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80년대들어 연구가 활발해진 집단주의-개인주의 이론의 문화비교연구들을 정리하여 보았다. 그동안 이루어진 경험적인 연구들을 [나]의 파악, 내외집단차별, 집단의 영향력으로 구분하여 그 이론의 타당성을 검 토하였다. 기존연구들이 몇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들이 그 이론의 개념적인 틀을 지지하는 증거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론을 검증하는 보다 세련된 연구방법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론의 한계및 문화의 다른 차원과의 관련을 밝히는 연구들이 바람직한 연구방향으로 제시되었다. 집단주의-개인주의 이론은 폭넓은 사회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대이론으로서 기능할 수 있으며, 아울러 심리학적 이론의 개발과 성립에 문화가 미친 영향을 명확히 함으로써 국내의 심리학자들에게 중요한 연구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To examine the utilities of the theory of individualism-collectivism, proposed by Triandis (1990), recent cross-cultural research on the theory was reviewed. The empirical researches were examined in four areas: cultural differences in the conception of 'self, discrimination between ingroup and outgroup members, conforming behaviors, and interaction disclosure. Although the methods of many researches are not appropriate for testing the theory, many works provide support to the conceptual framework of the theory. Discussions were centered on the aspects of the theory-testing and the possible refinements. The theory's contribution to the understanding of social acts is largely twofold: it has the potential of integrating many mid-range theories in various fields of psychology and it has clearly shown the importance of cultural mileu on psychological theorizing.
집단상호작용 후의 집단반응이나 평균이 개인들의 최초 반응 평균보다 동일한 방향으로 더 극단화되는 집단극화현상을 다룬 30년간의 연구들을 개관하였다. 초기 연구들에서는 집단이 개인보다 더 모험적이라는 모험이행으로 알려졌으나, 다양한 과제와 상황에 걸쳐 현상의 일반성이 확립됨으로써 개념적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추세와 더불어 많은 이론들도 명멸했는데, 현재는 정보적 사회 영향을 강조하는 설득주장이론과 규범적 사회 영향에 초점을 두는 사회비교이론이 가장 폭 넓은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초근의 자기범주화이론에서는 사회적 정체의 역할을 주장하면서 두 이론의 개념적 통합을 시도한다. 이 연구에서는 집단극화에 관한 연구경향의 역사적 흐름과 현황을 조명 해보고, 현상의 일반성과 대표적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논의하며, 마지막으로 장차의 연구방향과 과제를 검토했다.
Group polarization is the tendency for group interaction to produce group decision or mean of post-interaction individual decisions that is more extreme in the direction already favored than individual initial decisions. It was Known as 'risky shift by the findings that group was more willing to take risk than individual. But as its generality has proved accross various tasks and situations, it has been reconceptualized and now becomes one of the more popular topics in group dynamics. In line with these trends, a number of explanations have faded in and out. Persuasive arguments theory emphasizing informational influence and social comparison theory focussing on normative influence enjoy substantial empirical supports, and more recent self-categorization theory attempts to integrate these two theories in terms of social identity processes. In reviewing studies on group polarization, historical trends and current status followed by generality of phenomenon and major theories are presented Finally, future direction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개인의 평생발달과정에서 심리적 적응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기질과 맥락 환경 사이의 "조화의 적합성" 문제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기질에 대한 정의, 연구의 역사, "조화의 적합성" 모델을 처음으로 제시한 Thomas와 Chess의 기질 연구 (NYLS), 그리고 그들의 유형론적 접근을 논의한 후 몇개의 국내 연구들도 검토하였다. 본론에서는 44조화의 적합성" 모델의 정의를 논의하고, 최근 개정된 기질차원 측정척도 (DOTS-R)를 소개하였다. 그리고 비교문화적, 대인관계, 학업성적 및 정신 건강 측면에서의 연구 결과들을 통하여 이 모델의 적용가능성을 논의하였다. 끝으로 이 모델이 인간발달 및 적응과정에서 갖는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새로운 제안 등을 동시에 살펴보았다.
This theoretical review deals with the issue of the "Goodness-of-fit" between individuals' temperament and their contextual environment, which has great influences on psychological well-being. First of all, it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temperament and the history of temperament studies, the New York Longitudinal Study (NYLS) by Thomas and Chess and their stylistic approach toward temperament. In the main body, the definition of the "Goodness-of-fit" model, and the Revised Dimension of Temperament Survey were discussed. And some specific applications of the model in the areas of cross-cultural comparis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academic performance, and mental health, were also thoroughly reviewed.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s of the model on human development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were discussed.
순응 이론은 광순응 과정을 통하여 조명에 대한 추상체의 감도가 떨어짐으로써 조명의 효과가 제거되고 색채 항등성이 발생된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순응과정이 지속되면 억제의 정도가 점차로 증가되어 추상체의 반응이 소멸될 수 있기 때문에 순응 이론에서는 눈운동에 의하여 수용기의 반응이 소멸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색채 항등성을 구현하기 위해서 순응 이론에서 제안된 색채 처리 원리에 근거한 순응과 눈운동의 기능이 반영된 신경망 모형이 개발되었다. 신경망은 신경 생리학적 연구들에서 발견된 색채 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세포들의 기능을 반영하여 여섯개의 층으로 구성되었다. 신경망의 여섯개층은 망막에 있는 세종류의 서로 다른 파장 민감도를 가진 입력 광수용기, 회귀적인 억제 연결을 통해서 광수용기의 순응 효과를 반영하는 세포, 두번째 층의 출력을 선형 조합하여 파랑-노랑, 초록-빨강 및 검정-하양 차원으로 극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는 망막의 신경절이나 외측 슬상핵에서 발견된 색채 대립 세포, 인접한 한 쌍의 대립 단위들로 부터 주어지는 입력의 차이를 계산하여 역치를 적용하는 기능을 하는 시뇌의 17영역에서 발견된 이중 대립 세포, 시뇌의 17영역과 V4영역 사이에서 정보를 전달하는 세포, 그리고 시뇌의 V4영역에 있는 세포들을 각각 흉내내는 단위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눈운동과 순응에 의한 색채 항등성 실현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순응 기능에 덧붙여 신경망의 첫번째 층과 두번째 층 사이에 영상 이동기를 두어 눈운동 기능을 흉내내도록 한 동적 신경망 모형과 순응과 눈운동기능이 반영되지 않은 정적 신경망 모형으로 나누어 두 모형의 수행력을 비교하였다. 두 모형의 수행력을 비교한 결과에 의하면 동적 모형의 수행이 정적 모형의 수행보다 유의미하게 우수하였다. 정적 모형에 비하여 동적 모형의 수행이 우수하다는 것은 기존의 순응 이론들이 가정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색채 대립 세포의 기능에는 포함되지 않는 순응과 눈운동이 조명의 효과를 제거하는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According to the adaptation theory, changes in the sensitivity of the cones caused by illumination playa very critical role in color constancy. However, since the sensitivity of the cones may rapidly dissipate as the levels of adaptation grows up, adaptation theory assumes that eye-movement is an essential part controlling the sensitivity of the cones not to be saturated. A neural network model for color vision was developed to simulate the function of adaptation and eye-movement as specified in adaptation theory. Color constancy was the focal interest in the designing of the neural network A six-layered neural network was designed in such a way to accomodate a number of human principles of color proce:3sing from retina to cortex. Units in each of the six layers were made to mimic the three kinds of cones, adaptation of cones, color-opponent units, double-opponent units, interconnecting units between area 17 and V4, and the units in area V4, respectively. The fifth layer were treated as hidden and its connections with the fourth and sixth layers were made to be adaptively determined by back-propagation algorithm, Outputs of the network were mapped onto the CIE color space by the units in the sixth layer. The effect of eye-movement was simulated by shifting the input color image back and forth across the input field. Hence, the neural network thus developed was dynamic in nature.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installing adaptation and eye-movement mechanisms in the neural network on approximating color constancy, the performance of the dynamic neural network was compared with that of a static one of which structure is identical to the dynamic one except the absence of adaptation and eye-movement mechanisms. The performance of the dynamic neural networks approached to color constancy in a satisfactory level and was significantly superior to that of the static neural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