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를 커먼즈로 보아야 한다는 논의가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하지만 커먼즈를 이용과 관리대상으로보고적절한관리제도와규칙을고안하려는연구풍토로인해대기커먼즈 구성에 어떤 정치가 작동하는지는 충분히 탐구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커먼즈를 정치적 과 정이자 산물로 바라볼 것을 요청하는 ‘커먼즈 정치’를 이론적 틀로 활용하여 대기 커먼즈 정치를 탐색한다. 이를 위해 그간 한국에서 진행된 대기·기후 운동으로서 반공해 운동, 블 루스카이 운동, 미세먼지 대응 운동, 청년 기후 운동 등을 살펴보고, 각 대기·기후 운동에 서대기커먼즈를발화한맥락,발화한주체,상정한커먼즈권리공동체,대기커먼즈의탈 구성기제등을분석한다.이를통해유동하고보이지않는공간인대기에계급,도시관리, 국민 국가, 인정의 정치 등 정치적 과정이 각인되어 있음을 보이고, 대기 커먼즈를 통한 탈 영토적 정치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In the commons literature, there have been vast discussions based on the idea that atmospher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commons. Especially, appropriate in- stitutions or rules to manage the atmospheric commons have intensively been ex- plored from a view of the commons as an object of use and management. However, less attention has been paid to what political process has been inscribed into the at- mospheric commons and how it works. This article calls for rethinking the com- mons as a political process and political constitution. By using a theoretical frame- work of ‘politics of the commons’, this paper explores movements against air pollu- tion and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from the 1970s to 2010s: ‘Against Pollution Damage’, ‘Blue-sky’, ‘Against Fine Dust’, and ‘Youth Climate Movements’. This article analyzes where the atmospheric commons becomes to be spoken, who speak the atmosphere as a commons, how communities having the right to the commons are defined, and how the mechanism of decommonisation is supposed. This is ex- pected to show that the politics of class, urban management, nation-state, and rec- ognition has been carved into the atmosphere, the space of flow and invisibility. La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post-territorial poli- tics on the atmospheric commons.
공해반대시민운동협의회. 1986. 「창립선언문」. ≪공해와 생존≫, 창간호, 3.
공해추방운동연합. 1990. 「인간의 생존환경과 공해」. 『1990 지구의 날 기념자료집: 이 땅을, 이 하늘을 우리 모두를 위해』.
공해추방운동청년협의회. 미상. 『어디로 갈거나: 울산·온산 공해피해와 4만여 주민이주』.
구도완. 2006. 「한국 환경운동의 담론: 낭만주의와 합리주의」. ≪경제와사회≫, 128~153쪽.
국토연구원. 2013. 「산업단지 1,000개 시대와 산업입지 정책 과제」. ≪국토정책≫, 420, 1~8쪽.
권범철. 2019. 「도시 공통계의 생산과 전유: 오아시스 프로젝트와 문래예술공단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동술. 2013. 「우리나라 대기오염 역사, 규제의 변천, 현행 규제제도의 개선방안」. ≪한국대기환경학회지≫, 29(4), 353~368쪽.
김선기. 2016. 「청년세대 구성의 문화정치학」. ≪언론과 사회≫, 24(1), 5~68쪽.
김애란·임명재·정강환. 2016. 「메가이벤트가 개최지역과 주변지역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논총≫, 28(1), 203~221쪽.
김유경·김유신·박성현. 2010. 「국가 정체성(National Identity)의 정립을 위한 이론적 접근:Korean Dynamism의 철학적, 역사적 의미에 대한 고찰」.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5~25쪽.
김주희·이두갑. 2020. 「법정에 선 대기오염의 “화학적 인프라”: 서울 대기오염 소송(2007~2014)을 중심으로」. ≪ECO≫, 24(2), 129~168쪽.
김현우. 2020. 「기후위기 운동의 점화, 그러나 더 길고 단단한 운동을 시작할 때」. ≪의료와사회≫, (10), 96~107쪽.
그레이엄, 스티븐(Stephen Graham). 2019. 『수직사회: 새로운 공간은 어떻게 계층의 격차를강화하는가』. 유나영 옮김. 책세상.
깁슨 그레엄, J K(J. K. Gibson-Graham). 2013. 『그따위 자본주의는 벌써 끝났다: 여성주의 정치경제 비판』. 엄은희, 이현재 옮김. 알트.
라인보우, 피터(Peter Linebaugh). 2012. 『마그나카르타 선언: 모두를 위한 자유권들과 커먼즈』. 정남영 옮김. 갈무리.
류석진·조희정·이헌아. 2016. 『공동체의 오늘, 온라인 커뮤니티』. 미래인.
미야모토 겐이치(宮本憲一). 2016. 『공해의 역사를 말한다: 전후공해사론』. 김해창 옮김. 미세움.
박선아. 2017. 「한국사회 커뮤니케이션 세계와 기후운동: 한국 사회에서 대중적 기후운동은가능한가?」.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512~525쪽.
박용신. 2001. 「서울 스모그와 블루 스카이 2002」, ≪함께사는길≫.
박치현. 2019. 「1980년대의 자기기술: 민중, 중산층, 중민, 시민」. ≪역사문제연구≫, 41(1), 47~90쪽.
박희제. 2008. 「기후변화 논쟁을 통해 본 환경과학의 역할과 성격」. ≪ECO≫, 12(1), 183~216쪽.
볼리어, 데이비드(David Bollier). 2015. 『공유인으로 사고하라』. 배수현 옮김. 갈무리.
서울시. 2010. 서울통계. http://data.si.re.kr/node/357#print(검색일: 2020.12.22).
신동호. 2007. 『자연의 친구들 1: 환경운동 25년사』. 도요새.
안새롬. 2020. 「전환 담론으로서 커먼즈: 대기 커먼즈를 위한 시론」. ≪ECO≫, 24(1), 333~370쪽.
오스트롬, 엘리너(Elinor Ostrom). 2010. 『공유의 비극을 넘어: 공유자연 관리를 위한 제도의진화』. 윤홍근‧안도경 옮김. 알에이치코리아.
아키미치 토모야(秋道智弥). 2007. 『자연은 누구의 것인가: 공유에 관한 역사‧생태인류학적 연구』. 이선애 옮김. 새로운사람들.
우자와 히로후미(宇澤弘文). 2008. 『사회적 공통자본: 진보적 공공경제학의 모색』. 이병천 옮김. 필맥.
우자와 히로후미(宇澤弘文). 2019. 『사회적 공통자본의 경제학: 우자와 히로후미의 유고집』. 최현, 이병천, 김자경, 윤여일 옮김. 진인진.
윤순진. 2002. 「기후변화와 기후변화정책에 내재된 환경불평등」.≪ECO≫, 8~42쪽.
윤순진. 2016. 「한국 언론기자의 기후변화 인식과 보도 태도」. ≪ECO≫, 20(1), 7~61쪽.
윤순진, 차준희. 2009. 「공유지 비극론의 재이해를 토대로 한 마을숲의 지속가능한 관리」. ≪농촌사회≫, 19(2), 125~166쪽.
윤해영. 2020. 「영향, 연결, 행동」. 『인플루언서』. 민음사.
이병천. 2019. 「우자와 히로후미의 사회적 공통자본론, 어떻게 읽을 것인가」. 『사회적 공통자본의 경제학: 우자와 히로후미의 유고집』. 진인진.
이수경. 1987. 공해반대 시민운동을 위한 제언. ≪공해와 생존≫, 6, 4~5쪽.
정영신. 2016. 「엘리너 오스트롬의 자원관리론을 넘어서: 커먼즈에 대한 정치생태학적 접근을 위하여」. ≪경제와사회≫, 20(1), 399~442쪽.
정영신. 2019. 「커먼즈론에 입각한 사회변동 연구를 위한 개념적 접근」. 장훈교, 최현, 윤여일, 박서현 편. 『공동자원의 영역들』. 진인진.
정영신. 2020. 「한국의 커먼즈론의 쟁점과 커먼즈의 정치」. ≪아시아연구≫, 23(4), 237~259쪽.
조홍섭. 1992. 「우리나라 환경문제의 현주소」. ≪과학사상≫, 3, 110~124쪽.
지방의제21전국협의회, 2002년월드컵축구대회문화시민운동중앙협의회, 쓰레기문제해결을 위한시민운동협의회, BLUE SKY 2002 운동본부(2002), 『2002 월드컵축구대회 시민환경실천수칙』.
위한시민운동협의회, BLUE SKY 2002 운동본부(2002), 『2002 월드컵축구대회 시민환경실천수칙』.
카프라, 프리초프(Fritjof Capra), 마테이, 우고(Ugo Mattei). 2019. 『최후의 전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커먼즈와 생태법』. 박태현·김영준 옮김. 경희대학교 출판문화원.
티커너, 안(J. Ann Tickner). 2007. 『여성과 국제정치』. 황영주 외 옮김. 부산외국어대학교출판부.
프레이저, 낸시(Nancy Fraser). 2010. 『지구화 시대의 정의: 정치적 공간에 대한 새로운 상상』. 김원식 옮김. 그린비.
한겨레. 2002.02.19. 「2002 환경월드컵 자동차 배출가스 무료점검 시민캠페인」.
한국공해문제연구소. 1983. 『내땅이 죽어간다: 공해문제의 인식』. 일월서각.
환경부. 2002.02.14. 월드컵 시민 환경실천수칙 발표. https://www.me.go.kr/home/web/board/read.do?pagerOffset=14440&maxPageItems=10&maxIndexPages=10&sea rchKey=&searchValue=&menuId=286&orgCd=&boardId=82547&boardMasterId=1&boardCategoryId=&decorator(검색일: 2020.12.14).
Araral, E. 2014. “Ostrom, Hardin and the commons: A critical appreciation and a revisionist view.” Environmental Science & Policy 36, pp.11~23.
Bauwens, M. Kostakis, V., Troncoso, S., and Utratel, A. M. 2017. Commons Transition and P2P: A Primer. P2P Foundation.
Bollier, D. 2004. Who Owns the Sky? Reviving the Commons. In These Times. https://inthesetimes.com/article/who-owns-the-sky(검색일: 2021.1.28).
Bollier, D. & Helfrich, S. 2019. Free, Fair, and Alive: The Insurgent Power of the Commons. Gabriola Island, BC, Canada: New Society.
Bryant, R. 1998. “Power, Knowledge and Political Ecology in the Third World: A Review.”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2(1), pp.79~94.
Buck, S. J. 1998. The Global Commons: An Introduction. Washington, D.C: Island Press.
Carroll, S. 2015. An empire of air and water: Uncolonisable space in the British imagination. Philadelphia: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Coleman, D. 2016. “An Empire of Air and Water: Uncolonizable Space in the British Imagination, 1750–1850.” European Romantic Review, 27(1), pp.87~90.
Federici, S. 2010. “Feminism and the Politics of the Commons.” in Hughes, C. et al(eds.). Uses of a Whirlwind: Movement, Movements, and Contemporary Radical Currents in the United States. Oakland, CA: AK Press, pp.379~390.
Flyvbjerg, B. 2006. “Five misunderstandings about case-study research.” Qualitative inquiry, 12(2), pp.219~245.
Fraser, N. 2000. “Rethinking recognition: Overcoming Displacement and Reification in Cultural Politics.” New left review, 2(3), pp.107~120.
Graham, S. & Hewitt, L. 2013. "Getting off the ground: On the politics of urban verticality." Progress in Human Geography, 37(1), pp. 72-92.
McGinnis, M. & Ostrom, E. 1996. “Design principles for local and global commons.” The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2, pp.465~493.
Nayak, P. K. & Berkes, F. 2011. “Commonisation and decommonisation: understanding the processes of change in the Chilika Lagoon, India.” Conservation and Society 9(2), pp.132~145.
Ostrom, E. 2010. “Polycentric systems for coping with collective action and global environmental change.” Global environmental change 20(4), pp.550~557.
Torres, G. 2001. “Who Owns the Sky? Seventh Annual Lloyd K. Garrison Lecture on Environmental Law.” Pace Environmental Law Review 18, pp.227~286.
Warlenius, R. 2018. “Decolonizing the atmosphere: the climate justice movement on climate debt.” The Journal of Environment & Development, 27(2), pp.131~155.
전북일보. 2002.7.27. 2002 환경월드컵을 통하여. http://kfem.or.kr/?p=61049(검색일: 2020. 12.13).
중앙일보. 2017.4.5. “미세먼지가 부른 新시민운동, 엄마들의 반란 ‘미대촉’”. https://news.joins.com/article/21443462(검색일: 2021.1.27).
한국일보. 2017.11.4. ““여의도가 못하면 내가…” 엄마는 정치 중”.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201711040490716330(검색일: 2021.1.27).
UNFCCC. 2020.8.12. “Young people are boosting global climate action.” https://unfccc.int/news/young-people-are-boosting-global-climate-action(검색일: 202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