 도시재생에 활용된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에관한 연구」.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455~461쪽.
임윤수‧최완호. 2014. 「도시재생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법제 개선방안: 민관협력방식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제54호, 169~187쪽.
임지혜‧오세경. 2013. 「인천 개항장의 문화 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문화교류연구≫, 2(1), 107~129쪽.
전병혜‧송혜승‧이명훈. 2017. 「도시재생을 위한 시민참여 교육프로그램의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4), 155~182쪽.
장문현‧이민석‧김화환. 2016. 「지방 대도시의 도시재생정책 지원을 위한 쇠퇴지표적용 연구」. ≪국토지리학회지≫, 50(4), 455~473쪽.
정성문‧강신겸. 2015. 「커뮤니티 관광개발에서의 이해관계자 간 네트워크 구조 분석:양립동 도시재생과정을 중심으로」. ≪관광연구논총≫, 27(4), 215~239쪽.
정윤아‧황희연‧이규선‧홍의동. 2013. 「쇠퇴주거지의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에대한 화폐가치 분석: 청주시 사직2동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4(5), 39~48쪽.
정해준‧한지형. 2014. 「영국 셰필드의 도심재생 전략 및 공간계획 특성: 1990년 이후마스터플랜을 중심으로」. ≪국토계획≫, 49(4), 155~177쪽.
정호경‧이종오. 2017. 「도시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다양성 연구: 런던 동부 문화소외지역의 문화거점 공간을 중심으로」. ≪글로벌문화콘텐츠≫, 제29호, 187~201쪽.
조성재. 2015.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의 개선방안: 체계 정당성및 지원방안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43, 267~297쪽.
조성찬. 2013. 「지대공유형 도시재생사업 모델의 활성화를 위한 공공토지임대제의정당성 연구」. ≪도시인문학연구≫, 5(2), 57~87쪽.
조용호‧류연택. 2017. 「수원시 도시쇠퇴의 공간적 패턴 및 도시재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2), 71~83쪽.
조준혁‧이영성‧정해영‧곽태우, 2014. 「쇠퇴한 지역에 사는 사람들은 건강도 쇠퇴할까?」. ≪국토계획≫, 49(6), 109~125쪽.
주대관. 2018. 「사회적 재생에서 공동체 참여와 배제: 해방촌 신흥시장 상생협약을사례로」. ≪공간과 사회≫, 28(2), 115~157쪽.
최문형‧김인제‧정문기. 2015. 「주거환경관리사업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길음동 소리마을 주민참여 재생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학회보≫, 27(4), 179~208쪽.
최민아‧최지민‧양동석. 2013. 「도시재생사업 모니터링 지표 구축 및 적용 방안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13(3), 51~60쪽.
최영숙‧이선영. 2017. 「도시재생과 커뮤니티 기반 조직의 역할: 런던 쇼디치 트러스트를 중심으로」. ≪국토연구≫, 제93권, 43~59쪽.
최영화. 2014. 「스트리트 퍼포먼스를 통한 도심공간재생과 문화관광자원화에 관한연구: 광주폴리 주변공간을 중심으로」. ≪Tourism Research≫, 39(2), 109~133쪽.
최종석‧김영훈‧임수영. 2013. 「대규모 일본 도시 재생 사업의 PF 자금 조달 방식과리스크 분산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15(4), 13~22쪽.
최종석‧최현재‧정철현. 2018. 「서울시 젠트리피케이션에 관한 시론적 연구」. ≪지방정부연구≫, 22(2), 341~360쪽.
최현주‧엄수원. 2015. 「사회적협동조합을 통한 마을만들기에 대한 시론적 연구」. ≪부동산경영≫, 제11집, 117~136쪽.
하창효. 2017. 「도시재생을 위한 새로운 금융수단으로서의 조세담보금융제도에 관한연구」. ≪기업법연구≫, 31(1), 503~526쪽.
Hall, P. 1996. Cities of Tomorrow. Oxford: Blackwell. 임창호 옮김. 2000. 『내일의 도시』. 한울.
Harvey, D. 1989. “From managerialism to entrepreneurialism: the transformation of urban governance in late capitalism.” Geografiska Annaler 71B, pp. 3~17.
Harvey, D. 2012. Rebel Cities: From the Right to the City in the Urban Revolution. Verso. 한상연 옮김. 2014. 『반란의 도시』. 에이도스.
Jacobs, J. 1993.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Random House. 유강은 옮김. 2010.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
Logan, J., and H. Molotch. 1987. Urban Fortunes: The Political Economy of Place. Berkeley, LA, London: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Peterson, P. E. 1981. City Limi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orter, L., and K. Shaw. 2009. Whose urban renaissance? an international comparison of urban regeneration strategies. London, New York: Routlege. 박재현 옮김. 2015. 『누구를위한 도시 르네상스인가?』. 국토연구원.
Slater, T. 2006. “The eviction of critical perspectives from gentrification research.”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Research, 30(4), pp. 737~757.
Smith, N. 1996. The New Urban Frontier: Gentrification and the Revanchist City. London:Routledge.
Taylor, M. 2011. Public Policy in the Community(2nd edition). Palgrave.
Zukin, S., and Braslow, L. 2011. “The Life Cycle of New York’s Creative Districts:Reflections on the Unanticipated Consequences of Unplanned Cultural Zones.”City, Culture and Society, vol.2, no.3, pp. 131~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