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사회불안 아동의 역할극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이 자기-평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deo feedback treatment on social anxiety children's self-evalu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4, pp.995-1010
김지원 (서울여자대학교)
박경 (서울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 아동들을 대상으로 비디오 피드백 시 역할극을 통한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 및, 비디오 피드백 처치 후, 아동의 자기- 평가에서의 변화와 역할극 수행 차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불안 아동들의 인지 재구성의 중요성과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경기 지역의 초등학생 남녀 5,6학년 271명이다. 이들에게 1차적으로 한국판 아동․청소년 사회불안 척도를 실시하여, 상위 5%의 아동들을 사회불안 고집단(16명), 하위 5%의 아동들을 사회불안 저집단(16명) 대상자로 선발하였다. 각 집단들을 다시 비디오 피드백 처치 집단 및 무처치 집단, 즉 총 4집단으로 나누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연구 도구인 사회적 수행 평정척도는 Social Performance Rating Scale(SPRS)를 번안하여 실험대상자와 관찰자가 비디오 피드백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그 후, 비디오 피드백 처치 전 아동들에게 이후 연구자와의 역할극에서의 본인의 수행능력을 측정하는 SPRS를 실시하게끔 하였으며, 역할극 수행한 다음 비디오 피드백 처치 집단에 한해서 역할극 수행 장면을 동영상으로 보여주었으며 그 후, SPRS를 다시 실시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사회불안이 높은 아동들이 낮은 아동들에 비하여 이후 연구자와의 역할극 수행에서 낮은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스스로 예상하였고 관찰자평가에서 실제로도 사회불안이 높은 아동들이 낮은 아동들에 비하여 수행능력이 낮은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각 집단에서 처치 후, 평가 점수의 차이를 살펴보면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에서 비디오피드백 처치를 한 집단만이 자기 및 관찰자평가 척도에서의 유의한 상승을 보였다. 자기-SPRS(자기평가)와 관찰자-SPRS(관찰자 평가)의 점수 차이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사회불안이 높은 집단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관찰자-SPRS 점수가 자기-SPRS 점수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keywords
사회불안, 비디오 피드백, 자기평가, 인지행동치료, social anxiety, video feedback treatment, self-evaluation,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Abstract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changes in self-evaluation among children's with social anxietys and in children's performance of role-play after the video feedback treatment is give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271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5th and 6th grades. The first stage of the test was to classify the students into high-level social anxiety group (top 5 % - with more than 110 marks) and low-level group (bottom 5 % - less than 50 marks) using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social anxiety test of a Korean version.. Each group was reclassified into video feedback applied and non-applied groups. The translated version of Social Performance Rating Scale(SPRS)was applied before and after video feedback as a standard measure of self-evaluation and observer evaluation. Before video application, the children were required to evaluate themselves during the role-play with researchers and could see their role-play video later. After seeing the video, children were required to evaluate themselves again. According to the test result, children with high level of social anxiety expected themselves that they would have less marks from the role-playing then children with lower level of social anxiety. In terms of the observer-evaluation, it was actually replied that the high social anxiety children showed poorer performance than the low social anxiety children. Also in relation to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after the video feedback treatment, the high social anxiety childre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elf- and the observer-evaluation scale only when they were treated with video feedback.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difference in the scores between the self-evaluation scale and the observer-evaluation scale, the high social anxiety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less of the video feedback treatment. The score of the observer-evalu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self-evalu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by question item,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video feedback treated, the high social anxiety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voice, eye contact, and the length of words.

keywords
사회불안, 비디오 피드백, 자기평가, 인지행동치료, social anxiety, video feedback treatment, self-evaluation,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참고문헌

1.

김은정 (1999). 사회공포증 집단의 사회적 자기처리와 안전행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김은정, 원호택 (2000). 사회공포증 집단이 사회공포 상황에서 보이는 사회적 자기처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33-45.

3.

문혜신, 오경자 (2002).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29-443.

4.

박기환, 안창일 (2001). 사회공포증의 인지행동집단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1), 1-18.

5.

양윤란 (2008). 사회공포증 증상과 사회기술의 관계에 대한 실험 연구: 아동, 어머니, 평정자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947-959.

6.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 Ⅰ: 행동억제기질, 부모양육태도 및 외상경험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57-576.

7.

오윤희, 안창일, 오강섭 (2004). 성인 불안장애 환자에서의 아동기 시절 불안장애 과거력 및 그 유무에 따른 임상양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4), 873-889.

8.

조용래 (2007). 발표불안에 대한 비디오 피드백의 효과: 중재변인과 매개변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293-322.

9.

허재홍 (2005). 자율신경계 신체반응, 인지과정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983-1002.

10.

황경남, 조용래 (2007). 우울수준과 인지적 준비가 비디오 피드백 처치 후의 발표 불아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323-344.

1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2.

Beidel, D. C., Turner, S. M., & Morris, T. L. (1995). A new inventory to assess childhood social anxiety and phobia: The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Psychological Assessment, 7, 73-79.

13.

Clark, D. B. (1993). Assessment of social anxiety in adolescent alcohol abusers. Paper presented at the Anxiety Disorders Association of America Annual Convention, Charleston, SC.

14.

Clark, D. M. (1999). Anxiety disorders: Why they persist and how to treat them. Behavior Tresearch and Therapy, 37, 5-27.

15.

Hatton, S. C., Hodges, L., Porter, J. (2003). Social anxiety in childhood: the relationship with self and observer rated social skill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44, 737-742.

16.

Heimberg, R. G. (1989). Cognitive and behavioral treatments for social phobia: A critical analysis. Clinical Psychology Review, 9, 107-128.

17.

Heimberg, R. G., Bruch, M. A., Hope, D. A., & Dombeck, M. (1990). Evaluating the states of mind model: comparison to an alternative model and effects of method of cognitive assessment.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543-557.

18.

LaGreca, A. M., & Stone, W. L., (1993).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 17-27.

19.

Morgan, J., & Banerjee, R. (2006). Social anxiety and self-evaluation of social performance in a nonclinical sample of children. Journal of Clinic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35, 292-301.

20.

Rapee, R. M., & Hayman, K. (1996). The effects of video feedback on the self-evaluation of performance in socially anxious subject.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4, 315-322.

21.

Schneier, F. R., Johnson, J., Hornig, C. D., Liebowitz, M. R., & Weissman, M. M. (1992). Social phobia: comorbidity and morbidity in an epidemiologic samp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9, 282-288.

22.

Scholing, H. A., & Emmelkamp, P. M. G. (1990). Social phobia: Nature and treatment. In H. Leitenberg(Eds.), Handbook of Social and Evaluation Anxiety (pp.260-324). New York: Plenum Press.

23.

Strauss, C. C., & Last, C. G. (1993). Social and simple phobias in children.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7, 141-152.

24.

Trower, S. M., Biedel, D. C., Costello, A. (1978). Psychopathology in the offspring of anxiety disorders patien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5, 229-235.

25.

Wells, A., Clark, D. M., Salkovskis, P., Ludgate, J., Hackmann, A., & Gelder, M. (1995). Social phobia: The role of in-situation safety bahaviors in maintaining anxiety and negative beliefs. Behavior Therapy, 26, 153-161.

26.

Wittchen, H. U., Robins, L. N., von Zerssen, D., Krieg, C., & Zaudig, M. (1992). Lifetime and six-month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the Munich follow-up study.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41, 247-255.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