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趙兢鎬(韓國敎育開發院) pp.51-59
초록보기
초록

印象이 形成되는 過程에 관한 加道値的 平均模型이 몇 가지 점에서 수정되어야 할 것이라는 점을 3개의 實驗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實驗 I에서는 刺戟의 極端性에 따라 好惡判斷에서 負的 情報의 優越 現象이 나타나거나 또는 나타나지 않았다. 實驗 II에서는 與親判斷에서 刺戟의 極端性에 상관 없이 항상 中立的인 判斷을 하는 結果를 얻었다. 實驗 III에서는 單語의 意味의 範圍가 클수록 加重値는 작아짐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結果들은 印象形成의 實驗들에서 形成되어지는 최종적인 印象의 양상은 刺戟의 極端性및 自我關與水準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논의되었다.

Abstract

Three experiments were performed to test weight<-d averaging model theory of impression formation. In Experiment I, the negative salience effects were found in the high-extreme-words-group, but not in the moderate-extreme-words-group when the dependent measure was in the favorable-unfavorable dimension. In Experiment II, the sam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their ratings on the likable-dislikable dimension. In Experiment Ill, the hypothesis that the higher the meaning-range of words, the higher the weights of the words are was tested. It was concluded from these results that the impressions in impresion formation experiments are function of the extremenesses of stimulus-words and ego-involvement-level of subjects to that target person.

鄭玉粉(서울대학교 가정관리학과) ; 車載浩(서을대학교 심리학과) pp.60-67
초록보기
초록

먼저 연구(李芸英&#x00B7;車載浩, 1974)의 部分的 再試와 擴張으로서 일련의 父母養育態度變因을 아이의 女性性과 相關시켰다. 어느 국민학교 5學年 학생들중 가장 男性的인 男學生, 가장 女性的인 女學生, 가장 男性的인 女學生, 그리고 가장 女性的인 女學生의 네 집단(각 15명)의 父母 60쌍을 가정방문하여 父母용 質問紙를 실시하였다. 어머니變因들에서의 결과는 먼저의 연구의 결과와 모두 달랐으며 이러한 먼저 결과의 再現의 失敗와 새로 얻은 아버지變因들에서의 3개의 性&#x00D7;女性性 相互作用効果와 어머니變因에 나타난 2개의 主効果를 父母가 養育態度尺度에 反應할 때 예비조사에 피험가가 되었던 그 아이를 念頭에 두고 反應했기 때문인 것으로 說明했다. 이와 같은 養育態度尺度反應에서의 父母의 自己指示의 方法論的인 意義를 논하고 또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아기의 特性 중에서 性에 敏感할지도 모른다는 可能性을 指摘했다.

Abstract

In a partial replication of and extension of an earlier study (Lee & Cha, 1974), the present study correlated children's femininity scores with their parents' child rearing attitudes. A femininity (MF) scale was administered to a group of fifth graders and on the basis of the scores of this scale, 4 groups (Sex &#x00D7; Femininity) of 15 pupils each were selected representing the two extreme MF score groups in each sex category. Parents of these 4 groups of pupils were given a questionnaire containing a set of child. rearing attitude scales. Results from the mothers failed to confirm the correlations observed in the earlier study. This failure as well as the newly obtained Sex &#x00D7; Femininity interactions on three of the father variables and main effects observed on two of the mother variables were explained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child characteristics on of the parents test responses, who apparently through self-instruction responded to the scales with that particular child in mind who became the basis for classification of the parents. Possibility for a greater receptivity of the mother as opposed to the father toward sex-linked characteristics of the child and methodological implications of self-instruction on the part of parents in a study using a design such as the present one were discussed.

鄭良殷(서울大學校 心理學科) pp.68-79
초록보기
초록

人間心性이 여러 次元으로 되어 있다고 前提한다. 觀念으로 構成되어지는 人間의 意識의 次元이 있다. 聯想主義心理學이나 構成主義心理學은 이 次元의 人間心性에 관한 硏究에 注力했다. 그러나 觀念은 對象에서 即刻的으로 주어지는 것은 아니나. 對象에서 얻는 直接經驗에서 構成되어진다. 이 直接經驗에 관한 分析을 形態主義 心理學이나 現象學에서 試圖했다. 人閭心性의 이 두個 次元은 主로 心理構造에 관한 西洋思想의 關心의 焦點이며 그 由來는 認識論의 問題에서 出發했다. 東洋에서는 認識論의 問題는 人間心性의 本質을 把握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다. 오히려 客觀世界와 關係 없는 純粹한 存在로서의 人間心理의 次元을 追究했다. 즉 自我 또는 Self를 問題삼았다. 이것이 人間心性의 第三의 次元이다. 佛敎는 認識이 虚構일 뿐만 아니라 Self도 虛構임을 主張한다. 그러므로 認謙과 關係되는 모든 人間心性의 次元들 뿐만 아니라 自我의 次元의 人間心性도 否定한다. 그 다음에 남는 人間存在의 次元을 問題 삼았다. 이것을 第四의 人閊心性의 次元이라 하겠다. 西洋에서는 東洋思想을 神秘的이고 主觀的이라 하며 東洋에서는 西洋思想을 客觀的이고 自我異邦的 이라고 한다. 人間理解는 이 모든 次元에서의 人間의 存在를 把握하므로서만 可能하다.

Abstract

It is postulated that human mind can be viewed as consisting of several facets or layers. One facet of them would be composed of ideas which constitude fundamental units of mind. Interest of gestalt psychologists and phenomenologists was addressed to percept, phenomenon, or gestalt by analysing the organization process of outer stimuli which, they believed, constitute the basis of idear formation. Those two facets seemed to be the main concerns of Western psychology and philosophy with respect to human mind. In the stream of Oriental thoughts, however, outer influences on mind were neglected. Therefore, Oriental schools attempted to directly grasp the core of the whole human affairs which control human activities. In this connection, a third layer of human mind, which might be called the layer of the self, could be postulated. One common concern of confucianism, Hindu psychology and other Oriental tradition is to realize the self through meditation. On the contrary, Buddhism does not accept the validity of human cognition and the self itself. In Buddhism the only reality of human existance is the subjective behavior, which might be viewed as a fourth layer of mind,

曺大京(서을大學校 心理學科) pp.80-88
초록보기
초록

"士氣冲天"이나 "밌氣百倍"와 같은 것이 우리에게 낯 익은 表現이듯, "氣"의 槪念은 우리의 生活과 密接한 關係를 지녀왔다. 諸現象들과 廣範圍하게 關聯되어 있는 "氣"의 槪念中에서 人間과 關係된 局面을 對象으로 하여, 特히 이槪念을 具谴的으로 心身의 統制나 또는 새로운 經驗을 하는데 應用했던 道敎의 各種 實踐들을 槪觀하였다. 肉體의 不死를 命題로 하였던 道敎가 이의 實現을 위하여 實施했던 各種의 實踐들은, 心身의 隨意的 統制와 內面的 經驗의 두 領域에서 人間理解를 爲한 많은 索材들을 提供하였다고 생각된다. 科學은 이와같은 素材들이 可視的인 그 무엇으로 바뀌어 지기를 願한다. 西敏人의 理論的모델에 依하면은 神秘的이라 생각되어 距離를 두었던 이 分野가 biofeedback에 依하여 徐徐히 客觀化되 고 있으며 東洋의 知讖과 西洋의 技術이 接近하고 있는 典型的인 分野가 바로 voluntary Control과 biofeedback이 아닌가 느껴진다. 이 觀點에서 身體에 關한 "氣"의 槪念과 이로부터 山來된 各種의 實踐들을 짧막하게 살피고, 腦波의 변화에 關한 硏究와, 身體와 意識的統制에 關한 硏究의 現况을 槪觀하므로서, 生理的 過程과 心理的 過程의 isomorphism 및 internal Scanning分野의 硏究를 爲한 资枓의 發掘과 硏究의 可能性을 示唆하였다.

Abstract

The application of the ki concept in voluntary controls observed in various practices carried out. Study of followers of the Taoism was reviewed. The possibility that various states of consciousness and experiences, said to be reached by them, could be approached by Biofeedback was also reviewed.

Sunin Yi(Department of Educational Psychology, Ewha Womans University) pp.89-94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A review of the studies on infant learning, stimulus preferences. and habituation supports the following assertions. Firstly, the finding that a very young infant is capable of control of his basic responses if required implies that his ability for differentiating critical stimulus features is sufficiently adequate to be utilized in response adaptation. Secondly, results from both stimulus preference, and habituation studies indicate that before the infant is able to manage his motoric response, he is extensively engaged in stimulus differentiation and information processing. Thirdly, evidence from current habituation research using more elaborate procedures suggests that attentional processing under habituation is more than a single phenomenon, possibly involving multi-level processing. And lastly, existing data support Jeffrey's hypothesis of serial habituation as a mechanism for perceptual development.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