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노부부갈등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Elderly Couple Conflict Scal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4, v.33 no.2, pp.397-415
서수균 (부산대학교)
정영숙 (부산대학교)
이윤희 (부산대학교)
안정신 (부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 주요 대인관계인 부부관계에서 노인이 경험하는 갈등을 측정하고자 노부부갈등척도(Elderly Couple Conflict Scale: ECCS)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443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48개의 ECCS예비문항과 부부관계만족도, 노인부부관계특성척도, 노인용사기척도(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 PGCMS), 행복지수척도를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ECCS는 총 32문항으로 6요인구조(배려및관심부족, 강압적인태도, 무절제및불충실한행동, 무시및소외, 가사불만, 부부외가족문제)를 보였다. 요인별 내적합치도는 .68 ~.93이며, 부부관계만족도, 노인부부관계특성척도, PGCMS, 행복지수척도와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여 양호한 수렴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이어, ECCS의 하위요인들 중 부부관계만족도, PGCMS, 행복지수척도를 예언해주는 요인을 찾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부관계만족도를 예언하는 요인에는 남자노인의 경우 배려및관심부족이, 여자노인의 경우는 배려및관심부족과 가사불만이 확인되었다. PGCMS와 행복지수척도를 예언해주는 요인으로, 남자노인의 경우 무시및소외와 부부외가족문제가, 여자노인의 경우는 강압적인태도, 배려및관심부족, 부부외가족문제가 확인되었다.

keywords
노년기, 부부관계, 노부부갈등척도, 탐색적 요인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elderly, couple relationship, elderly couple conflicts scale, exploratory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Elderly Couple Conflict Scale(ECCS) to measure the elderly's conflicts with spouse as elderly's primary personal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48 initial items of ECCS was administrated to 443 elderly people who were over 60 years old with other scales involved in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Elderly Coupl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ale Scale(PGCMS), and Korean Happiness Index. The results of exploratory analysis were that ECCS was composed of 32 items, 6 factors(regard/concern lack, forceful attitude, intemperance/disloyalty behaviors to family, neglect/alienation, housework discontent, other family issues). The internal reliabilities of each factors were .68∼.93. ECCS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Elderly Couple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PGCMS, and Korean Happiness Index to suggest satisfactory discriminant validity. Then, to finding the strong factors among sub-factors of ECCS to predict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PGCMS and Korean Happiness Index, we implemen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In male elderly, The strongest predictors of couple relationship satisfaction were regard/concern lack, in female elderly, regard/concern lack and housework discontent. The strongest predictors of PGCMS and Korean Happiness Index were neglect/alienation, other family issues in male elderly, regard/concern lack, forceful attitude, family issues in female elderly.

keywords
노년기, 부부관계, 노부부갈등척도, 탐색적 요인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elderly, couple relationship, elderly couple conflicts scale, exploratory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참고문헌

1.

강신성, 임왕규 (2013). 노년기 부부갈등이 황혼이혼과 범죄충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9), 178-192.

2.

강유진 (2007). 둘째 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8(4), 639-653.

3.

강 인 (2003). 성공적 노화의 지각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 95-116.

4.

고재욱 (2011). 노년기의 부부관계 개선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16(4), 119-143.

5.

김경숙 (1993). 취업주부의 가정관리능력과 행동유형에 관한 체계론적 접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6.

김경식, 이은주 (2010).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한국콘테츠학회논문지, 10(4), 424-432.

7.

김경신 (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노년, 중년, 청소년 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8.

김경신, 이선미 (2003).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생활만족도. 대한가정학회지, 41(1), 139-153.

9.

김경연, 정여진 (2006). 건강 및 경제 수준에따른 집단별 성공적 노화의 요소 탐색. 노인복지연구, 34, 31-54.

10.

김경호, 김지훈 (2009). 한국 노인의 성공적인노화요인의 구조분석. 한국노년학, 29(1), 71-87.

11.

김미령 (2008).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 28(1), 33-48.

12.

김미혜, 신경림, 강미선, 강 인 (2004). 한국의성공적 노후에 대한 경험. 한국노년학, 24(2), 79-95.

13.

김미혜, 김정원, 백명희, 송혜미 (2007). 남편이은퇴한 여성 노인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38, 383-416.

14.

김영자 (1992). 도시 지역 주민이 경험한 부부간의 갈등요인, 갈등정도, 정신건강상태와의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5.

김은정 (2008). 여성노인의 생애구술을 중심으로 본 노년기 자아정체성의 형성과 지속성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0(1), 27-67.

16.

김재엽 (1998). 한국노인부부의 부부폭력실태와 사회인구학적 변인과의 관계. 한국노년학, 18(1), 170-183.

17.

김재엽, 김동배, 최선희 (1998). 노인부부의 스트레스와 갈등, 우울증, 그리고 권력. 한국노년학, 18(3), 103-122.

18.

김태현 (1998). 노년학. 서울: 교문사.

19.

김현정, 이정은, 한성민 (2010). 세대 간 지원교환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노인복지연구, 47, 265-288.

20.

김희국 (2010).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음주문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1(2), 95-106.

21.

김희주, 주경희 (2008). ‘한국적 성공적 노화척도’를 활용한 노인의 삶의 만족에 관한연구. 노인복지연구, 41, 125-158.

22.

노치영 (1995). 한국 부부의 부부문제해결과정:자아상태, 문제인지, 문제해결행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문애리 (1996). 재미 한인 단독가구의 노인의사기(Morale)와 사기에 관련된 변인 연구, 한국노년학, 16(1), 96-109

24.

박경란, 이영숙 (2002).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조사연구. 한국노년학, 22(3), 53-66.

25.

박광배 (2004). 다변량 분석. 서울: 학지사.

26.

백지은․최혜경 (2005). 한국노인들이 기대하는 성공적인 노화의 개념, 유형 및 예측요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1-16.

27.

서수균, 이윤희, 안정신, 정영숙 (2013). 한국노인이 지각한 부부 및 성인자녀 갈등에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389-409.

28.

서은국, 이동귀, 정태연, 최인철 (2010). 한국인의 행복 및 정신건강 지수: 한국인의 행복지수와 의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13-232.

29.

성혜영, 유정헌 (2002). 성공적 노화 개념의 인식에 관한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한국노년학, 22(2), 75-93.

30.

신학진, 전상남 (2009). 한국노인의 성공적 노화요인과 주관적 건강의 영향. 노인복지연구, 46, 29-51.

31.

심창교 (2009). 노년기 부부성숙 프로그램 개발-개입연구 방법의 적용. 한국임상사회사업연구, 6(1), 69-95.

32.

유지영 (1996). 중년기 부인의 사회적 지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3.

윤현숙, 유희정 (2006). 가족관계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8, 5-31.

34.

이경성 (2001). 이혼의도, 시도 및 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6(2), 97-119.

35.

이경희 (1998).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따른 부부관계유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6.

이수연 (2000). 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 및 가족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석사학위 논문.

37.

이유숙 (1998). 한국의 전통적 가족주의와 부부간의 사랑.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38.

임선영, 김태현 (2002). 노년기 부부스트레스와결혼안정성. 한국노년학, 21(3), 111-128.

39.

임정빈 (1988). 가치성향. 의사결정 양식 및 가정생활 만족.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0.

장병옥 (1997). 취업주부의 부부 역할 수행. 가정생활 기여도 및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1.

전계영 (1997). 빈곤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영향요인 연구: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목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2.

전길양, 임선영 (1998). 노년기 부부갈등과 우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6), 1-12.

43.

정여진, 안정신 (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23(4), 143-161.

44.

정연표, 이홍직 (2011). 노년기 부부의 결혼불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GRI 연구논총. 13(2), 151-180.

45.

차성희 (2005). 노년기 부부갈등이 이혼행동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자원 활용과 문제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6.

천혜정, 최혜경, 강 인 (2006). 결혼 지속 연수에 따른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 방법의차이와 결혼 불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1), 179-202.

47.

최동숙 (1992). 가정자원관리체계 구성요소간의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8.

최혜경, 백지은, 서선영 (2005). 노인들의 인식을 통한 한국적인 성공적 노화의 개념.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2), 1-10.

49.

통계청 (2010). 고령자 통계. 서울: 통계청.

50.

Atchley R. C. (1994). Social Forces & Aging: An introduction to social gerontology. Belmont, CA:Wadsworth Publishers.

51.

Baltes, P. B. & Baltes, M. M. (1990).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successful aging: the model of selective optimization with compensation. In P. B. Baltes & M. M. Baltes (Eds.), Successful Aging:Perspectives from the Behavioral Sciences(pp. 1-34). NewYork: Cambridge Univ. Press.

52.

Chou, K. L., & Chi, I. (2002). Successful aging among the young-old, old-old, and oldest-old chines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54(1), 1-15.

53.

Coleman, J. C. (1984). Intimate Relationships, Marriage and Family, p. 21-29, The Bobbs-Merrill.

54.

Crosnoe, R., & Elder, G. H. (2002). Successful Adaptation in the Later Years: A Life course Approach to Aging, Social psychology Quarterly, 65(4), 309-328.

55.

Epstein, N. B.. & Bishop, D. S. (1991), Problem-centered systems therapy of the family. In A. S. Gurman & D. P. Kniskern(Eds.), Hand of Family Therapy. Vol. 1. (pp. 444-482), (New York: Brunner/Mazel, Publishers).

56.

Fisher, B. J. (1995).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 Human Development, 41(3), 239-251.

57.

Hayes, M. P., & Stinnett, N. (1971). Life satisfaction of middle husbands and wives. Journal of Home Economics, 63(9), 669-674.

58.

Jacobson, N. & Margolin, G. (1979). 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 exchanging principles. New York: Brunner/Mazel.

59.

Lawton, M. P. (1975).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el Scale: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30, 85-89.

60.

Marks, S. R. (1989). Toward a systems theory of marital quality.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1), 15-26.

61.

Nunnally, J. C. (1975). Psychometric theory(2nd ed.). New York: McGraw-Hill.

62.

Ryff, C. D. (1989). Beyond Ponce de Leon and life satisfaction: New directions in quest of successful ageing,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12(1), 35-55.

63.

Vaillant, G. E., & Mukamal, K. (2001). Successful aging.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8(6), 839-84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