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인터넷 사용동기, 부모-자녀 의사소통 및 심리, 정서적 문제가 초기 성인기 집단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et use motivation,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emotional problem on internet addiction for early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2, v.31 no.2, pp.419-434
박중규 (대구대학교)
배성만 (고려사이버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일반표본과 인터넷중독 고위험군에 대한 표적집단 표집을 통해 초기 성인기 집단의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을 탐색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서울 및 경기, 대구, 강원(춘천)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성인 3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반표본은 대학생을 중심으로 261명(남 114명, 여 147명), 표적표본은 PC방을 중심으로 98명(남 82명, 여 16명)을 조사하였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 인터넷 사용동기, 부모-자녀간의 개방적 의사소통, 불안 등의 변인이 인터넷 중독의 62%를 설명하였다. 특히, 소일거리 사용동기는 가장 강력한 예측변인이었다. 따라서 초기 성인기 집단의 인터넷 중독의 예측과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구체적인 인터넷 사용동기와 부모-자녀 의사소통 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

keywords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부모-자녀 의사소통, 인터넷 사용동기, Internet addiction, high-risk group, communication between parent-children, internet use motiv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variables that predict an internet addiction for early adults. Our study enrolled 359 adults who live in Seoul, Gyeonggi, Daegu and Gangwon(Chuncheon). 261 general samples were mainly college students(male 114, female 147) and target samples using primarily the internet in PC room were 98 people(male 82, female 16). Stepwise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internet use motivations,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 and anxiety explained 62% of internet addiction. Specially, pastime use motivation is the most strong predictive variable.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concrete internet use motivation of user, communication pattern with parents for prediction and therapy of internet addiction

keywords
인터넷중독, 고위험군, 부모-자녀 의사소통, 인터넷 사용동기, Internet addiction, high-risk group, communication between parent-children, internet use motivation

참고문헌

1.

강혜련 (2005). 장, 노년층의 자기통제감 및 우울감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만철, 오익수 (2001). 인터넷중독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청소년 상담연구 9, 114-135.

3.

강정주 (2001). 신체상에 대한 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곽웅신 (2006). 인터넷 사용 동기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곽웅신, 이영호 (2008). 인터넷독기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1), 291-31

6.

김광일, 김재환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연구소.

7.

김영혜 (2010). 부정적 양육태도와 차폐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885-900.

8.

김재휘, 홍재욱 (2000). 인터넷 이용자들의 동기와 사이트 이용 행동.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1(2), 25-46.

9.

김정아 (1990).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제 변수에 관한 연구. 이화여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종범 (1999). 인터넷중독 하위집단의 특성연구: 자존감, 우울, 외로움, 공격성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지현 (2001). 여성의 인터넷 이용동기, 만족,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상관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민혜영 (1990). Circumplex Model과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청소년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경애, 김희수, 이화자, 김옥희 (2009). 가족과 개인변인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41- 51.

14.

박성민 (2010). 인터넷 이용동기, 우울이 대학생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박성희, 최준호(2004). 인터넷이용동기와이용행태간상관관계에대한탐색적비교연구: 한국과 미국의 네티즌을 대상으로. 한국언론학보, 48(4), 243-270.

16.

박은영 (2005).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방희정, 조아미 (2003). 가족기능과 청소년의 인터넷 게임행동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1), 1-22.

18.

소병현 (2006).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송원영 (1998). 자기효능감과 자기 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안영균 (2005). 청소년 인터넷 중독자들의 정신병리 및 대처방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안석 (2000).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윤성민 (2006).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이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및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윤수연 (2005). 인터넷 게임중독 및 게임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게임특성, 게임이용동기, 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윤재희 (1998). 인터넷중독과 우울, 충동성, 감각추구성향 및 대인관계의 연관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수진 (2008).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변인이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 다변량 잠재성장 모형분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5(2), 175-192.

26.

이수진, 홍세희, 박중규 (2005). 청소년의 인터넷중독과 개인적, 가족적 변수간의 연구: 시간에 따른 변화와 상호 연관성. 교육심리연구, 19(4), 1179-1197.

27.

이시형, 이세용, 김은정, 오승근 (2000).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자녀교육. 삼성생명공익재단 정신건강연구소.

28.

이형초, 최윤경, 이순묵, 반재천, 이순영 (2007). 성인 인터넷 병리적 사용의 행동증상에 대한 자기 보고형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3), 765-791.

29.

이명주 (2008). 청소년의 문제행동,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인터넷 중독간의 관계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장재홍 (2004). 부모의 자녀양육태도가 중학생의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인터넷사용요구를 매개로. 상담학연구, 5(1), 113- 128.

31.

조춘범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과 가정 및 학교환경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인문계 고등학생들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천명재, 김창대 (2005). 인터넷 이용 동기 프로파일에 의한 인터넷중독자 분류 연구. 상담학연구 6(1), 211-227.

33.

표현정 (2006). 인터넷 중독행동을 설명하기 위한 심리학적 모형들의 비교 및 대안적 심리학적 모형개발: 청소년을 대상으로.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표현정, 이민규 (2009).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기 위한 심리학적 모형의 탐색: 중독위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 건강, 14(3), 531-548.

35.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8). 2008 인터넷중독 실태 조사.

36.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9). 2009 인터넷중독 실태 조사.

37.

홍세희, 박민선, 김원정 (2007). 인터넷 중독과 부모와의 의사소통 사이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성별간 다집단 분석. 교육심리연구, 21(1), 129-143.

38.

Ajzen, I. (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50, 179-211.

39.

Ajzen, I. (2002).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elf-efficacy, locus of control, an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2, 665-683.

40.

Barnes, H., & Olsen, D. H. (1982).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family inventories.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41.

Baruch, G. K. & Barnett, R. C. (1981). Competence-related Behaviors of Preschool Girls.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103: 79-103

42.

Baumrind, D. (1991). Effective parenting during the early adolescent transition. in Cowan P. A. & Hetheringt. M. on(Eds), Family transitions. 111-163. Hillsdale. N. J . Erlbaum.

43.

Baumrind, D. (1991). The influence of parenting style on adolescent competence and substance us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11(1), 56-96.

44.

Denham, S. A., Renwick, S., & Holt, R. W. (1991). Working and playing together: Prediction of preschool social–emotional competence from mother–child interaction. Child Development. 62, 242–249.

45.

Derogatis, L. R. (1977). Symptom check list-90 (Rev. ed.)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46.

Kendal. P. C., & Wilcox. L. E. (1979). Self 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 1020-1029.

47.

Korgaonkar, P., & Wolin, L. (1999). “A multivariate analysis of web usage”.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39(1), 53-68.

48.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Pub Co.

49.

Papacharissi, Z., & Rubin, A. M. (2000). Predictors of Internet Use. Journal of Broadcasting and Electronic Media, 44(2), 175-196.

50.

Pettit, G. S., Dodge, K. A., & Brown, M. M. (1988). Early family experience, social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9, 107-120.

51.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 evaluation, and treatment. In L.vandeCreek & T.Jackson(eds.)Innovation in clinical practice: A Source Book (Vol. 17). 19-31.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