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적 지연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수행회피 성취목표,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의 영향을 구조적으로 검증하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사이에서 수행회피 성취목표와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남의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198명이었고,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척도, 수행회피 성취목표 척도, 자기구실 만들기 척도, 학업적 지연행동 척도 등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 4개를 구성하여 자료를 가장 잘 설명하는 모형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고, 최적의 모형에서 개별변수의 영향력과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모형검증 결과,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가 학업적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수행회피 성취목표와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이 완전 매개하는 경쟁모형 4가 최적의 모형으로 확인되었고,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들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role of performance-avoida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handicapp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university students' academic procrastination.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erformance-avoida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hosen from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sangnam-do and Seoul and they received questionnaires to measure thei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erformance-avoida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lf-handicapping strategy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researcher constructed one research model and 4 alternative models to navigate the most suitable explanation for data and verified the influence of variabl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indicate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performance-avoida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handicapping strategy significantly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positively. The results of SEM showed that the relation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were completely mediated by performance-avoida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self-handicapping strategy. The implication of this result was discussed and the limitation and future direction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in the end.
계수영, 박기환, 엄소용 (2011).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성취목표지형성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1(2), 95-111.
고영춘 (2007). 화학교과의 학습동기요인과 학습전략 사이의 관계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곽유미 (2010).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의 관계: 우울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권석만 (2010). 인생의 2막 대학생활. 서울: 학지사.
김아름 (2009).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과의 관계에서 자존감 및 자기개념 명확성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연희 (2006). 목표지향에 따른 학생이 지각한 학업지지 교사행동, 자아존중감이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진호, 홍세희, 추병대 (2007). 경영학 연구에서의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용: 문헌 연구와 비판. 經營學硏究, 36(4), 897-923.
김현정 (2003). 완벽주의, 충동성, 자기효능감 및 실패공포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정희 (2006). 시험불안과 학업적 유능감의 관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류지연 (2002). 자기효능감 및 완벽주의 성향과 지연행동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박영신, 김의철 (2000). 부모자녀관계 변화가 대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초․중․고․대학생의 성취동기, 생활만족도, 일탈행동을 중심으로. 교육학연구, 38(2), 109-146.
박영신, 김의철 (2003).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청소년학연구, 10(1), 139-165.
박재우, 권정혜 (1998). 과제의 자아 위협도와 완벽주의가 과제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05-119.
배병렬 (2007). Amos 17.0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연구부 (2010). 서강상담연구. 3, 99-132.
서은희 (2006). 학업적 지연행동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송재홍 (2008). 대학생의 학업 자해행동 예측에 있어서 자아개념 명료성과 성취목표 및 교실목표구조 지각의 역할. 敎育心理硏究, 22(1), 35-53.
오지은, 임성문, 추상엽 (2011). 완벽주의와 자기구실 만들기 간의 관계: 성취목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135-155.
오지은, 추상엽, 임성문 (2011).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평가 장면의 회피전략 간 관계: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비교. 청소년학연구, 18(3), 179-213.
유성은 (1997). 완벽주의적 성향,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이 중년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숙경 (1997). 완벽성향과 자기개념에 따른 대학생의 지연특성의 차이.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윤재호 (2011). 지연동기 척도 개발 및 지연동기와 심리적 부적응간 경로 모형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미라 (2004). 완벽주의 성향과 학업동기관련문제가 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미화, 류진혜 (2002). 완벽주의 성향의 순기능과 역기능. 청소년학연구, 9(3), 293-316.
이수민, 양난미 (2011).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17-738.
임성문, 강미정 (2006). 완벽주의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인으로. 사회과학연구, 23(1), 119-136.
조민경 (2010). 성취목표, 자기구실 만들기 전략, 성패에 따른 귀인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추상엽, 임성문 (2009).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 학업적 지연행동 간의 관계: 수행회피 성취목표의 매개효과의 인지전략, 메타-인지전략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6(1), 467-490.
한기연 (1993).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윈논문.
한영숙 (2006). 완벽주의, 자기효능감, 실패공포가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4), 277-299.
황지희 (2007).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Aitken, M. E. (1982). A personality profile of the college student procrastinat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Pittsburgh..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423.
Berglas, S., & Jones, E. E. (1978). Drug choice as a self-handicapping strategy in response to noncontingent suc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6, 405-41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eck, L. B., Koons, S. R., & Milgrim, D. L. (2000). Correlates and consquences of behavioral procrastination: The effects of academic procrastination, self-consciousness, self-esteem, and self-handicapping.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5(5), 3-13.
Eerde, W. V. (2003). A meta-analytically derived nomological network of procrastination. Personal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1401-1418.
Elliot, A. J., & Church, M. A. (1997).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1), 218-232.
Emmett, Rita (2000). The Procrastinator's HandbookMastering the Art of Doing It Now, NY: Walker & Company.
Flett, G. L., & Hewitt, P. L. (2006). Positive versus negative perfectionism in psychopathology: A comment on slade and owens's dual process model. Behavior Modification, 30(4), 472-495.
Garcia, T. (1995). The role of motivational strategies in self-regulated learning. New Direct, Teach. Learn, 63, 29-42.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456-470.
Higgins, R. L., & Harris, R. N. (1988). Strategic "alcohol" use: Drinking to selfhandicap.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6, 191-202.
Howell, A. J., & Watson, D. C. (2007). Procrastination: Associations wi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 167-178.
Hu, L., & P. M. Bentler. (1999). Cut 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6, 1-55.
Jing, K. (2011).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self-handicapping on college students' mental health. 2011 2nd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mergency Management and Management Sciences, art. no. 6015815, 847-850 0
Jones, E., & Rhodewalt, F. (1982). Self-handicapping scale.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Utah.
Jöreskog., K. G. (1993).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K. A. Bollen & J. S. La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pp.294-316). Newbury Park, CA: Sage..
Lay, C. H. (1986). At last, my research article on procrastina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0, 474-495.
Martin, A. J., Marsh, H. W., & Debus, R. L. (2003). Self-handicapping and defensive pessimism: A model of self-protection from a longitudinal perspective.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8, 1-36.
Martin, T. R., Flett, G. L., Hewitt, P. L., Krames, L., & Szanto, G. (1996). Personality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health symptoms: A test of a self-regulation model.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1, 264-277.
McCown, W., & Robert, R. (1994). A studies of academic and work-related dysfuctioning relevant to the college version of an indirect measure of impulsive behavior. Integra Technical Paper 94-28, Randor, PA: Integra, Inc.
Onwuegbuzie, A. J. (2000). Academic procrastinators and perfectionistic tendencies among graduate students. Journal of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15(5), 103-109.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Shrout, P. E.,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 422-445.
Solomon, Laura J. & Rothblum, Esther D. (1984). Academic procrastination: Frequency and cognitive-behavioral correlat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4) 503-509.
Steel, P. (2007). The Nature of Procrastination: A Meta-Analytic and Theoretical Review of Quintessential Self-Regulatory Failure. Psychological Bulletin, 133(1), 65-94.
Stoeber, J., Stoll, O., Pescheck, E., & Otto, K. (2008).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goals in athletes: Relations with approach and avoidance orientations in mastery and performance goals.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9, 102-121.
Tice, D. M., & Baumeister, R. F. (1990). Self-esteem, self-handicapping, and self- presentation: the strategy of inadequate practice. Journal of Personality, 58(2), 443-464.
Urdan, T., & Midgley, C. (2001). Academic Self-Handicapping: What We Know, What More There is to Learn.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3(2), 115-138.
West, S. G., J. F. Finch, & P. J. Curran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Sage, 56-75.
Zuckerman, M., Kieffer, S, C., and Knee, C. R. (1998). Consequences of self-handicapping: Effects on coping, academic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1619-1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