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의 목적은 양극성장애를 비롯한 정동장애의 위험요소가 시사되는 경조성 성격 집단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양극성 장애의 위험요인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1500명의 대학생중에서 경조성 성격 척도의 높은 점수와 중간 점수로 선발된 40명씩을 대상으로 SADS-L과 SAS를 실시하여 정신건강과 일상적 적응 양상을 조사하였다. 또 선명도가 다른 일련의 사진 재인과제를 통해 인지적 측면의 특성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경조 성향이 높은 대학생집단에서는, 정동장애와 더불어 정신병적 경향성, 알콜중독, 반사회적 경향 등의 전반적인 정신건강 측면에서 다소 취약해보이는 개인들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 일상적응 측면에 있어 활동적이며 다소 피상적인 대인관계 양상을 보였으며, 자신을 에너지 수준이 높고 창의적이며 독특한 사람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학업 관련 항목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모호한 자극에 더 빨리 반응하였으나, 실제 재인능력도 우수하여, 충동성이라기보다는 자신의 능력에 근거한 판단으로 보였고, 개념형성의 양도 풍부하여 인지적 측면에서 적응적인 면도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일부 피험자들의 극단적인 점수로 인한 경우가 많아 경조성 집단내에는 다양한 하위 집단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조성향이 양극성장애에 대한 취약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이나, 위험요인 연구는 경조성 집단내의 하위집단을 효과적으로 분류하여, 적응수준의 차이를 매개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초점이 두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the hypomanic personality group as a potential high risk factor for affective disorders, particularly the bipolar disorder. Hypomanic group(n=40) and nonhypomanic control group(n=40) were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hypomnic personality scale. And their mental heath and daily adjustment status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ADS-L and the SAS. Aspects of the subjects' cognitive style were assessed through the Picture Recognition 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with hypomanic tendency tend to be vulnerable to symptoms of affective disorders and also showed an elevated level of general mental problems such as psychotic-like symptoms, alcholoism, and antisocial traits.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y were socially outgoing, perceived themselvse as creative and unique person with high energy level. No differences in academic-related behaviors of the two group were found. On the cognitive measure, adaptive aspects of the hypomanic group were found. The hypomanic group showed shorter response time to ambiguous stimuli, not due to impulsiveness but to superior recognition ability. They also manifested superior concept formation ability. These results are principally due to the extreme scores obtained by only a few individuals and there seems to exist various subgroups within the hypomanic personality group. Therefore, admitting the importance of hypomaic personlity as a high risk facto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effectively calssifyng different subgroups within the hypomanic group and identifying mediating variables that account for the differences in the adjustment lev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