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시설양육 청소년의 양육장소변경과 문제행동의 관계: 탄력성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ment change and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ilienc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3, pp.591-607
민자경 (연세대학교)
오경자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시설양육 청소년의 양육장소변경과 문제행동의 관계를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탄력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검증하였다. 서울에 위치한 세 곳의 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청소년 162명을 대상으로 양육장소변경 경험, 탄력성,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을 측정하였다. 탄력성은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문제행동은 청소년이 스스로 보고하는 YSR과 양육자가 보고하는 CBCL 6-18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양육장소변경의 경험이 증가할수록 청소년 보고와 양육자 보고 모두에서 청소년의 문제행동이 증가하여 양육장소변경 경험이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양육장소변경이 양육자 보고 내재화 문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탄력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탄력성이 높을수록 양육장소변경이 양육자 보고 내재화 문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가 중재되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placement change, resilien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시설양육 청소년, 양육장소변경, 탄력성,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multiple placement changes and problem behaviors of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Additionally, resilience was examined as a moderator between multiple placement change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 total of 162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dolescents were asked how many times they experienced placement changes and completed the Korean Resilience Scale and Youth Self Report (YSR). Caretakers completed the Child Behavior Check List for ages 6-18 (CBCL 6-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d number of placement changes negatively affecte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ssessed by both adolescents and caretakers. Resilience moderated the negative effect of multiple placement changes on in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reported by the caretaker. The present findings coul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designing and implementing appropriate intervention plans for adolescents with experience of multiple placement chang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placement change, resilienc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시설양육 청소년, 양육장소변경, 탄력성,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참고문헌

1.

강태신, 임영식, 이수정 (2008). 비행청소년의 내재화 문제 수준에 따른 외현화 문제. 미래청소년 학회지, 5(1), 163-182.

2.

강현아, 노충래, 전종설, 정익중 (2012).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부정적 사건경험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19(3), 193-222.

3.

강현정, 국승희 (2010) 내재화 장애 청소년과 외현화 장애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대한 부모 보고와 청소년 보고의 양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907-925.

4.

김보람, 이경숙, 박진아 (2007). 시설보호아동의 지능 및 정서, 행동특성과 자아탄력성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428-429.

5.

김순복 (2007). 낙관성 형성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 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주환 (2011).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 비밀. 고양: 위즈덤하우스.

7.

김주희 (2006). 교류분석 집단 프로그램이 시설보호청소년의 탄력성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지연, 오경자 (2011).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647-661.

9.

남영옥 (2007). 생활시설 청소년의 사회적 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보호요인. 청소년학 연구, 14(6), 313-336.

10.

박현선 (2000). 실직가정 자녀의 적응유연성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41, 147-172.

11.

보건복지부 (2011). 아동 복지 시설 현황.

12.

보건복지부 (2013). 요보호 아동 발생 및 조치 현황.

13.

오경자, 김영아 (2010). 아동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매뉴얼. 서울: ㈜ 휴노.

14.

오경자, 김영아, 하은혜, 이혜련, 홍강의 (2010).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부모용 CBCL 6-18. 서울: ㈜ 휴노.

15.

오경자, 김영아, 하은혜, 이혜련, 홍강의 (2010). 청소년 행동평가척도 자기보고용 YSR. 서울: ㈜ 휴노.

16.

오경자, 김은이, 도례미, 어유경 (2005). 빈곤가정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24(1), 53-71

17.

이경희 (2008). 시설보호 청소년의 탄력성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 영, 조연순 (1993). 아동의 세계: 태내기에서 청년기 발달까지. 서울: 양서원.

19.

이해리 (2007). 역경과 유연성이 청소년의 정신건강, 학교생활적응,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 상담연구, 15(1), 51- 66.

20.

이해리, 조한익 (2005).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개발. 한국 청소년 연구, 16(2), 161- 206.

21.

이해리, 조한익 (2006). 한국 청소년 탄력성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2), 353-371.

22.

장경문 (2003).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심리적 성장환경의 관계. 청소년학 연구, 10(4), 143-161.

23.

장휘숙 (2001). 사회정서발달: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1), 113-127.

24.

정선욱 (2002). 시설보호 청소년의 원가족 관계 경험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 14, 145-168.

25.

최은경, 오수성 (2006). 보육시설 청소년의 애착유형에 따른 행동문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1), 129-145.

26.

한신애, 문수백 (2011). 학령기 아동의 학교적응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355-376.

27.

현은민, 박혜영 (2005). 시설보호 아동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 가정관리 학회지, 23(1), 19-29.

28.

홍미란 (2010). 부모 또래 애착과 자아탄력성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Achenbach, T. M., & Rescorla, L. R. (2007).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assessment. New York: Guilford Press.

30.

Achenbach, T. M., McConaughy, S. H., & Howell, C. T. (1987). Child/adolescent behavioral and emotional problems: Implications of cross informant correlations for situational specificity. Psychological Bulletin, 101(2), 213-232.

31.

Aguilar-Vafaie, M. E., Roshani, M., Hassanabadi. H., Masoudian, Z., & Afruz, G. A. (2011). Risk and protective factors for residential fostercare adolescents. Children and Youth Service Review, 33(1), 1-15.

32.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33.

Anctil, T. M., McCubbin, L. D., O'Brien K., & Pecora, P. (2007). An evaluation of recovery factors for foster care alumni with physical or psychiatric impairment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outcomes. Children and Youth Service Review, 29, 1021-1034.

34.

Block, J., Block, J. H., & Keyes, S. (1988). Longitudinally foretelling drug usage in adolescence: Early childhood personality and environmental precursors. Child Development, 59(2), 336-355.

35.

Block, J.,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36.

Coddington, R. D. (1972). The significance of life events as etiologic factors in the diseases of children.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16, 7-18.

37.

Cook, A., Spinazzola, J., Ford, J., Lanktree, C., Blaustein, M., Cloitre, M., Derosa, R., Hubbard, R., Kagan, R., Liautaud, J., Mallah, K., Olafson, E., & Van der Kolk, B. (2005). Complex traum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sychiatric Annals, 35(5), 390-398.

38.

Leathers, S. J. (2002). Foster children's behavioral disturbance and detachment from caregivers and community institution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4(4), 239-268.

39.

Luthar, S. S., Cicchetti, D., & Becker, B. (2000). The construct of resilience: A critical evaluation and guidelines for future work. Child Development, 71(3), 543-562.

40.

Masten, A. S., & Coatsworth, J. D. (1998).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in favorable and unfavorable environments: Lessons from research on successful children. American Psychologist, 53(2), 205-220.

41.

Masten, A. S., Monn, A. R., & Supkoff, L., M. (2011). Resilienc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 M. Southwick, D. Charney, M. J., Friedman(Eds.), Resilience and Mental Health: Challenges across the lifespan (pp.103-119).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Newton, R. R., Litrownik, A. J., & Landsverk, J. A. (2000). Children and youth in foster care: Disentang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behaviors and number of placements. Child Abuse & Neglect, 24(10), 1363-1374.

43.

Palmer, S. E. (1996). Placement stability and inclusive practice in foster care: An empirical study.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18, 589-601.

44.

Pardeck, J. T. (1984). Multiple placement of children in foster family care: An empirical analysis. Social Work, 29, 506-509.

45.

Proch, K., & Taber, M. (1985). Placement disruption: A review of research. Children and Youth Service Review, 7(4), 309-320.

46.

Rubin, D. M., O’Reilly, L. R., Luan, X., & Localio, R. (2007). The Impact of placement stability on behavioral well-being for children in foster care. Pediatrics, 119(2), 336-344.

47.

Simsek, Z., Erol, N., Öztop, D., & Münir, K. (2007). Prevalence and predictor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reported by teachers among institutionally rear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urkish orphanages compared with community controls.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9(7), 883-899.

48.

Unrau, Y. A. (2007). Research on placement moves: Seeking the perspective of foster children.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29, 122-137.

49.

Unrau, Y. A., Seitab, J. R., & Putneyc, K. S. (2008). Former foster youth remember multiple placement moves: A journey of loss and hope.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0(11), 1256-1266.

50.

Wulczyn, F., Kogan, J., & Harden, B. J. (2003). Placement Stability and Movement Trajectories. Social Service Review, 77, 212-236.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