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에서는 5․18 피해자들의 만성적인 외상 후 스트레스 및 정신건강 상태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광주지역에 거주하는 5․18 피해자와 가족 291명과 일반인 대조집단 43명이었다. 훈련받은 조사원이 개별적으로 방문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진단 척도-인터뷰 버전, 생활 스트레스 질문지, 및 일반 건강 척도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5․18 피해자들 중 41.6%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로 진단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 진단 척도 점수가 20점 이상의 엄격한 기준으로 볼 때도 전체 응답자의 24.9% ~ 29.5%가 PTSD로 진단되었다. 5․18 유공자(부상자․구속자․유족)들만을 대상으로 했을 경우에는 55.8%가 PTSD로 진단 가능하며, 엄격한 기준에서도 32.8%가 PTSD로 나타났다. 특히 부상자집단과 유족들이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심한 심리적 후유증에 시달리며 정신건강 상태도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안, 우울, 신체화 등 모든 증상들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현재 생활 스트레스에 있어서는 부상자, 구속자 및 유족들이 다른 집단이나 통제집단에 비해 경제적 곤란과 직업문제, 본인이나 가족의 질병으로 겪는 스트레스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 및 연구의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chronic post traumatic stress and mental health of 5․18 victims. Subjects were 291 5․18 victims and 43 control group.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rained examiners' interview and 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41.6% of 518 victims were diagnosed as PTSD. If more rigid criteria were applied, 24.9% ~ 29.5% of respondents were diagnosed as PTSD. 55.8% of the wounded, the arrested, and bereaved families were diagnosed as PTSD and if more rigid criteria were applied, 32.8% were diagnosed as PTSD. Particularly, the wounded group and bereaved families showed the worst mental health. That is, they showed high scores in all symptoms including anxiety, depression, and somatization. In the case of current life stress, the wounded, the arrested, and bereaved families more suffered from economic difficulty, job problem, and disease of self and families than other groups and control group. Finally, the meanings of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