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남자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Anger Expressions in the Relationship of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4, pp.845-866
조영재 (부산대학교)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남자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분노표현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울산시에 소재한 1개 전문대학교의 전체 대학생(1, 2학년)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내현적 자기애성향, 분노표현,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인관계문제와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Sobel Test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내현적 자기애성향, 분노표현양식(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 대인관계문제는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성향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분노표현양식의 하위요인 중 분노표출과 분노억제, 분노통제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자대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성향은 대인관계문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성향이 있는 남자대학생이 대인관계문제를 보일 경우 내현적 자기애성향 자체에 대한 개입과 분노표현양식의 매개를 통해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연구결과에 기초한 논의 및 함의가 제시되었다.

keywords
내현적 자기애성향, 대인관계문제,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 Covert narcissism, Anger expressions(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Interpersonal problem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ive th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on anger expression (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and interpersonal problem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as 321 male college students in Ulsan metro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First, covert narcissism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nger-out, anger-in and interpersonal problems. And covert narcissism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nger-control. Anger-out and anger-in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And anger-control have a negative correlation with interpersonal problems. Secondly, anger expressions(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interpersonal problems. Additionally, covert narcissism exerts a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problem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내현적 자기애성향, 대인관계문제, 분노표현(분노표출, 분노억제, 분노통제), Covert narcissism, Anger expressions(anger-out, anger-in, anger-control), Interpersonal problems

참고문헌

1.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화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0.

2.

강일선 (2006). 자기애와 자기 개념의 명확성이 분노에 미치는 영향.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6, 606-607.

3.

강희라 (2005). 실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학교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곽진영, 하은혜 (2010). 청소년의 자기애와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학교, 7(3), 315-331.

5.

권석만 (1995). 대학생의 대인관계 적절성 부적응에 대한 인지행동적 설명모형. 학생연구, 30, 38-63,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6.

권석만 (1997).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7.

권석만, 서수균 (2002).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809-826.

8.

권석만, 한수정 (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9.

권석만, 한수정 (2010). 자기애자의 자기관련 정보에 대한 지각적 민감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4), 1135-1143.

10.

김기석 (2008). 한국고등교육연구. 교육과학사.

11.

김현숙 (2000). 청소년 애착과 지각향성 및 대인관계문제와의 관련성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현임 (2002). 복교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혜령 (2003). 전문대학생의 애착유형 및 자아존중감 수준과 대인관계 성향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세란 (2004).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255-266.

15.

박진숙 (2007). 내현적 자기애 성격성향 청소년의 분노표현양식과 대인관계문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백경림 (2009). 자기애와 자기효능감이 분노 및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백승혜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적대감, 분노경험수준, 분노표현 양식. 한국심리학회: 임상, 27(4), 1001-1017.

18.

서수균 (2007). 자존감과 자기애 수준에 따른 분노사고, 신념, 분노표현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3), 719-734.

19.

유선림, 황해자 (2005). 대인관계증진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논문집, 30, 75-93.

20.

유영미 (2011). 학생 차원 전문대학교육 효과 논쟁에 대한 비판적 검토. 교육사회학연구, 21(4). 181-203.

21.

이계정, 정남운 (2005). 내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인터넷 과다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9(1), 55-69.

22.

이원희 (2005). 자기애와 다차원적 완벽주의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1), 19-36.

23.

이준득 (2005).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463-477.

24.

이정연 (2011).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성의식 및 대인관계간의 상관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조은영 (2011). 내현적․외현적 자기애 성향자의 분노특성과 전위공격성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전겸구 (1998). 분노에 관한 기초 연구. 재활심리연구, 6(1), 73-190.

27.

정남운 (2001). 자기애적 성격검사의 요인구조와 아이젱크 성격차원 및 자존감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221-237.

28.

최기창 (2003). 전문대학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학업성취/동기유발에 관한 연구. 산업개발연구, 10, 35-42.

29.

최미자 (2002).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환경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임정 (201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79-492.

31.

한동화 (2008). 청소년의 분노표현방식에 대한 연구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8(2), 109-128.

32.

하영윤 (1996). 대학생의 자아강도 수준과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 8, 99-119.

33.

황수민 (2010). 애착과 대인관계: 남자대학생의 부모애착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5(1), 67-86.

34.

Akhtar, S., & Thompson, J. A. (1982). Overview: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 12-20.

35.

Anderson., & Malico, R. (1994). Anger Management Using Cognivive Group Therapy. Perspectives in psychiatric care, 30(3), 17.

36.

Atlas, G. D., & Them, M. A. (2008). Narcissism and sensitivity to criticism: A preliminary investigation. Current Psychology, 27, 62-76.

37.

Averil, J. R .(1983). Studie sonangerand aggression: Implications for theories of emotion. American Psychologist, 38, 1145-1160.

38.

Baron, R. M. and Kenny, D. A.,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Psychology, 51(6), 1986, pp. 1173-1182.

39.

Baumeister, R. F., & Exline, J. J. (2000). Self-control, morality, and human strength.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 29-42.

40.

Berkerwitz, L. (1990). On the formation and regulation of anger and aggression. American Psychologist, 45(4), 494-503.

41.

Besser, A., & Zeigler-Hill, V. (2010). The influence of pathological narcissism on emotional and motivational responses to negative events: The roles of visibility and concern about humiliation.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4(4), 520-534.

42.

Bushman, B. J., & Baumeister, R. F. (2004). Human Nature and Aggressive Motivation: Why Do Cultural Animals Turn Violent? Journal of Revue Internationale de Psychologie Sociale, 17(2), 205-220.

43.

Campbell W. K., & Baumeister R. F. (2006).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Fisher J. E., o' Donohue W. T., editors. Practitioner's guide to evidence-based psychotherapy. New York: Springer; 423-431.

44.

Carter, L., & Minirth, F. (1993). The Anger-Workbook. Nashville: Thomas Nelson publishers.

45.

Cautin, R. L., Overholser, J. C., & Goetz, P. (2001). Assessment of mode of anger expression in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Adolescent. 36, 163-170.

46.

Champman, A. L., Garatz, ,K. L., Brown, M, Z. (2006). Solving the puzzle of deliberate self- harm: The experiential avoidance model.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44, 371-394.

47.

Cooper, A. M. (2000). Futher developments in the clinical dianosi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F. Elsa, & E. Ronningstam(Eds.), Disorders of narcissism: Diagnostic, clinical and emprical implications (pp.53-74), London: Jason Aronson Inc.

48.

Dickinson, K. A., & Pincus, A. (2003). Interpersonal analysis of grandiose and vulnerable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17, 188-207.

49.

Emmons, P. A. (2003). Narcissists as "victims": The Role of Narcissism in the Perception of transgression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7), 885-893.

50.

Erickson, E.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Y, :Wiley

51.

Freud, S. (1914). On narcissism: An Introduction. Collection Works. Vol. 95.

52.

Gross, J. J.,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 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 348-362.

53.

Kalat, J. W., & Shiota, M. N. (2007). Emotion. Australia: Thomson(민경환, 이옥경, 김지현, 김민희, 김수안 역. 정서심리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54.

Kernberg, O. F. (2008). 경계선 장애와 병리적 나르시시즘 (윤순임 역): 서울. 학지사.

55.

Kring, A. M. (2001). Emotiom and Psychopathology. In J. J Mayne, & G. A. Bonanno(Eds.), Emotions: current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New York: Guilford.

56.

Lasch, C. L. (1991) The culture of narcissism. New York: Norton.

57.

Mongraine & Vettese (2003). Conflict over emotional expression: Implications for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9, 545-555.

58.

Ogrodniczuk, J. S. (2009). Interpersonal problems associated with narcissism among psychiatric outpatients.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43(9), 837-842.

59.

Papps, B. P., & O'Carroll, R. E. (1998). Extremes of self-esteem and narcissism and the experienced expression of anger and aggression. Aggressive Behavior, 24, 421-438.

60.

Robbins, S. B., & Dupont, P. (1992). Narcissistic needs of the self and preceptions of interpersonal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221-231.

61.

Spieberger, C. D., Krasner, S. S., & Solomon, E.P. (1988). The experience, expression and control of anger. In M. P. Janisse (EDS) Individual differnces, stress, and health psychology(pp.203- 222). NY: Springer Verlag.

62.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590-59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