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Work Life of Female Workers in 3D Job Sector: Case of Female Merchandisers from the Grounded Theoretical Approach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0, v.29 no.1, pp.103-132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work life of Female Merchandisers(FMD) taking a qualitative methodology (by Strauss & Corbin, 1990) in order to underst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process for their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which leads to high turnover rate in the industry. Eight FMDs working in 8 different mega-stores in the metropolitan Gwangju area were interviewed. The analysis of interview protocol turned up 201 concepts, 56 subcategories, and 22 categories. Two factors of work stress make the work highly stressful. Primary factor is relationship maintaining factor. This factor involves dealing with 5 different individuals each in different context (the other FMD in the same floor, the store manager, the manager of the outsourcing company which hires the FMD dispatches them to the store, the marketing manager of manufacturing company, and the customers). The secondary factor is task performance stress. The two factors are inextricably related to put great psychological strain which leads to burnout both physically and emotionally. Some moderating factors of the job strain and job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such as loyalty to the manufacturers, self-efficacy, extrovert, and recognition by the store managers. The burnout, linked with the poor work conditions, puts the workers into considering turnover. Following the axial coding step, we identified the main theme as “survival in the flux of overloaded task in 5 types of work relationships managing concern.”

keywords
female merchandisers, turnover, job stress, burnout, job satisfaction, grounded the, 근로여성, 스트레스, 탈진, 이직의도, 근거이론

Reference

1.

강희숙, 김공수 (2000). 한국의 판매원 이직의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북방학회논집, 6, 127-153.

2.

권정현 (2008). 2005년 사업체패널조사로 살펴 본 사업체에서 여성근로자의 위치. 노동리뷰, 78-90.

3.

김광숙 (2003). 생산직 기혼 여성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및 관련요인.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7(2), 212-223.

4.

김미숙 (2004). 사회복지인력의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행정학, 6(2), 27-58.

5.

김미숙, 오수성, 한규석 (2008). 강강술래의 예술치유 현상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3), 757-781.

6.

김상희 (2007). 행복한 판매원은 더 고객 지향적인가? 경영학연구, 36(4), 855-896.

7.

김숙영 (1999). 유통업 여성 근로자의 건강 문제와 건강 행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김여진 (2009). 중고령 전업주부와 취업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93-118.

9.

김요완 (2009). 근거이론을 적용한 이혼소송과정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2), 559-583.

10.

김용구 (1985). 소비자의 상점선택에 관한 연구. 중앙대 석사학위논문.

11.

김원형, 신강현 (2008). 정서노동이 직무 탈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율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 pp.1-12.

12.

노순규 (1995). 여성근로자의 조지몰입 현상과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사관계, 5, 171-197.

13.

서울경제 (2009, 10. 10). 3D업종 취업자에 월 30만원 지원. http://economy.hankooki.com /lpage/economy/200903/e2009031917494570070.htm

14.

서재현 (1997). 직무와 관련된 역할과 조직내 대인관계가 결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26(3), 633-655.

15.

이강훈 (2008). 비간부 경찰공무원의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관련 태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경호경비연구, 16, 1-17.

16.

이명신, 이훈구 (1997). 주관적 삶의 질에 나타난 성차의 원인.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 89-101.

17.

이요행, 김윤정, 오세진 (2005). 기혼 남녀 근로자의 결혼만족도와 조직몰입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0(4), 447-460.

18.

이주희, 전병유, Lee, Jane. (2004). 유리천장 깨뜨리기: 관리직 여성의 일과 삶. 서울: 한울아카데미.

19.

이진화, 허아현 (2008). 패션 유통업태간 소비자가 요구하는 판매원의 서비스 차원 비교(1): 백화점, 할인점, 아울렛몰을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3), 289-297

20.

이혜임, 김시월 (1994). 소비자의 백화점 이용성향과 상품 구매시 판매원의 중요성인지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26-40.

21.

전일우 (2003). 사립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 원인 및 이직계획시기와 직무태도와의 관계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7(4), 39-52.

22.

정영금 (2003). 여성의 일과 삶. 서울: 시그마프레스.

23.

지식경제부 (2009). 유통산업 경쟁력 강화방안: 2009~2013 유통산업발진 기본계획. 지식경제부.

24.

최가, 나영순 (2003). 미용상의 조직몰입(직무만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요인분석. 한국인체예술학회지, 4(2).

25.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서울: 중앙대학교 출판부.

26.

최정숙 (2004). 여성의 이혼과정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미출판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7.

한규석 (2002). 사회심리학의 이해(개정판). 서울: 학지사.

28.

한규석, 최상진 (2008). 마음의 연구와 심리학: 마음의 문화심리적 분석에 바탕한 심리의 작용 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 281 -307.

29.

한규석, 최송현, 심선화 (2004). 서열적 대인관계의 암묵적 교류관. 한국사회 및 성격심리학회 동계학술대회논문집, 89-98. 12월 10일. 대구대학교.

30.

한 민, 한성열 (2009). 신명나는 삶: 한국 사람들의 행복에 대한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81-94.

31.

Benin, M. H. & Neinstedt, B. C. (1985). Happiness in single-and dual-earner families: The effects of marital happiness, job satisfaction, and life cycl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7 (4), pp.975-984.

32.

Glaser, B. G., & Strauss, A. (1967). The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Chicago: Aldine.

33.

Lewis, J., & Ritchie, J. (2003). Generalizing from qualitative research. In J. Ritchie & J. Lewis (Eds.), Qualitative research practice: A guide for social science students and researchers. pp.263-286. London: Sage.

34.

Rennie, D. L. (2006). The grounded theory method: Application of a variant of its procedure of constant comparative analysis to psychotherapy research. In C. Fischer (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or psychologists. pp. 59-78. Burlington, MA: Elsevier.

35.

Stern, P. (1980). Grounded theory methodology: Its uses and processes. Th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12, 20-23.

36.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근거이론의 이해. 김수지, 신경림 역 (1996). 서울: 한울 아카데미.

37.

Tajfel., H. (1982).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relation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