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메뉴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의 관계: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self-blame and shame

초록

본 연구는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 우울, 자기비난, 수치심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비난과 수치심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재학 중인 남녀 중학생 358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 척도, 우울척도, 자기비난 척도, 수치심 경향성 척도를 각각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통계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검증이 사용되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 자기비난, 수치심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변인들과의 관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수치심은 자기비난을 통하여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내현적 자기애 성향을 가지고 있는 청소년이 우울해 하는데 있어 자기비난이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시사해주고 있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이 수치심에 선행한다는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이 청소년 상담과정에 가지는 시사점과 제한점 그리고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내현적 자기애, 우울, 자기비난, 수치심,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self-blame, shame

Abstract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self-blame and shame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whether self-blame and shame would mediate in the 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For the current, 358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dministering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self-blame and shame scale to participants and were analyzed by estimat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1)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self-blame and shame 2) covert narcissism showed full mediation effects on depression through self-blame. 3) 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depression were also mediated by a route from self-blame to shame. This study suggests that self-blame is a risk factor of depress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howing covert narcissism and also indicates that shame might precedes self-blame.

keywords
내현적 자기애, 우울, 자기비난, 수치심, covert narcissism, depression, self-blame, shame

참고문헌

1.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2.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보도자료 (2010). 정책지원실 통계정보공개부 http://www.hira.or.kr

3.

곽진영 (2009). 청소년의 자기애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추치심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권석만, 한수정 (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5.

권은미 (2006).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공포증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선하, 김춘경 (2006). 사회-환경적 변인과 인지적 변인이 청소년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의 경로분석. 한국아동학지, 27(6), 249- 261.

7.

김영순 (2007). 청소년의 자기비판적 우울과 의존적 우울을 예측하는 발달적 인지 대인관계 모형검증. 청소년학연구, 14, 225- 253.

8.

김정미 (2009). 대학생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정서의 관계: 자기비난과 수치심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16, 205- 225.

9.

김정미, 조현재 (2009).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자기비난 및 의존성의 역할: 대구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0, 283-306.

10.

남기숙 (2008). 수치심, 죄책감 경험과 대처가 심리 증상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1.

박미하 (2009). 신학대학교 학생과 일반대학교 학생의 수치심경향성, 자기불일치 우울, 심리적 안녕감에 대한 비교 분석.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성연, 이은경, 송주현, Bart Soenens (2008). 부모의 심리적 통제유형이 청소년의 의존심, 자아비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9(5), 65-78.

13.

박세란 (2004). 외현적·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귀인양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박혜진 (2003). 자기애, 자기효능감, 자의식 및 우울간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배병렬 (2007).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16.

맹수현 (2009). 아동·청소년 발달과정에 따른 자기애 변화.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서선이 (2007). 내현적 자기애와 정서조절이 심리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신현민 (2009).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사회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비합리적 신념을 매개변인으로.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심종온 (1999). 수치심경향성, 죄책감경향성 및 사건귀인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

아동청소년백서 (2009). 제3차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통계. 보건복지가족부.

21.

윤성민, 신희천 (2007).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4), 967-987.

22.

윤정혜 (2008). 자기애 측정도구 ISP 타당화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3.

오재은 (2006).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서울: 학지사.

24.

이상미, 이 숙 (2009). 내현적 자기애와 청소년의 우울 및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 놀이치료연구, 13(2), 15-28.

25.

이인숙, 이지연 (2009). 여성의 대상관계, 수치심, 자기침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0(4), 1951-1969.

26.

이인숙, 최해림 (2005).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ISS)의 타당화 연구. 애착, 과민성 자기애, 외로움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651-670.

27.

이진숙 (2008). 내현적 자기애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소극적 대처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구조 방정식 모형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원 논문.

28.

이혜미 (2009). 수치심경험과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비판적 인지양식과 회피철수대처의 매개효과 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9.

원주식 (2006). 내현적 자기애 성향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주관적 좌절 경험,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를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정승아, 오경자 (2005). 자기 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자의식의 매개효과와 자기제시 동기의 중재효과. 한국 심리학회지, 임상, 24, 887-901.

31.

정형수 (2008). 수치심을 지각하는 정도, 비난의 방향 및 대처방식과 우울과의 관계. 인간이해, 29, 1-18.

32.

조맹제, 김계희 (1993). 主要憂鬱症환자 예비평가에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진단적 타당성 연구, 神經精神醫學, 32(3), 381-399.

33.

조수진 (2007). 청소년의 내현적 자기애적 성향,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및 우울간의 관계.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조재임 (1997). 우울의 두 차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논문.

35.

조효진 (2009). 수치심 경험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최규남 (2008). 초등학생의 자기애적 성향과 성취목표지향성과의 관계. 백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한수정 (1999). 자기애적 성격 성향자의 외현적․내재적 자기관련 인지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한혜림 (2003). 자기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9.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 161-177.

40.

홍세희 (2001). 임상심리학 이론의 경험적 검증을 위한 최신 연구방법론: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매개모형과 잠재평균모형의 분석.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임상심리학회 3월 workshop 자료집.

41.

Abela, J. R. Z., &., & Taylor, G. (2003). Specific vulnerability to depressive mood reactions in schoolchildren: The moderating role of self-esteem.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2, 408-418.

42.

Akhtar, S., & Thomson, A.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43.

Akhtar, S. J. (1989).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Descriptive features and differential diagnosis.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12, 505-530.

44.

Allen, N. B., Horne, D. J. L., & Trinder, J. (1996). Sociotropy, autonomy, and dysphoric emotional responses to specific classes of stress: A psychophysiological evalu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5, 25-33.

45.

Beck, A. T. (1983).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ew perspectives. In P. J. Clayton & J. E. Barrett (Eds.), Treatment of depression: Old controversies and new approaches, 265-290. New York: Raven.

46.

Blatt, S. J., Quinlan, D., Chevron, E., Mcdonald, C., & Zuroff, D. (1982). Dependency and self-criticism: psychological dimensions of depress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0, 113-124.

47.

Bleiberg, E. (1994). Normal and pathological narcissism in adolescence. American Journal of Psychotherapy. 48, 30-51.

48.

Bradshaw, J. E. (1988). Home coming: Reclaiming and championing your inner child. Bantam Books.

49.

Brown,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136-162). Newbury Park, CA: Sage.

50.

Bruch, M. A. (1997). Positive thoughts or cognitive balance as a moderator of the negative life events-dysphoria relationship: A reexaminat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1-38.

51.

Cheung, M. S. P., Gilbber, P., & Irons, C. (2004). An exploration of shame, social rank and rumination in relation to depress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6, 1143-1153.

52.

Cooper, A. (1998). Further developments in the clinical diagnosi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E. Ronningstam (Ed.), Disorders of narcissism: Diagnostic, clinical, and empirical implications, 53-74. Washington, DC: American Phychiatric Press.

53.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 16-29.

54.

Erikson, E. H(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55.

Fresco, D. M., Heimberg. R. G., Abramowitz, A., Bertram, T. L. (2006). The effects of a negative mood priming challenge on dysfunctional attitudes, explanatory style, and explanatory flexibility.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5, 167-183.

56.

Gam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131-1327.

57.

Gamefski, N., Legerstee, J., Kraaij, V., Kpmmer, T., &Teerds, J. (2002). Cognitive coping strategies an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 comparison between adolescents and adults. Journal of Adolescence, 25, 603-611.

58.

Gramzow, R., & Tangney, J. P. (1992). Proneness to shame and the narcissistic personalit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18, 369-376.

59.

Hammen, C., Ellicott, A.,Gitlin, M., & Jamison, K. R. (1989). Sociotropy/Autonomy and vulnerability to specific life events in patients with unipolar depression and bipolar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8, 154-160.

60.

Hammen, C., Marks, T., Mayol, A., & Demayo, R. (1985). Depressive self-schemes, life stress,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4, 308-319.

61.

Hibbard, S. (1992). Narcissism, shame, masochism, and object relatons: An exploratory correlational study. Psychoanalytic Psychology, 9, 489-508.

62.

Hilsman, R., & Garber, J. (1995). A test of the cognitive diathesis-stress model of depression in children: Academic stressors, attributional style, perceived competence, and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370-380.

63.

Hokanson, J. E., & Butler, A. C. (1992). Cluster analysis of depressed college student's social behavio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2, 273-280.

64.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65.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66.

Kraaij, V., Garnefski, N., Wilde, E. J., Dijkstra, A., Gebhardt, W., & Doset, L. (2003). Nagative Life Events and Depressive Symptoms in Late Adolescence: Bonding and Cognitive Coping as Vulnerability Factors?. Journal of Youth Addlescence, 32, June 2003, 185-193.

67.

Lightsey, O. R. Jr. (1994). “Thinking positive” as a stress-buffer: The role of positive automatic cognitions in depression and happin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 325-334.

68.

Lightsey, O. R. Jr. (1999). Positive thoughts versus states or mind ratio as a stress moderator: Findings across four studies. Cognitie Therapy and Research, 23, 469-482.

69.

Lutwak, N., Panish, J., & ferrari, J. (2002). Shame and guilt: Characterological vs. behavioral self-blame and their relationship to fear of intimac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5, 909-916.

70.

Lutwak, P., Sabbe, B., Blatt, S. J., Meganck, S., Jansen, B., De Grave, C. Maes, F., & Corveleyn, J. (2007). Dependency and self- criticism: Relationship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severity of depression, and clinical presentation. Depression and Anxiety, 24, 586- 596.

71.

Metalsky, G. I., Halberstadt, L. J., & Abramson, L. Y. (1987). Vulnerability to deprssive moob reactions: Toward a more powerful test of the diathesis stress and causal mediation components of the reformulated theory of depres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612-617.

72.

Robins, C. J., Block, P., & Peselow, E. D. (1990). Cognition and life events in major depression: A test of the mediation and interaction hypothesis.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299-313.

73.

Robins, S. B., & Dupont, P. (1992). Narcissistic needs of the self and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 462-467.

74.

Robins, C. J., Hayes. A. M. Block, P., Kramer, R. J., & Villena, M. (1995). Interpersonal and achievement concerns and the depressive vulnerability and symptom specificity hyprotheses: A prospective stud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9, 1-20.

75.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S.,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hychology, 45, 18-29.

76.

Tram, J. M., Cole, D. A. (2000).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the relation between life events and depression symptoms in adolescence: Mediator or moderato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 753-760.

77.

Watson, P. J., Taylor, D., Morris, R. J. (1987). Narcissism, sex roles, and self-functioning, Sex Roles, 16, 335-350.

78.

Weissman, A. N., & Beck, A. T. (197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Dysfunctional Attitude Scale: A Preliminary investigation.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Toronto, Canada.

79.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590-597.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