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중앙분리대의 형태가 운전자의 주관적 속도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type of median strip on Drivers' subjective sense of speed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0, v.29 no.3, pp.489-505
황봉기 (충북대학교)
오주석 (충북대학교)
이순철 (충북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중앙분리대의 형태적 특징이 운전자가 지각하는 주관적 속도감에 미치는 영향과 인적특성이 지각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00명의 운전자가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참가자에게 가요성 방호울타리,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 중앙선 노면표시 이렇게 세 가지 형태의 중앙분리대를 가진 도로조건에서 주행하는 장면을 보여주고 목표속도 60km/h, 80km/h, 100km/h에 반응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참가자의 성격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하였다. 실험 결과, 물리적 시설물을 설치한 경우(가요성 방호울타리,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가 미설치된 경우(중앙선 노면표시)보다 목표속도에 대해 판단한 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물리적 시설물의 설치가 운전자의 주관적 속도감을 빠르게 지각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방호울타리와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간의 주관적 속도감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요성 방호울타리가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보다 목표속도에 대해 판단한 속도가 더 낮았다. 이는 동일한 물리적 중앙분리대일지라도 가요성 방호울타리가 가지는 형태적 특징이 콘크리트 벽형 강성 방호울타리보다 더 빠른 속도감을 지각하게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중앙분리대의 형태에 따른 주관적 속도감이 운전자의 인적특성(위험감수성 수준, 준법정신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지 알아본 결과, 위험감수성과 준법정신 수준이 높은 운전자들의 경우 중앙분리대 형태에 따른 주관적 속도감의 변화가 작았던 반면, 위험감수성이 낮고 준법정신 수준이 부족한 운전자의 경우 가요성 방호울타리에서 가장 빠른 주관적 속도감을 지각하였다. 끝으로 도로안전시설물의 설계 및 설치에 인적요인을 고려하는 문제와 효율성, 그리고 적용가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중앙분리대, 주관적 속도감, 지각, 인적특성, 과속, median strip, subjective sense of speed, perception, human factors, speeding

Abstract

The type of median strip have an influence on drivers' subjective sense of speed. We have tried to figure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n strip. And There is to have relation between human factors an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n strip. The 100 participants who had a driver license attended this study. The test conditions are forms of the concrete and guardrail and pavement markings. We used a simulation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describe a real traffic situation. and It had three types of median strip.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sh the button when they sense each 60km/h, 80km/h, 100km/h. And lastly, we have conducted a survey about human factors. The condition of physical facilities are faster sense of speed than pavement markings. And then the condition of guardrail are faster sense of speed than a form of concrete. The condition of guardrail had the fastest sense of speed among all condi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o relation between level of human factors(lack of risk sensitivity, lack of law-abidance) and a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median strip. We found out that the types of median strip have an influence on drivers' subjective sense of speed by conducting this experiment. Therefore, we conclude that designer should develop the median strip regarding to drivers' subjective sense of speed and the effect of median strip. They could make more effective safety-facilities on the road. We need to consider other factors which affect drivers` subjective sense of speed such as road environment.

keywords
중앙분리대, 주관적 속도감, 지각, 인적특성, 과속, median strip, subjective sense of speed, perception, human factors, speeding

참고문헌

1.

강재수 (2000). 고속도로 중앙분리대 개선방안 연구. 공학계열 논총, 3, 71-85.

2.

건설교통부 (1998). 도로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 지침: 중앙분리대 편.

3.

김종회, 오주석, 이순철 (2006). 운전행동결정요인이 위반행동 및 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3), 349- 369.

4.

경찰청 (2005). 교통노면표시 설치·관리 매뉴얼.

5.

공대호, 이준범, 이재식 (2005). 운전중 실내 소음의 유형 및 강도에 따른 주관적 속도감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2), 31-46.

6.

김현정 (2006). 움직이는 시각대상의 형태적 특징이 속도지각에 미치는 영향. Digital Interaction Design, 5, 115-120.

7.

법제처 (개정 2008. 2. 29). 도로교통법 제1장 제2조(정의).

8.

연합뉴스 (2007). 기능성 중앙분리대, 사고방지 효과 커. 2007, 8, 1에서 인출.

9.

오주석, 신용균, 이순철 (2006). 청소년 운전자의 운전중 음악청취가 운전속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35- 54.

10.

오주석, 이순철 (2007). 사고 및 음주운전자들의 운전행동결정요인 특성이 위험행동 및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경로분석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25(2), 71-86.

11.

오주석, 박선진, 이순철 (2009). 운전행동결정요인과 직무만족이 택시운전자의 위험운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1), 71-86.

12.

이순열, 이순철, 김인석 (2006). 고령운전자 차량 좌회전 상황에서의 위험요인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8(1), 375-390.

13.

이순철 (2000). 교통심리학. 서울: 학지사.

14.

이순철, 오주석 (2007). 운전행동결정요인이 위험운전, 주의행동 및 피로대처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4), 395-414.

15.

이 양 (1986). Muller-Lyer 착시에 있어서 거리-크기수정 모형과 자극관계분석모형. 경상대논문집, 25(2), 97-104.

16.

이재식 (1996). 운전자의 속도통제와 정보처리에서의 인간요인: 운전자의 눈높이와 인지부하의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8(2), 345-366.

17.

정찬섭, 유명현 (1989). 착시효과를 통해서 본 심상의 표상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8 (1), 34-43.

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개선된 콘크리트 중앙분리대의 시공결과 추적조사 및 최적화 연구(Ⅱ).

19.

Denton, G. G. (1980). The influence of visual pattern on perceived speed. perception, 9(4), 393-402.

20.

Drakopoulos, A., & Vergou, G. (2003). Evaluation of the converging chevron pavement marking pattern at one Wisconsin location. Washington DC: American Automobile Association Foundation for Traffic Safety.

21.

Griffin, L. I., & Reinhardt, R. N. (1995). A Review of Two Innovative Pavement Marking Patterns that have been Developed to Reduce Traffic Speeds and Crashes. Washington DC: American Automobile Association Foundation for Traffic Safety.

22.

Larish, J. F., & Flach, J. M. (1990). Sources of Optical Information Useful for Perception of Speed of Rectilinear Self-mo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16, 295-302.

23.

Manser, M. P., & Hancock, P. A. (2008). The influence of perceptual speed regulation on speed perception, choice and control: Tunnel wall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Accident Analysis and Prevention, 39, 69-78.

24.

Nilsson. G. (2004). Traffic Safety Dimensions and the Power Modal to Describe the Effect of Speed on Safety. Lund Institute of Technology and Society, Traffic Engineering.

25.

Pretto, P., & Chatziastros, A. (2006). Changes in optic flow and scene contrast affect the during speed. Driving Simulation Conference 2006, Europe, 1.

26.

Warren, R. (1982). Optical transformations during movement: Review of the optical concomitants of egospeed. (Final technical report for Grant No. AFOSR-81-0108). Colombus: Ohio State University.

27.

Wickens, C. D., & Hollands, J. G. (2003). 공학심리학 [Engineering Psychology and Human Performance, 3rd ed.].(곽호완, 김영진, 박창호, 남종호, 이재식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0년에 출판)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