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학생용 성심리검사 개발

Development of the Sexuality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1, v.20 no.2, pp.259-278
박영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성상담 및 성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에 필수적인 성에 대한 태도, 충동, 행동, 지식, 그리고 대처행동에 관한 객관적 평가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박영숙과 전영민(2001)의 연구에서 개발된 청소년용 예비 성심리검사를 기반으로 중학생용 성심리검사를 구성하고, 중학생 총 611명을 대상으로 문항분석을 시행한 1차 분석에 이어, 중학생 1,231명을 대상으로 성심리검사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성지식 검사의 경우에는 문항분석 결과를, 성태도 검사와 성충동성 검사 및 성대처행동 검사는 요인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최종 검사에 포함될 문항들을 선정하였고, 요인분석에 의해 추출된 요인들로 각 검사의 하위척도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구성된 최종 검사의 신뢰도는 전체 검사의 신뢰도가 .74에서 .94의 범위를 나타냈고, 하위 척도들 역시 모두 .76 이상의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성태도(허용성, 예방성, 개방성, 자위긍정성, 동성애진보성의 5개 요인), 성충동성(충동성, 자위불안성, 중독성의 3개 요인), 성대처행동 검사(통제성과 표현성의 2개 요인)의 요인 분석 결과, 예비분석 및 1차 분석에서와 동일한 요인구조를 나타냄으로써 안정된 구성타당도를 보여주었다. 성심리검사 점수와 실제 성행동간 상관을 분석한 결과 자위행위는 자위긍정성, 자위불안성 하위척도와, 사이버섹스는 중독성 하위척도와, 성적 행동의 강도는 성태도 검사와, 그리고 성희롱, 음란물접촉은 성충동성 검사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남학생일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성심리검사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음을 발견하였다.

keywords
성, 청소년, 성심리검사, 성태도, 성충동성, 성대처행동, 성지식

Abstract

Assessing sexual attitude, impulse, knowledge and coping behavior is vital to develop and evaluate sex counseling and education on adolescents. The Sexuality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based on the preliminary version of Sexuality Inventory for Adolescents by Park and Chun(2001). Final set of items was selected through item analysis in which item difficulty and item-total correlation of the Sexual Knowledge Scale and factor structure of the Sexual Attitude, Impulse, and Coping Behavior Scale were examined on 611 middle school students.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inventory were examined in the second analysis on 1,231 middle school student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s of subscales constructed of each factor in scales ranged from .74 to .94 and all subscales over .76. Factor analysis indicated 5 factors(liberalism. tolerance on deviant sex, lack of prevention, progressivism on homosexuality, & positivity on masturbation) in Sexual Attitude Scale, 3 factors(sexual deviation impulse, masturbation anxiety, & cybersex addiction) in Sexual Impulse Scale and 2 factors(sexual desire control & sexual desire expression) in Sexual Coping Behavior Scale. Both the first and second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same result. High correlations between sexual behaviors and scores on the related scales were obtained. Scores of high graders and boys in these sca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low graders in all of the scales with the exception of the cybersex addiction subscale.

keywords
sexuality, adolescent, sexuality assessment, sex attitude, sex impulsivity, sex coping behavior, sex knowledge
투고일Submission Date
2001-08-31
수정일Revised Date
2001-11-2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01-11-2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