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는 진보와 보수가 사회적인 이슈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할 때 어떤 도덕적 기반을 사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도덕적 기반이론(Haidt & Joseph, 2004)은 기존의 도덕성이 서구사회가 중시하는 손상과 공평성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음을 지적하고 다양한 문화에 존재하는 내집단, 권위, 순수함의 가치를 추가하여 총 5개의 도덕적 영역이 있다고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손상과 공평성 영역 이외에 도덕적 기반이론이 제시하는 내집단, 순수함, 권위 등이 포함되어 있는 간통죄를 판단할 때 진보와 보수가 어떤 도덕적 기반을 사용하는지를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1에서는 그룹 및 개인 인터뷰를 통해 간통을 판단할 때 사용하는 개념 12개를 추출하였다. 연구 2에서는 진보와 보수의 성향이 비교적 뚜렷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추출된 개념들에 대한 관계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해 간통에 대한 도덕적 판단 네트워크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 보수가 진보보다 유의미하게 큰 네트워크와 밀도를 보여 보수가 진보보다 더 많은 도덕적 개념을 사용하여 간통을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진보는 개인적 자유라는 자율성의 윤리를 바탕으로 간통을 평가하였으며 간통의 결과로 나타나는 가정과 자녀, 법률을 간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항목으로 꼽았다. 반면 보수는 진보에 비해 순수함과 관련된 항목을 유의미하게 많이 사용하였으며, 결과적인 측면보다는 불성실, 배신, 죄, 음란함 등과 같은 가치적인 항목이 더 간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도덕적 기반 이론이 한국 사회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examines which moral foundations liberals and conservatives use when they make moral judgments of social issues. Moral foundations theory (Haidt & Joseph, 2004) suggests three moral foundations, authority/respect, ingroup/loyalty, purity/sanctity in addition to harm/care and fairness/ reciprocity which have been focused in western society. To test moral foundation theory based especially on the three additional moral domains, we elicited and analyzed liberals' and conservatives' schemata for adultery. In Study 1, we found 12 moral elements for adultery through group and individual interviews. In Study 2, we analyzed liberals' and conservatives' moral schema networks for adultery. Social network analysis showed that conservatives' moral network was larger and denser than liberals'. In addition, liberals judged adultery on the basis of the ethics of autonomy (freedom) and thought that consequential values of adultery (family, children, law) were highly relevant with adultery. By contrast, conservatives used more purity-related factors (e.g., sin, obscene) than liberals and thought that deontological values (disloyal, betray) were highly relevant with adultery. These findings suggest moral foundations theory can be also valid in Korean society.
김경미 (2009). 진보와 보수, 좌파와 우파에 대한 이론적 좌표설정 모색. 정치․정보 연구, 12(1), 45-60.
김용학 (2007). 사회연결망 분석. 박영사.
이선아 (2009). 감성적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스토리텔링: 스키마 부합도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정재철 (2002). 한국언론과 이념담론. 한국언론학보, 46(4), 314-348.
황신웅 (2005). 모바일 기기 구매 의사결정에 관한 멘탈 모델의 추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Altemeyer, R. A.(1996). The autoritarian specter.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Cooke, N. M., Durso, F. T., & Schvaneveldt, R. W. (1986). Recall and measures of memory organiz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12, 538-549.
Girvan M., & Newman M. E. J. (2002). Community structure in social and biological network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99, 7821–7826.
Graham, J., Haidt, J., & Nosek, B. (2009). Liberals and conservatives use different sets of moral found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6, 1029-1046.
Gutmann, A. (2001). Liberalism. In Smelser N. J., and Baltes P. B. (Eds),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New York; Elsevier.
Haidt, J., & Graham, J. (2007). When morality opposes justice: Conservatives have moral intuitions that liberals may not recognize. Social Justice Research, 20, 98-116.
Haidt, J., & Hersh, M. (2001). Sexual morality: The cultures and emotions of conservatives and liberal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31, 191-221.
Haidt, J., & Joseph, C. (2004). Intuitive ethics: How innately prepared intuitions generate culturally variable virtues. Daedalus, Fall, 55-66.
Jost, J. T. (2006). The end of the end of ideology. American Psychologist, 61, 651-670.
Jost, J. T., Glaser, J., Kruglanski, A. W., & Sulloway, F. J. (2003). Political conservatism as motivated social cognition, Psychological Bulletin, 129, 339-375.
Jost, J. T., Nosek, B. A., & Gosling, S. D. (2008). Ideology: Its resurgence in social, personality, and political psychology.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3, 126-136.
McCrae, R. R. (1996). Social consequences of experiential openness. Psychological Bulletin, 122, 323-337.
Muller, J. Z. (1997). What is conservative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In J. Z. Muller (Ed), Conservatism: An anthology of social and political thought from David Hume to the presen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Tetlock, P. E. (1984). Cognitive style and political belief systems in the British House of Comm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365-375.
Turiel, E. (1983). The development of social knowledge: Morality and convention.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Uhlmann, E. L., Pizarro, D. A., Tannenbaum, D., & Ditto, P. H. (2009). The motivated use of moral principles.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4, 479-491.
Van Hiel, A., & Mervielde, I. (2004). Openness to experience and boundaries in the mind: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and economic conservative beliefs. Journal of Personality, 72, 659-6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