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Understanding of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ment Tool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4, v.33 no.4, pp.833-85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measuring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f adolescents on the basis of qualitative investigation into adolescents’ real life. In-depth interviews with 14 adolescents were performed including middle and high school, male and female, and psychosocially adaptive and maladaptive students. 118 concep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were formulated and then 70 preliminary items were extracte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s. Th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cale for adolescents with 25 items and 8 factors was construc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the data of 256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8 factors were named ‘social withdrawal’, ‘hopeful thinking’, ‘seeking communication and support’, ‘interpersonal aggressive behavior’, ‘rumination and worry’, ‘diversion’, ‘isolated aggression’, and ‘positive thinking and behavior’. The reliability of this scale was favorable (Chronbach α=.745). Regarding cross-validity test,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ata of 27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ing favorable fitness indexes of RMSEA .049 and CFI. 90.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at it enlightens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pecific for adolescents; ‘social withdrawal’, ‘hopeful thinking’, and ‘interpersonal aggressive behavior’ which have been overlooked in emotion regulation scales for adults.

keywords
청소년, 정서, 정서조절, 정서조절방략, 척도,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Measurement

Reference

1.

곽금주, 문은영 (1993). 청소년의 심리적 특징및 우울과 비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발달, 6(2), 29-43.

2.

김민아, 권경인 (2008). 적응유연한 청소년의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관한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6(1), 15-32.

3.

문영주, 좌현숙 (2008).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있어 정서적 조절 능력의조절효과. 사회복지연구, 38, 353-379.

4.

민소영 (2013). 기숙사 거주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 및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관계. 정신간호학회지, 22(4), 265-272.

5.

박경애, 김혜원, 주영아 (2010). 청소년 심리 및상담. 고양: 공동체.

6.

박현숙 (2008). 놀이치료자의 5요인 성격특성이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성상희, 홍창희, 김귀애 (2014). 자기조절능력향상 프로그램이 남자 비행청소년의 자기통제력, 충동성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2), 157-175.

8.

신주연, 이윤아, 이기학 (2005). 삶의 의미와정서조절 양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에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4), 1035-1057.

9.

신현숙 (2013). 남녀 청소년의 공격성 군집에따른 우울, 자극추구성향, 정서조절의 차이. 청소년학연구, 20(2), 191-215.

10.

신현숙, 구본용 (2001).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적응과의 관계. 청소년 상담연구, 9, 189-225.

11.

심응철 (1999). 청소년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폭력행동의 상관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2(2), 24-34.

12.

양명희, 김은진 (2010). 정서조절이 학습전략에미치는 영향: 정서를 매개로 하는 관계검증. 교육심리연구, 24(2), 449-467.

13.

이수진, 안경식 (2010). 청소년의 자의식과 정서조절양식이 또래간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7(5), 151-170.

14.

오경자, 김영아 (2010).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 매뉴얼. 휴노

15.

유태용, 이기범, Ashton, M. C. (2004). 한국판HEXACO 성격검사의 구성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8(3), 61-75

16.

윤석빈 (1999). 경험하는 정서의 종류와 선행사건에 따른 정서조절 양식의 차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원화, 이지영 (2011).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수준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연구. 인간이해, 32(2), 195-212.

18.

이지영 (2010).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곤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2(3), 821-841.

19.

이지영, 권석만 (2009). 정서장애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1), 245-261.

20.

이지영, 권석만 (2007). 정서조절방략 질문지의개발: 대학생집단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963-976.

21.

이훈진, 원호택 (1995). 자기개념과 편집증적경향. 심리과학, 4(2), 15-29.

22.

임전옥, 장성숙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59-275.

23.

임진현, 이훈진 (2006). 우울․품행장애성향 청소년의 정서인식 및 정서조절.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5(4), 1141-1151.

24.

장소현, 김순옥 (2011).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부모양육행동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생활과학, 14, 89-115.

25.

장휘숙 (2009). 청년심리학(제14판). 서울: 박영사.

26.

조수현, 이경님 (2010).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정서조절방략이 정서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5), 61-72.

27.

탁진국 (2007).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제2판). 서울: 학지사.

28.

한선화, 현온강 (2006). 청소년의 정서성과 정서조절전략 및 자기통제력. 아동학회지, 27(6), 1-11

29.

함경애, 천성문 (2014). 청소년의 자살행동 개입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573-596.

30.

홍경화, 홍혜영 (2011).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청소년의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8(5), 291-319.

31.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9, 161-178.

32.

Carver, C & Scheier, M.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2), 267-283.

33.

Garnefski, N., Kraaij, V., & Etten, M. (2005). Specificity of relations between adolescents’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sychopathology. Journal of Adolescence, 28, 619-631.

34.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35.

Gross, J. J. (1999). Antecedent-and responsefocused emotion regulations: Divergent consequences for experiences, expression, and physi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4, 224-237.

36.

Gross, J. J. & John, O. P. (2003). Individual difference in two emotion regulation processes:Implications for affect, relationships, and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2), 348-362.

37.

McLaughlin, K. A., Hatzenbuehler, M. L., Mennin, D. S., & Nolen-Hoeksema, S. (2011). Emotion dysregulation and adolescent psychopathology:A prospective study. Behavioral Research and Therapy, 49, 544-554.

38.

Myers, D. G. (2010). 마이어스의 심리학 개론[Psychology]. (신현정, 김비아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원전은 2007에 출판)

39.

Phillips, K. F. V. & Power, M. J. (2007). A new self-report measure of emotion regulation in adolescents: the regulation of emotions questionnaire.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4, 145-156.

40.

Rice, F. P. & Dolgin, K. G. (2009). 청소년 심리학[The Adolescent: Development, Relationships, and Culture, 12th edition]. (정영섭, 신민섭, 이승연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2008에 출판)

4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42.

Silk, J. S., Steinberg, L., & Morris, A. S. (2003).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in Daily Life:Links to Depressive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Child Development, 74(6), 1869-1880.

43.

Walsh, D. A. (2011). 10대들의 사생활. (곽윤정 역). 서울: 시공사. (원전은 2005에 출판)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