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의 신뢰 연구를 위한 준비단계로서 우리나라의 대학 현실에 적합한 교수 신뢰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의 분석과 국내외에서 사용하고 있는 신뢰 척도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여 교수 신뢰의 구성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이를 기초로 문항을 제작하고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에 참여한 대학생들은 270명이고, 예비검사 및 본 검사에 참여한 서울, 경기, 충남 지역의 대학생들 790명이었다. 최종척도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 합치도를 산출하였고,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친밀감, 전문성, 강의능력, 지도력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된 총 27개 문항의 교수 신뢰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신뢰 척도의 전체 신뢰도는 .96으로 나타나 매우 신뢰로운 척도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발된 척도의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양한 부합도 지수들이 적절하게 나타나 본 척도가 교수에 대한 신뢰를 측정하는 타당한 도구임을 검증해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rofessor Trust Scale (PTS) as a preliminary step for research on trust in college. First, we reviewed prior research on trust and examined various trust scales developed in Korea and also in other countries. Then, preliminary factors of professor trust were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an open-ended survey administered to college students. Drawing on these preliminary factors, we developed the items to measure college students’ professor trust and tested the instrument. 270 college students completed the open-ended survey and 790 students participated in preliminary or actual tests. For the final scale, we tested its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also examined its construct validity by conduct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xtracted four factors including intimacy, expertise, teaching, and leadership, which consisted of 27 items for the final set of the Professor Trust Scale. The Cronbach's internal consistency coefficient of the overall scale was .96 indicating high reliabilit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supported the validity of this factor structure by showing acceptable fit indices.
강진아 (2008). 학생의 교사신뢰, 자아해석성향, 과제 수행능력이 수행무관 보상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명언, 이영석 (2000). 한국 기업조직에서 부하가 상사에 대해 갖는 신뢰와 불신의 기반.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6(1), 99-120.
김의철 (2002). 한국의 민주주의, 리더십과 정치문화: 정치효능감과 신뢰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8(2), 137-170.
김정화, 김언주 (2006). 아동이 지각한 교사신뢰 및 학습동기와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 아동교육, 15(2), 117-129.
김호정 (1999). 신뢰와 조직몰입. 한국행정학보, 33, 19-35.
민혜리 (2002). 대학의 교수․학습의 질에 대한 재인식. 비교교육연구, 12(1), 75-92.
박영신, 김의철 (2005). 한국인의 신뢰의식에 나타난 토착심리 탐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특집호), 21-55.
박영신, 김의철 (2006). 청소년기 신뢰의식의 형성과 집단별 차이 비교: 인간관계 신뢰에서의 토착심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3), 85-127.
박진옥 (2008). 아동이 지각한 교사지지 및 교사신뢰와 학습동기간의 관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설재연 (2006). 학생의 교사신뢰, 학습동기 및 학교 생활 적응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아, 정현희 (1999).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11(2), 213-226.
이상미, 김의철, 박영신 (2006). 청소년의 부모, 교사, 친구에 대한 신뢰와 불신: 토착심리학적 접근. 아동교육, 15(4), 297-312.
이숙정 (2005). 교사가 지각한 신뢰 척도의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18(3), 117-134.
이숙정 (2006).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20(1), 197-218.
이숙정, 한정신 (2004). 교사신뢰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8(3), 23 -39.
임영숙 (2008).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유형, 교사신뢰, 학습동기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전찬열 (2000). 신뢰와 조직효과성에 관한 연구. 산업경제연구, 13(2), 209-223.
장선자 (2004). 중학생과 대학생의 교사에 대한 신뢰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정은이, 박용한 (2008). 대학생들의 교수신뢰와 학습동기 및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 아시아교육연구, 9(1), 73-93.
지은림, 백순근, 채선희, 설현수 (2003). 교사-학생 관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교육평가연구, 16(2), 25-41.
최상진, 김기범, 강오순, 김지영, 김양하 (2005). 한국문화에서의 대인관계 신뢰와 불신의 기반과 심리적 기능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특집호), 1-20.
최상진, 김의철, 김기범 (2003). 한국사회에서의 대인관계 속의 신뢰와 불신의 기반으로서의 마음에 대한 문화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9(2), 1-17.
최연주 (2007). 초등학교 교사 신뢰도 척도 개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성열 (2005). 한국 사회의 신뢰와 불신에 관한 심리학 연구의 과제 및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특집호), 163-174.
Adams, K. S. & Christenson, S. L. (2000). Trust and the family-school relationship examination of parent-teacher difference in elementary and secondary grade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35(5), 477-497.
Altbah, P. (1991).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An Encyclopedia, New York: Garlanad.
Babad, E. (1990). Measuring and changing teachers' differential behavior and perceived by students and teacher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683-690.
Bryk, A. & Schneider, B. (2002). Trust in schools. Russell Sage Foundation.
Cummings, L. L. & Bromiley, P. (1996). The organizational trust inventory(OTI): development and validation. In R. M. Kramer, & T. R. Tyler(eds.), Trust in Organizations: Frontiers on theory and research, 303-330,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Deutsch, M. (1960). The effect of motivational orientation upon trust and suspicion. Human Relations, 13, 123-139.
Deutsch, M. (1958). Trust and suspicion. Journal of Conflict Resolution, 2(4), 265-279.
Fukuyama, F. (1995). Trust: The social virtues and the creation of prosperity. 구승희 역(2002). 사회도덕과 번영의 창조.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Furrer, C., & Skinner, E. (2003). Sense of Relatedness as a factor in children's academic engage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1), 148-162.
Garske, J. P. (1976). Personality and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personal trust, Psychological Reports, 39, 649-650.
Hoy, W. K., & Tschannen-Moran. (1999). Five faces of trust: an empirical confirmation in urba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School Leadership, 9, 184-208.
Johnson-George, C. & Swap, W. C., (1982). Measurement of specific interpersonal trust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assess trust in a specific oth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1306-1317.
Lewis, J., & Weigert, A. (1985). Trust as a social reality, Social Forces, 63(4), 967-985.
Mayer, R. C., Davis, J. H., & Schoorman, F. D. (1995). An integrative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 709-734.
McAllister, D. (1995). Affect-and cognition-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8(1), 24-59.
Mellinger, G. D. (1956). Interpersonal trust as a factor in communic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52, 101-1-5.
Mishra, A. K. (1996). Organizational response to crisis:the centrality of trust, In R. M. Kramer & T. R. Tyler(Eds.), Trust in organization: Frontiers of theory and research, 261-287, thousand O만, CA: Sage Publications.
Nick, K., Audra, S., Lynn, W. (2000). Improving Secondary Students Academic Success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Motivational Strategies. ED 444 087.
Pianta, R. c. (1991). The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Unpublished Dissertation. University of Virginia, Charlettesvill, VA.
Pianta, R. C. & Steinberg, M. (1992).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process of adjustment to school. New Directions for Child Development, 57, 61-80.
Rotter, J. B. (1967). A new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trust. Journal of Personality, 35(4), 651-665.
Rotter, J. B. (1980). Interpersonal trust, trustworthiness, gullibility, American Psychologist, 35(1), 1-7.
Rousseau, D. M., Sitkin, S. B., Burt, R. S., & Camerer, C. (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3, 393-404.
Skinner, E. A., & Belmont, M. J. (1993). Motivation in the Classroom: reciprocal effects of teacher behavior and student engagement across the school year.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4), 571-581.
Song, I. S. (1988). The structure of academic self-concept: achievement, ability and classroom self-concep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6(1), 117-123.
Weinstein, R. (1993). Children's knowledge of differential treatment in school: Implications for motivation. In T. Tomlinson (Ed.),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Overcoming barriers to high achievement (pp.197-224). Berkely, CA: McCutc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