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문제 도박의 조기탐지 및 대처를 위한 가족용 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a family scale for detecting gambling problems in family member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1, pp.135-163
김종남 (서울여자대학교)
이흥표 (대구사이버대학교)
이순묵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들이 관찰을 통해 가족 구성원의 도박행동을 파악할 수 있는 문제 도박 조기탐지 및 대처를 위한 가족용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접근과 경험적 접근을 통합하여 가족용 척도에 필요한 구성개념들을 추출하였다. 기존의 국내 문제 도박 척도에서 측정하는 구성개념과, 33명의 도박자를 대상으로 한 초점집단 면접자료의 분석, 도박문제 전문상담가와 단도박 회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실시한 초점집단 자료를 토대로 하여 척도 개발을 위한 청사진을 구성하고 문항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예비검사 문항으로 46문항이 선정되었고 대학생과 회복자 가족을 포함한 총 633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응답자 선별과 문항 선별과정을 거쳐 31문항으로 축소되었고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행동변화’와 ‘경제사정 변화’ 등 2요인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예비검사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 합치도가 적절하지 않았으므로 예비검사의 문항을 재수정하여 34문항을 선정한 후 154명의 도박자 가족들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 선별 및 문항 선별 과정을 거쳐 34문항이 15문항으로 축약되었으며 문항 간 다중공선성 검토를 통해 2문항이 제외되어 최종 13문항이 선택되었다. 13문항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각 요인은 ‘재정적 위기’, ‘가정소홀과 경제문제 발생’, ‘정서적 문제와 일상행동 변화’로 명명이 가능하였다. 나아가 2수준과 3수준에 해당하는 도박자들을 구별하기 위해 문항반응이론을 활용하여 변별용 척도 10문항을 선정하였으며, 수정된 Angoff 방식에 따라 전문가들의 평정점수를 얻어 2∼3수준 간 경계 기준 점수를 계산하였다. 2∼3 수준의 경계 기준 점수는 5점으로 계산되었으며 이 점수의 신뢰도는 .857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문제 도박, 가족 척도, 척도개발, 조기탐지, 예방, gambling problems, family scale, scale development, early detection, preven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amily scale for detecting gambling problems in family members, which help to identify family member's gambling behaviors. To do so, we selected several construc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family scale, integrating theoretical approach and experiential approach. Specifically, we constructed blue print and developed items through the constructs included in the existing gambling addiction scales, the analysis of individual interview, with each of 33 gamblers, and the contents of focus group interviews with counselors, G.A. members and their families. As a result, 46 dichotomous items were selected for the preliminary survey for gambling addicts and we obtained 2 factors such as ‘behavioral change’ and ‘economic situation change’ through the factor analysis. Due to the biased composition of the respondents(students were more than 80%) and unsatisfactory model fit, we modified the items and selected 34 items for the main survey on 154 family members of gamblers through several procedures. We obtained a 3 factor model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factors are ‘financial crisis’, ‘indifference to family and economic problems’, and ‘emotional problems and change in everyday behaviors’. Finally, we constructed a 10 item scale for differentiating levels of gambling behaviors in family members. Following the modified Angoff method, we obtained a standard score to use for judging the level of gambling behaviors. The cut off score is 5, and its reliability is considerably high(.86). Last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keywords
문제 도박, 가족 척도, 척도개발, 조기탐지, 예방, gambling problems, family scale, scale development, early detection, prevention

참고문헌

1.

김교헌 (2003). 병적 도박 선별을 위한 K-NODS의 신뢰도와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487-509.

2.

문화관광연구원 (2008). 사행산업 이용실태 조사분석 연구. 서울: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3.

심진현 (2002). 병적 도박 환자 배우자의 스트레스 지각과 대응전략.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이경희 (2009). 한국판 캐나다 문제도박척도(CPGI)의 타당화를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3), 667-675.

5.

이경희, 도승이, 김종남, 이순묵 (인쇄 중). 도박이용자의 도박중독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6.

이순묵 (1995). 요인분석Ⅰ. 서울: 학지사.

7.

이순묵, 김교헌, 최용성, 이흥표, 김종남, 김수진 (2009). 한국형 도박중독 변별척도 개발 연구[2기]. 서울: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8.

이순묵, 김종남 (2009). 도박중독 문제의 본질에 충실한 평가/진단 및 비율 산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17.

9.

이순묵, 현명호, 최삼욱, 김종남, 김수진 (2008). 한국형 도박중독 변별척도 개발 연구[1기]. 서울: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10.

이흥표. (2002a). 도박의 심리. 학지사.

11.

이흥표 (2002b). 비합리적 도박신념, 도박동기 및 위험감수 성향과 병적 도박의 관계.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이흥표(2003).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병적 도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2), 415-434.

13.

임완빈, 김승팔, 강병조 (1986). 주정중독 환자 배우자의 불안과 우울성향 및 가정생활. 신경정신의학. 25(4,) 584-590.

14.

정민자, 박초아, 이미영 (1993). 고스톱 및 도박중독증의 실태와 그로 인한 개인 및 가족생활상의 문제, 부부갈등양상. 울산대학교 사회과학 연구논문 3(2), 115-146.

15.

최완철, 김경빈, 오동열, 이태경 (2001). 한국형 사우스 오크 병적 도박 검사 표준화에 대한 예비연구.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diction Psychiatry, 5(1), 46-52.

16.

한국가정법률상담소 울산지부 (1993). 고스톱 및 중독성 도박의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상담사건 통계집.

17.

Amabile, T. M. (1982).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A Consensual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 997-1013.

18.

Amabile, T. M. (1996). Creativity in context: Update to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Colorado: Westview Press.

19.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4th ed). Washingtion, DC: Author.

20.

Angoff, W. H. (1971). Scales, norms and equivalent scores. In R. L. Throndike(Ed.), Educational Measurement (2nd ed. pp. 508-600). Washington, D. C.: American Counsel on Educaiton.

21.

Arbuckle, J. L. & Wothke, W. (1999). AMOS 4.0 User's Guide. Chicago, IL: Smallwaters Corp.

22.

Baker, F. B. (1985). The basics of item response theory. Portmouth, NH: Heineman.

23.

Bock, R. D., Gibbons, R. D., & Schilling, S. G. (In Press). Polyfact: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Item Factor Analysis of Binary and Ordered Polytomous Item Responses.

24.

Browne, M. W. (2001). An overview of analytic rotation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36(1), 111-150.

25.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Bollen, K. A. & Long, J. S.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136-162. Beverly Hills, CA: Sage.

26.

Browne, M. W., Cudeck, R., Tateneni, K., & Mels, G. (1998). CEFA: Comprehensiv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WW document and computer program. URL http://quantrm2.psy.ohio-state.edu/browne/.

27.

Cattell, R. B.(1966). The scree test for the number of factor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 245-276.

28.

Embetson, S. E., & Reise, S. P. (2000). Item response theory for psychologists. Mahwah, NJ:Lawrence Erlbaum.

29.

Gorsuch(1983). Factor analysi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0.

Jacobs, D. F. (1989). Children of problem gamblers. Journal of Gambling Behavior, 5, 261-268.

31.

Lee, W. C. (2007). Multinomial and Compound Multinomial Error Models for Tests With Complex Item Scoring.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31, 255-274.

32.

Lesieur, H. & R., & Klein, R. (1987). Pathological gambler among high school students. Addictive Behavior. 12, 129-135.

33.

Lesieur, H. & R., & Rosenthal, R. J. (1991). Pathological Gambling: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Gambling Studies. 7, 5-39.

34.

Lorenz, V. C., & Shuttleworth, D. E. (1983). The impact of pathological gambling on the spouse of the gambler.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1, 67-76.

35.

Lorenz, V. C., & Yaffee, R. A. (1989). Pathological gamblers and their spouses: problems in interaction. Journal of Gambling Behavior. 5, 113-126.

36.

Lorenz, V. C., & Yaffee, R. A. (1988). Pathological gamblerss: Psychosomatic, emotional and marital difficulties as reported by the spouse. Journal of Gambling Behavior. 4, 13-26.

37.

Lorenz, V. C., & Yaffee, R. A. (1986). Pathological gambling: Psychosomatic, emotional and marital difficulties as reported by the gambler. Journal of Gambling Behavior, 2, 49-49.

38.

Muraki, E., & Bock, R. D. (2003). PARSCALE 4: IRT item analysis and test scoring for rating-scale data [Computer software and manual]. Chicago, IL: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Inc.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