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최근 스트레스 연구가들은 스트레스 경험을 정서적 탈진의 한 형태로 이해하려고 하였다. 이렇게 보자면 정서를 조절하는 방략이 곧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인데, 이 논문에서는 정서이론가들의 정서조절에 대한 입장을 살펴보고 처리과정으로서의 정서조절과 관리방략이 실제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스트레스 조절전략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우선 정서반응의 한 형태로 스트레스 경험을 정의하고, 정서에 대한 인지적 이론과 말초이론가들의 견해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이들 두 이론적 진영이 정서조절에 대하여 어떤 견해를 지니고 있는지를 훑어보고, 더불어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정서관련 신경과학적 연구결과들이 자율신경계에 대한 수의적 통제를 어떻게 구현하고 있는지에 대해 소개하였다. 또한 정서의 다단계적 구조로 인한 처리과정 상의 괴리와 긍정적, 부정적 평가체계의 비대칭성이 정서, 나아가 스트레스의 조절과정에 어떤 시사점을 지니고 있는지도 고찰하였다.
Recently researchers on job related stress tended to regard experiences owing to stress as emotional exhaustion. On this regard, coping skills to regulate emotional arousal can provide answers for how to deal with stress. This paper once reviewed different viewpoints of emotion theorists on emotional regulation and discussed how their respective advocates could be applied to resolve stress-related maladjustment problems. Ahead of introducing specific management techniques of emotional stress, cognitive and peripheral theories of emotion were contrasted. Then issues were made on how both theoretical orientations developed respectively different techniques to regulate emotional overwhelming. Besides, neurological findings were introduced on how voluntary control might be possible over involuntary nervous exhaustion. Furthermore, it was discussed what new theoretical findings about emotional structure would Imply to emotional reg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