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는 수퍼비전의 중요한 관계요인인 수퍼비전에서의 자기개방과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추정하였다. 이를 위해 개인 수퍼비전을 실시하고 있는 170쌍의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를 대상으로 수퍼비전 직후 설문에 응답하게 하였으며 최종 168쌍의 설문결과를 AIPM 분석방법을 통해 처리하였다. 자기개방이 만족도에 미치는 APIM 분석 결과,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의 개방은 각각 자신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끼치며(자기 효과), 또한 상대방 효과도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개방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의 효과간 상대적 비교검증을 시행한 결과, 수퍼바이지의 만족도에 대한 효과는 수퍼바이저의 자기개방인 상대방 효과보다 수퍼바이지 자기개방인 자기효과가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동맹과 만족도 간의 APIM을 수행한 결과, 작업동맹은 수퍼바이저와 수퍼바이지 모두 자기 효과만이 유의하게 정적으로 영향을 끼침을 볼 수 있었다.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수퍼바이저 변인에 대한 연구의 의의와 수퍼비전 교육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 of self-disclosure and working alliance,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variables in supervision, on supervision satisfaction of supervisor and supervisee in supervision setting. 170 pairs of supervisors and supervisees, who operated individual supervision, completed questionnaires after the supervision; a total of 168 pairs'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APIM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APIM analysis on self-disclosure influence on supervision satisfaction, disclosure of supervisor and supervisee was positively significant in partner effect as well as actor effect. The relative comparison test result indicated that between the self-disclosure actor effect and partner effect, the supervisee's actor effect was more positively significant than the supervisor's disclosure effect on the supervisee's satisfaction. After conducting APIM on working alliance and satisfaction, only actor effect had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working alliance including both supervisor and supervisee. The research suggests its significance of supervisor variable, which affects supervision satisfaction as well as factor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supervision education.
강지연, 유성경 (2006). 수퍼바이지 수치심과 수퍼비전 만족도의 관계에서 작업동맹 및 자기개방의 매개효과 검증. 상담학연구, 7(4), 1005-1021.
김동민, 양정연 (2012). 작업동맹 지각에 대한 상담자와 내담자 성인애착패턴의 효과: 행위자-파트너 상호의존 모델 분석. 상담학연구, 13(6), 2523-2542.
김신애 (2008). 초심 상담자의 신경증 정도에 따라 지각한 소집단 수퍼비전 경험차이.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김윤주 (2004). 수퍼바이저 과업 및 기능 수행과 상담 수련생의 수퍼비전 만족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방기연 (2006). 상담심리사의 수퍼비전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8(2), 233-254.
이수현, 김동민 (2011). 수퍼비전 작업동맹척도 (WAI-T) 요인구조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2(1), 43-62.
서은경 (2012). 수퍼바이지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개인 수퍼비전 작업동맹의 관계: 수치심, 자기수용, 인지대처의 매개효과-상담수련생과 상담자격증 소지자 집단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1), 1-26.
서정선, 신희천 (2007). 용서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87-100.
소수연, 장성숙 (2011). 효과적인 수퍼비전 요소에 관한 수퍼바이저의 지각 연구. 상담학연구, 12(3), 1057-1067.
손난희 (2007). 상담 수퍼비전에서 초심상담자들의 자기고양적 성향과 위협자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손승희 (2004). 개인수퍼비전에서 상담수련생의 비개방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손승희 (2005) 수퍼비전에서 상담수련생의 비개방 내용, 이유 및 방식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57-64.
손은정, 유성경, 강지연, 임영선 (2006).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상담자 경력 수준이 역할 어려움과 수퍼비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4), 695-711.
지승희, 박정민, 임영선 (2005). 인턴상담원이 지각하는 개인상담 수퍼비전에서의 도움 및 아쉬운 경험.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75-90.
천영희, 고재홍 (2005). 모-청소년 자녀의 자존감, 성격특성 및 의사소통 방식이 상대방과의 갈등에 미치는 영향: APIM 모형의 적용, 청소년상담연구, 13(2), 47-60.
최한나, 김창대 (2008). 좋은 수퍼비전 관계에 대한 수퍼바이지의 인식 차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75-90.
왕은자 (2001). 소집단 수퍼비전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홍지영 (2005). 수퍼바이저 스타일이 수퍼비전 과정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Bahrick, A. S., Russel, R. K & Salmi, S. W. (1991). The effects of role induction on trainees’ perceptions of supervis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69, 434-438.
Bordin. E. S. (1983). A working alliance based model of supervis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11, 35-41.
Campbell, L., & Kashy, D. A. (2002) Estimating actor, partner, and interaction effects for dyadic data using PROC MIXED and HLM: a user friendly guide. Personal Relationships, 9(3), 327-342.
Campbell, L., Simpson, J. A., Boldry, J., & Kashy, D. A. (2005). Perception of conflict and support in romantic relationships: the role of attachment anxie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8(3), 510-531.
Campbell, L., Simpson, J. A., Kashy, D. A., & Rholes, W. S. (2001). Attachment orientations, dependence, and behavior in a stressful situation: an application of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18(6), 821-843.
Cook, W. I., & Snyder, D. K. (2005). Analyzing nonindependent outcomes in couple therapy using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2(4), 529-542.
Efstation, J. F., Patton, M. J., & Kardash, C. M. (1990). Measuring the workng alliance in counselor supervi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7, 322-329.
Farber, B (2006) Supervisee and supervisor disclosure. In B. Farber(Ed.), Self-disclosure in Psychotherapy (pp.180-197). New York: Guilford Press.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 Black, W. (1992).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3 ed.). New York: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Haynes, R., Corey, G., & Moulton, P. (2006). 상담 및 조력전문가를 위한 수퍼비전의 실제[Clinical supervision in the helping profession; A practical guide.].(김창대, 유성경, 김형수, 최한나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3년에 출판).
Horvath, A. O., & Greenberg, L. S. (198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lliance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6, 223-233.
Kivlighan, D, M. (2007). Where is the relationship in research on the alliance? Two methods for analyzing dyadic dat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4(4), 423-433.
Knox, S., Burkard, A., Edwards, L., Smith, J., & Schlosser, L. (2008). Supervisors’reports of the effects of supervisor self-disclosure on supervisees. Psychotherapy Research, 18(5), 543- 559.
Knox, S., Edwards, L. M., & Hess, S. A. (2011). Supervisior self-disclosure: Supervisees' Experiences and perspective. Psychotherapy, 48(4), 336-341.
Mehr, K., Ladany, N., Caskie, G. (2010). Trainee nondisclosure in supervision: What are they not telling you? Counselling & Psychotherapy Research, 10(2), 103-113.
Ladany, N. (2002). Psychotherapy supervision; How dressed is the emperor, Psychotherapy Bulletin, 37, 14-18.
Ladany, N., Ellis, M. V., & Freidlander, M. L. (1999).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trainee self-efficacy, and satisfaction.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7, 447-455.
Ladany, N., Hill, C. E., Corbett, M. M., & Nutt, E. A. (1996). Nature, extent, and importance of what psychotherapy trainees do not disclose to their supervisor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 10-24.
Ladany, N., & Walker, J. A. (2003). Supervisor self-disclosure: Balancing the uncontrollable narcissist with the indomitable altruist. In Sessio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9, 611-621.
Ladany, N., & Walker, J. A. Melincoff, D. S. (2001). Supervisory style: its relation to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supervisor self-disclosure.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40(4), 263-275.
Livni, D., Crowe, P., & Gonsalvez, C. J. (2012). Effects of supervision modality and intensity on alliance and outcomes for the supervisee. Rehabilitation Psychology, 57(2), 178-186.
Patton, M. J., & Kivlighan, D. M. (1997). Relevance of the supervisory alliance to the counseling alliance to treatment adherence in counselor training.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4(1), 108-115.
Robins, R. W., Caspi, A., Moffitt. T. E. (2002) It’s not just who you’re with, it’s who you are: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experiences across multiple relationship. Journal of Personality, 70(6), 925-964.
Sterner, W. R. (2009). Influence of the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on supervisee work satisfaction and work-related stresss. Journal of Mental Health Counseling, 31(3), 249-263.
Yerushalmi, H. (1992). On the concealment of the Interpersonal therapeutic reality in the course of supervision, Psychotherapy, 29, 438-446.
Yourman, D. B. (2000). Internalized shamed, representations of the supervisory process, and trainee perceptions of nondisclosure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A Dissertation Presented for the Doctor of Philosophy Degree The University of Columbia University.
Yourman, D. B., & Farber, B. A. (1996). Nondisclosure and distortion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Psychotherapy, 33(4), 567-575.
Wampold, B. E, & Holloway, E. L., (1997). Methodology, design, and evaluation in psychotherapy supervision research. In C. E. Watkins (Ed.). Handbook of psychotherapy supervision. New York: John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