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의 목적은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와의 갈등을 평가하는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노인이 자녀와의 관계에서 겪는 갈등을 탐색적으로 연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위해 60세 이상 노인 443명에게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를 실시하였으며, 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 부모-자녀관계만족도,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척도, 노인사기척도, 행복지수척도를 함께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는 총 18문항으로 4개요인(관심/접촉부족(6문항), 자녀의 자기관리부족(3문항), 무시(6문항), 손자녀문제(3문항))을 포함하였다. 둘째,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의 요인별 내적 합치도는 .62〜.87로 적절하였다. 셋째, 부모-자녀관계만족도,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도척도, PGMCS, 행복지수척도와의 상관을 분석한 결과 노무보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의 타당성을 일관되게 지지하였다. 이어, 노부모가 지각한 자녀갈등척도의 하위요인들이 부모-자녀관계만족도, PGCMS,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모-자녀관계만족도에는 남성노인의 경우 관심/접촉부족이, 여성 노인의 경우는 무시와 자기관리부족이 확인되었다. PGCMS에는 남성의 경우 관심/접촉부족이, 여성의 경우는 무시와 관심/접촉부족이 확인되었으며, 행복지수에는 남녀 모두 관심/접촉부족이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the Scale of Elderly Parents-Perceive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For this, the current study was based on the preceding exploratory research which had investigated the conflict between elderly parents and children. A total of 443 Korean elderly who were over 60 years of age participa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support for a 4-factor structure (Lack of interest/contact, Lack of self-care of children, Disregard, Issues for grandchildren) and the Scale of Elderly Parents-Perceived Conflict with their Childre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ther scales which measure solidarity, morale, and happiness. Lastly, the regression analysis examined the effect of the sub scales on the satisfaction for a parent-child relationship, morale, and happiness and showed the Lack of interest/contact for elderly men and women significantly predicted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happiness.
국가통계포털 (2013). 1990, 2010 인구총조사결과.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parentId=A에서 2013, 8, 1 인출.
김경숙 (1993). 취업주부의 가정관리능력과 행동유형에 관한 체계론적 접근.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김귀애, 홍창희 (2012). 중노년기 여성의 우울에 성인 자녀와의 갈등과 통제 전략이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7(3), 303-321.
김재환, 오상우, 홍창희, 김지혜, 황순택, 문혜신, 정승아, 이장한, 정은경 (2008). 임상심리검사의 이해. 서울: 학지사.
김지영 (2005). 세대간 갈등과 노인학대.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05(18-2), 1- 187.
김태현, 김동배, 김미혜, 이영진, 김애순 (1999). 노년기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2). 한국노년학, 19(1), 61-81.
김효정 (1995). 청소년기 부모-자녀관계 및 노부모-성인자녀간 결속에 따른 노인의 생활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윈 논문.
백완기 (1986). 행정학. 서울: 박영사.
백지은, 최혜경 (2007). 한국사회와 서구사회의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에 대한 비교 문화적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2). 137 -153.
서은국, 이동귀, 정태연, 최인철 (2010). 한국인의 행복지수와 그 의미.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13-232.
서수균, 이윤희, 안정신, 정영숙 (2013). 한국 노인이 지각한 부부 및 성인자녀 갈등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2), 389-412.
성미애, 옥선화 (1991). 부모세대의 피부양 만족도와 기혼자녀세대의 부모부양부담도. 서울대학교 생활과학연구, 16, 27-39.
성태제 (2004).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송지은 (2006). 성인자녀와의 관계가 부모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미국 종단자료의 분석. 한국노년학, 26(3). 581-599.
신효식, 이신숙, 이윤정 (1994). 노부모의 성인자녀와의 갈등 및 우울에 관한 연구. 가정과학연구, 4, 41-56.
안정신 (2005). 중노년기 미국성인들의 심리적 복지감: 전생애 발달 과정의 부모자녀관계와 생산감 발달의 영향. 한국노인사회, 23(2), 245-266.
안정신, 정영숙, 정여진, 서수균, Cooney, M. T. (2011). 성공적 노화연구의 비판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4(3), 35-54.
엄한주 (2001). 요인분석 모형의 이해와 적용: 주성분모형과 공통요인모형의 방법론적 비교.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3(1), 101- 130.
유 경, 이주일, 강연욱, 박군석 (2009). 노년기 정서 경험의 변화와 주관적 안녕감: 종단 연구 분석. 한국노년학, 29(2), 729-742.
유지영 (1996). 중년기 부인의 사회적 지원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유희정 (2011). 노년기 세대관계 유형에 관한 종단연구(1): 변화양상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31, 87-111.
이수연 (2000). 부부의 가족주의 가치관 및 가족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순묵 (1995). 요인분석 I. 서울: 학지사.
이신영 (2010). 성공적 노화 인식에 관한 성별 비교 연구. 젠더와 문화, 3(1), 99-130.
이윤정 (1994). 노부모의 성인자녀와의 갈등과 우울에 관한 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이주연, 정혜정 (2012). 초기 노년기 부부의 부부관계와 성인자녀에 따른 집단유형과 심리적 부적응의 차이. 한국노년학, 32(4), 975-991.
이주일, 박군석, 유 경, 김영범, 장숙랑, 윤현숙, 유희정, 김동현 (2008). 성공적인 한국 노인의 삶: 다학제간 심층 인터뷰 사례. 서울: 박학사.
이학식, 임지훈 (2011). SPSS 18.0 매뉴얼. 서울: 집현재.
이효재 (1986). 가족과 사회. 서울: 경문사.
임정빈 (1988). 가치성향 의사결정양식 및 가정생활만족: 서울시 주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장병옥 (1997). 취업주부의 부부역할수행, 가정생활 기여도 및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전진숙, 변인우, 송혜란, 오병훈 (2004). 한국 노인의 사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노인정신의학, 8(1), 56-62.
정여진, 안정신 (2010).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가족관계 변인이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 30(2), 535-550.
정영숙, 조설애, 안정신, 정여진 (2012). 한국 노인의 삶의 의미 원천으로서 가족관계와 자기초월가치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5(1), 19-41.
조병은 (1990). 노부모와 성인자녀간의 결속도와 노부모의 인생만족도. 한국노년학, 10(1), 105-124.
조희선 (1991) 모자가족과 부부가족의 가족 스트레스에 관한 비교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최동숙 (1992). 가정자원관리체계 구성요소간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0(2), 163- 178.
최정혜 (1992). 노부모가 지각하는 성인자녀와의 결속도 및 갈등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최정혜 (2009). 한국과 미국 성인자녀의 노부모와의 관계의 질과 부양행동 비교연구. 한국노년학, 29(2), 611-627.
최형주, 김정석 (2012). 자녀관계와 자아통합감. 한국인구학, 36(2), 89-103.
Arling, G. (1976). The elderly widow and her neighbors and friend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8(4), 757-768.
Bengtson, V. L. (1981). Research across the generation gap. Relationships: The Marriage and Family Reader, 82-99.
Bengtson, V. L., & Schrader, S. S. (1982). Parent-child relations. Research Instruments in Social Gerontology, 2, 115-186
Cicirelli, V. (1983). Adult children's attachment and helping behavior to elderly parents: a path model.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4), 815-825.
Galvin, K. M., Brommel, B. J., & Bylund, C. (1982). Family communication: Cohesion and change. Glenview, IL: Scott, Foresman.
Hair, J. F., Black, W. C., Babin, B. J., & Anderson, R. E.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A global perspective. New Jersey: Pearson Education.
Hayes, M. P., & Stinnett, N. (1971). Life satisfaction of middle-aged husbands and wives. Journal of Home Economics, 63(9), 669- 174.
Jacobson, N. S., & Christensen, A. (1996). Acceptance and change in couple therapy: A therapist’s guide to transforming relationships. New York.: Norton.
Lawton, M. P. (1975). The Philadelphia Geriatric Center Morel Scale: A revision. Journal of Gerontology, 30, 85-89.
McCulloch, B. J. (1990). The relationship of intergeneration reciprocity of aid to the morale of older parents: Equity and exchange theory comparison. Journal of Gerontology: Social Sciences, 45(4), 150-155.
Miguel, J., & Postigo, L. (2010). The co-residence of elderly people with their children and grandchildren. Education Gerontology, 36, 330- 349.
Suitor, J. J., & Pillermer, K. (1988). Explaining intergenerational conflict when adult children and elderly parents live together. Journal of Marriage & the Family, 88(50), 1037-1047.
Quinn, W. H. (1983). Personal and family adjustment in later lif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2), 5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