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Meta-Analytic Review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Health of Korean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7, v.36 no.3, pp.325-368
https://doi.org/10.22257/kjp.2017.09.36.3.325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We employed meta-analysis to identify associations between self-compassion and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using Korean literature. Various psychological variables were categorized by mutual consent of researchers who referred to the relative previous researches and hand books of psychology. We gathered 114 dissertations and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until now, including a total of 423 effect sizes, and calculated mean effect sizes using CMA2. We found large effect sizes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compassion and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of r = .45, and between self-compassion and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of r = -.44. In addition, sub forms of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and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s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lf-compa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we determined that self-compassion is an important explanatory and meaningful variable in understanding psychology of Korean. This study could help explore and develop the evidence for self-compassion in psychology.

keywords
자기자비, 한국인의 심리, 긍정적 심리, 부정적 심리, 메타분석, self-compassion, psychological health,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s, negative psychological variables, meta-analysis

Reference

1.

강선모 (2014). 부모화가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인문학논총, 36, 431-458.

2.

고성원 (2015). 지각된 정서적 유능성이 종업원의 정신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및 자기침묵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상담족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옥주, 장진이, 이지연 (2015). 대학생의 자기자비 수준별 대인간 외상 경험과 친밀감에 대한 두려움 간의 관계: 자기체계 손상의 매개효과. 사회과학연구, 26(3), 81-101.

4.

고은정 (2014). 자기자비와 자존감이 부정적 생활사건 경험시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고혜민 (2015).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와 폭식행동의 관계에서 부모지지,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곽아람, 허만세, 이신영 (2015). 노인의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노년학, 35, 315-335.

7.

구도연, 정민철 (2016).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요인 타당성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9), 160-169.

8.

권민혁 (2014). 부정적 생활사건과 우울증상의관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가희 (201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3(4), 1023-1044.

11.

김경희, 이희경 (2015). 대인관계 유능성에 대한 긍정정서의 영향: 경험 회피와 자기자비, 인지적 공감의 경로 탐색. 상담학 연구, 16(6), 83-107.

12.

김근곤, 임신일, 박일선 (2015). 국내 자존감향상 프로그램 메타분석. 교육종합연구, 13(1), 21-42.

13.

김미선, 홍혜영 (2015). 외상 정서와 용서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상담학연구, 16(2), 77-96.

14.

김미점, 조한익 (2015). 희망과 적응관련 변인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교육심리연구, 29(2), 331-360.

15.

김성주 (2014). 내현적자기애, 자기자비 및 공격성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소연 (2014).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김송이 (2012).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김시내 (2014).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김신실, 유금란 (2014). 청소년의 애착유형이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22(1), 27-45.

20.

김신향, 김형수 (2014). 노인의 자아존중감과우울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사회과학연구, 40(3), 77-97.

21.

김연수, 조성호 (2014). 자기자비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공상의 자각과 탈중심화의 매개효과 검증. 발달지원연구, 3(2), 93-108.

22.

김예리 (2016). 저소득 가정 아동의 부모-자녀관계와 또래상호작용이 아동의 심리사회적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김완석, 박도현, 신강현 (2015). 자기연민과 타인연민, 마음챙김, 그리고 삶의 질: 대안적 인과모형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0(3), 605-621.

24.

김완석, 이성준, 유연재 (2013). 자기연민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수용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1), 219-238.

25.

김인숙 (2015).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스트레스대처전략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김종운, 양민정 (2015). 여고생의 스트레스와폭식행동 간의 관계에서 우울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7), 545-565.

27.

김준표, 남석인 (2015). 노인의 고독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노년학, 35(3), 671-687.

28.

김한주 (2010).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공격적 반응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자기애적 성격과자기자비의 중재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9.

남유나 (2014). 한국판 Thompson의 자기비난수준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노상선, 조용래, 최미경 (2014). 대학생의 자기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반추와 우울증상의 매개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3(4), 735-754.

31.

노지애, 조현주 (2015). 상담자의 자기자비, 마음챙김, 긍정적 사고가 작업동맹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2(4), 49-72.

32.

류석진 (2013). 부부갈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와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33.

문은주, 최해연 (2015). 정서처리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한국심리학회: 건강, 20(1), 1-16.

34.

문진영 (2014). 청소년의 메타인지와 자기자비가 도덕지능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문현정 (2015). 우울과 지연행동의 관계에서 회피분산적 정서조절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박나혜 (2016). 자기초점적주의와 폭식행동의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박문정 (2015). 청소년이 지각한 부부갈등이 우울과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박민정 (2013). 초등학생용 자기자비 검사의 타당화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박선영, 김경미 (2013). 병사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괴롭힘 피해경험과 우울의 관계:자기 자비의 조절효과. 상담학 연구, 14(6), 3691-3707.

40.

박세나 (2015). 고등학생의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박세란 (2015).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on Self Compassion and Psychological Health.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5(1), 321-321.

42.

박세란 (2015). 자기자비가 자기조절과정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 증진 프로그램의 개발및 효과 검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3.

박세란 (2016). 자기자비가 타인의 안녕에 대한 관심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6(2), 187-212.

44.

박세란, 이훈진 (2013).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1), 123-139.

45.

박세란, 이훈진 (2015). 부정사건에 대한 자기조절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자존감과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4(4), 877-907.

46.

박신유 (2014). 자기자비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7.

박은주 (2015). 음악치료 전공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가 임상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48.

박정하 (2016). 자기자비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9.

박지선 (2014). 자기자비, 대학생활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전략 간 관계. 스트레스연구, 22(3), 131-138.

50.

박찬미 (2014). 자기자비와 연인관계만족 사이에서 문제해결행동의 매개효과: 자기효과와상대방효과 분석(APIM).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1.

박채연 (2013).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우울및 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慈悲)의 조절 및 매개 효과. 서울사이버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2.

박혜린 (2015). 여자 대학생의 자기자비, 우울및 불안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 아동가족치료연구, 13, 35-53.

53.

박희정 (2015). 정서적 학대 경험과 우울증상의관계: 낮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4.

방초아, 신희천 (2016). 미혼커플의 자기자비가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상호의존성 모델을 적용한 적응적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분석. 심리유형과 인간발달, 17(1), 59-80.

55.

백서연 (2016).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56.

백소영 (2016). 자기자비가 사회불안에 미치는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7.

선주연, 신희천 (2013). 자의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5), 3183-3200.

58.

설경옥, 박지은, 박선영 (2012). 종교성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메타분석: 국내 학회지 게재논문(1995-2011)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617-642.

59.

손슬기 (2014).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와 삶의만족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 자기 자비의매개효과 검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0.

심우엽 (2014). 초등학생의 사회불안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초등교육연구, 27(1), 83-102.

61.

심우엽 (2014). 초등학생의 스트레스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한국초등교육, 25(2), 1-16.

62.

심우엽 (2015).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행복감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3.

심은수, 이봉건 (2016). 자기초점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스트레스연구, 24(2), 65-74.

64.

심현례 (2015).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반추의 매개된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5.

안세은 (2014). 내면화된 수치심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를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6.

안혜영 (2015). 초등학생의 자기애적 성향과 공격성 및 공감과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7.

양상식, 이상규, 정숙자 (2012). 지역사회 주민의 음주수준별 지각된 스트레스, 음주기대 및 자기-자비 특성 비교. 한국알코올과학회지, 13(2), 13-25.

68.

양선미, 박경 (2015). 대학생의 우울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8), 105-130.

69.

양영미 (2016).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0.

예수빈 (2015). 지각된 정서적 학대와 사회불안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1.

오영미 (2014). 초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와 학교 적응의 관계에서 자기 자비의 매개효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2.

오현미 (2010). 부모의 양육방식과 청소년의 행복감과의 관계: 자기자비의 역할.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

유성경, 박은선, 김수정, 조효진 (2014). 삶의의미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1997년-2013년 국내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2), 441-465.

74.

유연화 (2012). 자기자비와 생활 스트레스가 청소년의 우울증상과 정신적 웰빙에 미치는영향: 정서조절전략의 매개역할 검증.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5.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2010).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0(2), 43-59.

76.

유임경 (201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통제와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7.

유지혜 (2014). 수치심과 이상섭식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전략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8.

유하늘 (2014). 대학생의 자기자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그리고 특성불안 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9.

윤혜경 (2016). 부모애착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0.

이병관, 문영숙 (2015). 기부 동기와 기부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 기부와자기자비의 관계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광고연구, 107, 126-158.

81.

이병관, 박기석, 김수민 (2014). 자기자비 성향과 소비자 마음챙김, 소비중독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397-397.

82.

이병관, 박기석, 양덕모 (2014). 소비자 자기자비 성향이 소비조절과 과시소비에 미치는효과연구.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398-398.

83.

이상현, 성승연 (2011).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에있어서의 자기-자비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 93- 112.

84.

이선영 (2013). 자기-자비와 불안 및 강박과의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서의 사고 억제:일반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2(4), 835-851.

85.

이성준 (2014). 자비명상의 효과: 이타성과 안녕감.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6.

이소라 (2010). 자기-자비와 심리적 수용, 마음챙김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 건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7.

이수정 (2014). 소방공무원의 외상사건 경험과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소명의식의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8.

이신혜, 조용래 (2014). 자기 자비의 부족이여자 청소년의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과그 기제: 신체 불만족, 섭식절제 및 부적정서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1), 103-121.

89.

이연정, 김현숙 (2016). 부정적 평가에 대한두려움과 발표불안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213-229.

90.

이우경 (2008).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慈愛,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1.

이우경, 방희정 (2008). 성인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慈愛), 심리적 안녕감 및 심리 증상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4), 127-146.

92.

이유미 (2013). 특성불안과 내면화된 수치심의관계에서 자기자비심의 조절효과: 외상경험의 유무에 따라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93.

이은지, 서영석 (2014). 불안전 성인애착(애착불안, 애착회피)과 대인관계문제 및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자기자비와 낙관적 성향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2), 413-439.

94.

이인아 (2013). 초등학교 6학년의 부모애착과 사회성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공감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5.

이정란 (2013). 자기자비, 자아탄력성 그리고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6.

이정령 (2013). 성인애착과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 자기자비의 매개 효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7.

이정은 (2016). 상담자의 정서전염에 대한 민감성이 공감피로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8.

이지은 (2016). 청소년기 집단 따돌림 피해경험이 대학생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9.

임윤선 (2012). 성인애착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존재감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0.

장 문 (2010). 자기-자비, 주관적 안녕감 및정신건강 간의 관계: 중국 대학생과 한국대학생의 비교.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1.

장우승 (2015). 자기자비가 학업지연에 미치는영향: 실패공포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2.

전민 (2012).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3.

정영숙, 김수빈 (2014). 대학신입생의 자기존중감, 자기자비와 대처전략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7(4), 117-138.

104.

정은영, 이선영 (2008). 마음챙김, 자기-자비, 자기-존중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08(1), 550-551.

105.

정재훈 (2013). 우울, 회피 대처, 생존 및 대처신념과 자기 자비가 자살생각과 자살의도에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6.

정희진 (2016).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와학업적 지연행동간의 관계: 자기자비를 매개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7.

조용래 (2011).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및탈중심화가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매개중재모형.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3), 767-787.

108.

조인숙, 안희영 (2016). 마음챙김, 자기 자비, 정서지능과의 관계 연구. 한국불교학, 77, 641-671.

109.

조한익, 서은경 (2016). 중학생의 자기애가 사이버 폭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13(1), 21-41.

110.

조현주 (2011). 한국판 자기비판/자기공격과자기위안 형태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인지행동치료, 11(2), 137-154.

111.

조현주, 현명호 (2011). 자기비판과 우울관계에서 지각된 스트레스와 자기자비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49-62.

112.

조현진 (2014).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연민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3.

진현정, 이기학 (2009). Self-Compassion Scale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청소년상담연구, 17(2), 1-20.

114.

차지연 (2015). 불안정 성인애착과 사회불안의관계: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5.

최보라 (2014). 자기자비와 시험불안의 관계: 수행회피 학업동기와 수행접근 학업동기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6.

최서연, 최윤정 (2016). 중ㆍ고등학교 청소년의 신체에 대한 수치심과 섭식태도의 관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아시아교육연구, 17(2), 79-102.

117.

최영민 (2011). Self-compassion enhancement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high on social comparison tendency.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8.

통계청 (2015). 2015 한국의 사회동향. http://kostat.go.kr에서 2017. 08. 25. 자료얻음.

119.

하진의 (2013). 성인 애착 불안이 외상 후 스트레스와 성장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와 반추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6), 3433-3452.

120.

허윤희 (2016). 부모애착과 자기자비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매개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1.

황성동 (2014).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122.

황수덕 (2015). 역기능적 완벽주의와 실패 상황에서의 자기가치감 보호성향과의 관계에서자기자비와 자존감의 역할.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3.

황윤정 (2015). 성인애착과 대인관계능력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4.

Aberson, C. L., Healy, M., & Romero, V. (2000). Ingroup bias and self-esteem: A metaanalysi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4(2), 157-173.

125.

Alicke, M. D., & Govorun, O. (2005). The better-than-average effect. In M. D. Alicke, D. A. Dunning, & J. I. Krueger (Eds.), The self in social judgment (pp. 85-106). New York, NY: Psychological Press.

126.

Allen, A. B., & Leary, M. R. (2010). Self-Compassion, stress, and cop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4(2), 107-118.

127.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5). DSM-5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DSM-5]. (권준수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에 출판).

128.

Baumeister, R. F., Campbell, J. D., Krueger, J. I., & Vohs, K. D. (2003). Does high self-esteem cause better performance, interpersonal success, happiness, or healthier lifestyles? Psychological Science in the Public Interest, 4(1), 1-44.

129.

Baumeister, R. F., Smart, L., & Boden, J. M. (1996). Relation of threatened egotism to violence and aggression: The dark side of high self-esteem. Psychological Review, 103(1), 5-33.

130.

Baumeister, R. F., Heatherton, T. F., & Tice, D. M. (1993). When ego threats lead to self-regulation failure: Negative consequences of high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4(1), 141–156.

131.

Borenstein, M., Hedges, L. V., Higggins, J. P., & Rothstein, H.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Wiley.

132.

Borenstein, M., Hedges, L. V., Higggins, J. P., & Rothstein, H. (2010). A basic introduction for fixed-effect and random-effects models for meta-analysis. Research Synthesis Method, 1, 97-111.

133.

Branden, N. (1969). The psychology of self-esteem: A new concept of man’s psychological nature. Los Angeles, CA: Nash Pub. Corp.

134.

Brown, R. P., & Zeigler-Hill, V. (2004). Narcissism and the nonequivalence of self-esteem measures:A matter of dominance?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38(6), 585–592.

135.

Chen, S. J., Chiu, C. H., & Huang, C. (2013).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a Taiwanese population: A meta-analysis.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41(4), 577-586.

136.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2nd ed.). Hillsdale, NJ:Erlbaum.

137.

Cooper, H. (2010). Research synthesis and meta-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138.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CA: W. H. Freeman &Company.

139.

Crocker, J., & Park, L. E. (2004). The costly pursuit of self-esteem. Psychological Bulletin, 130(3), 392-414.

140.

Crocker, J., Luhtanen, R. K., Cooper, M. L., & Bouvrette, A. (2003). Contingencies of selfworth in college students: Theory and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5), 894-908.

141.

Crocker, J., Thompson, L., McGraw, K., & Ingerman, C. (1987). Downward comparison, prejudice, and evaluations of others: Effects of self-esteem and threa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5), 907–916.

142.

Davis, M. H. (1983). Measur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empathy: Evidence for a multidimensional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1), 113–126.

143.

Deci, E. L., & Ryan, R. M. (1995). Human autonomy: The basis for true self-esteem. In M. H. Kernis (Ed.), Efficacy, agency, and self-esteem (pp. 31-49). New York, NY:Plenum Press.

144.

Duval, S., & Tweedie, K.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 455-463.

145.

Ellis, A., & London, T. (1993). The case against self-esteem: How the self-esteem movement is damaging our children and culture. Chicago, IL:Garfield Press.

146.

Fein, S., & Spencer, S. J. (1997). Prejudice as self-image maintenance: Affirming the self through derogating oth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1), 31-44.

147.

Ferguson, L. J., Kowalski, K. C., Mack, D. E., & Sabiston, C. M. (2014). Exploring selfcompassion and eudaimonic well-being in young women athlete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36(2), 203-216.

148.

Ferguson, L. J., Kowalski, K. C., Mack, D. E., & Sabiston, C. M. (2015). Self-compassion and eudaimonic well-being during emotionally difficult times in sport.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6(5), 1263-1280.

149.

Hackney, C. H., & Sanders, G. S. (2003).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A meta–analysis of recent studies. Journal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42(1), 43-55.

150.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NY:Guilford Press.

151.

Hayes, S. C., Strosahl, K. D., & Wilson, K. G. (1999). Acceptance and commitment therapy: An experiential approach to behavior change. New York, NY: Guilford Press.

152.

Hewitt, J. P. (1998). The myth of self-esteem: Finding happiness and solving problems in America. New York, NY: St. Martin's Press.

153.

Homan, K. J. (2016). Secure attachment and eudaimonic well-being in late adulthood: The mediating role of self-compassion. Aging &Mental Health, 1-8.

154.

James, W. (1890). The principles of psychology. New York, NY: Henry Holt.

155.

Jordan, C. H., Spencer, S. J., Zanna, M. P., Hoshino-Browne, E., & Correll, J. (2003). Secure and defensive high 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5(5), 969-978.

156.

Jost, J. T., Glaser, J., Kruglanski, A. W., & Sulloway, F. J. (2003). Political conservatism as motivated social cognition. Psychological Bulletin, 129(3), 339-375.

157.

Kernis, M. H. (2003a). Optimal self-esteem and authenticity: Separating fantasy from reality. Psychological Inquiry, 14(1), 83–89.

158.

Kernis, M. H. (2003b). Toward a conceptualization of optimal self-esteem. Psychological Inquiry, 14(1), 1-26.

159.

Kernis, M. H. (2005). Measuring self-esteem in context: The importance of stability of selfesteem in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Personality, 73(6), 1569-1605.

160.

Kernis, M. H. (2013). Self-esteem issues and answers:A sourcebook of current perspectives.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161.

Leary, M. R., Schreindorfer, L. S., & Haupt, A. L. (1995). The role of low self-esteem in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Why is low self-esteem dysfunctional?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4(3), 297-314.

162.

Leary, M. R., Tate, E. B., Adams, C. E., Batts Allen, A., & Hancock, J. (2007).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5), 887-904.

163.

Linley, P. A., Joseph, S., & Seligman, M. E. P. (2004). Positive psychology in practice. Hoboken, NJ: Wiley.

164.

Lipsy, M. W., & Wilson, D. B. (2001). Practical meta-analysis.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165.

Littell, J. H., Corcoran, J., & Pillai, V.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166.

Lopez, S. J., & Snyder, C. R. (2003).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Washington: APA.

167.

Lucas, R. E., Diener, E., & Suh, E. (1996). Discriminant validity of well-being meas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1(3), 616-628.

168.

Lutz, A., Greischar, L. L., Rawlings, N. B., Ricard, M., & Davidson, R. J. (2004). Long-term meditators self-induce high-amplitude gamma synchrony during mental practice.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1(46), 16369-16373.

169.

Lyubomirsky, S., Tkach, C., & DiMatteo, M. R. (2006).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happiness and self-esteem. Social Indicators Research, 78(3), 363-404.

170.

MacBeth, A., & Gumley, A. (2012). Exploring compassion: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mpassion and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32(6), 545-552.

171.

MacInnes, D. L. (2006). Self-esteem and selfacceptance:An examination into their relationship and their effect on psychological health.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3(5), 483-489.

172.

Marshall, S. L., Parker, P. D., Ciarrochi, J., Sahdra, B., Jackson, C. J., & Heaven, P. C. (2015). Self-compassion protects against the negative effects of low self-esteem: A longitudinal study in a large adolescent samp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74, 116-121.

173.

McKay, M., & Fanning, P. (1987). Self-esteem. Oakland, CA: New Harbinger.

174.

McMillan, J. H., Singh, J., & Simonetta, L. G. (1994). The tyranny of self-oriented selfesteem. Educational Horizons, 72(3), 141–145.

175.

Miller, C. T., & Downey, K. T. (1999). A meta-analysis of heavyweight and self-esteem.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3(1), 68-84.

176.

Molino, A. (1998). The couch and the tree: Dialogues in psychoanalysis and Buddhism. New York:North Point Press.

177.

Morf, C. C., & Rhodewalt, F. (2001). Unraveling the paradoxes of narcissism: A dynamic self-regulatory processing model. Psychological Inquiry, 12(4), 177-196.

178.

Mueller, R. M. (2016). Perspective taking, empathic concern, and personal distress: A preliminary meta-analytic study of correlates with self-esteem and self-compassion. Faculty Research. Paper 11.

179.

Muris, P., & Petrocchi, N. (2016). Protection or vulnerability?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 between the positive and negative components of self-compassion and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 Psychotherapy. Published online in Wiley Online Library (wileyonlinelibrary.com). DOI: 10.1002.

180.

Neff, K. (2003).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1.

181.

Neff, K. D. (2011). Self-compassion, self-esteem, and well-be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1), 1-12.

182.

Neff, K. D., & Davidson, O. (2016). Self-compassion. In I. Ivtzan, & T. Lomas (Eds.), Mindfulness in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ce of Meditation and Wellbeing (pp. 37-58). New York, NY: Routledge.

183.

Neff, K. D., & McGehee, P. (2010). Selfcompassion and psychological resilience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elf and Identity, 9(3), 225-240.

184.

Neff, K. D., & Pommier, E. A.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otherfocused concern among college undergraduates, community adults, and practicing meditators. Self and Identity, 12(2), 160-176.

185.

Neff, K. D., & Vonk, R. (2009). Self-compassion versus global self-esteem: Two different ways of relating to oneself. Journal of Personality, 77(1), 23-50.

186.

Neff, K. D., Hseih, Y., & Dejitthirat, K. (2005). Self-compassion, achievement goals, and coping with academic failure. Self and Identity, 4(3), 263-287.

187.

Neff, K. D., Kirkpatrick, K., & Rude, S. S. (2007). Self-compassion and its link to adap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4), 908-916.

188.

Neff, K. D., Rude, S. S., & Kirkpatrick, K. (2007). An examination of self-compassion in relation to posi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personality traits.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1(1), 139-154.

189.

Nisker, W. (1998). Buddha's nature. New York:Bantam.

190.

Pommier, E. A. (2011). The compassion scale.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Section A: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72, 1174.

191.

Pyszczynski, T., Greenberg, J., Solomon, S., Arndt, J., & Schimel, J. (2004). Why do people need self-esteem? A theoretical and empir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30(3), 43-468.

192.

Rockcliff, H., Gilbert, P., McEwan, K., Lightman, S., & Glover, D. (2008). A pilot exploration of heart rate variability and salivary cortisol responses to compassion-focsed imagery. Clinical Neuropsychiatry, 5, 132–139.

19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194.

Rosenberg, M. (1979).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NY: Basic Books.

195.

Rosenthal, K. (1979). The file drawer problem and tolerance for null results. Psychological Bulletin, 86, 638-641.

196.

Rubin, J. B. (1996). Psychoanalysis and Buddhis:Toward an integration. New York: Plenum.

197.

Ryan, R. M., & Brown, K. W. (2006). What is optimal self-esteem? The cultivation and consequences of contingent vs. true self-esteem as viewed from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In M. H. Kernis (Ed.), Self-esteem issues and answers: A sourcebook of current perspectives (pp. 125-131). New York, NY:Psychology Press.

198.

Ryan, R. M., & Martela, F. (2016). Eudaimonia as a way of living: Connecting Aristotle with self-determination theory. In Handbook of Eudaimonic Well-Being (pp. 109-122). Swizerland: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199.

Sedikides, C. (1993). Assessment, enhancement, and verification determinants of the self-evaluation proc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2), 317–338.

200.

Sedikides, C., & Gregg, A. P. (2008). Selfenhancement:Food for thought.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3(2), 102-116.

201.

Shadish, W. R., & Haddock, C. K. (1994). Combining estimates of effect size. In H. Cooper, & L. V. Hedges (Eds.), The handbook of research synthesis (pp. 261-281). New York, NY: Russell Sage Foundation.

202.

Snyder, C. R, & Lopez, S, J. (2007). Positive psychology: The scientific and practical explorations of human strengths. London: Sage.

203.

Snyder, C. R., & Lopez, S. J. (2002).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K: Oxford University Press.

204.

Sowislo, J. F., & Orth, U. (2013). Does low self-esteem predict depression and anxiety? A meta-analysis of longitudinal studies. Psychological Bulletin, 139(1), 213-240.

205.

Steger, M. F. (2016). Hedonia, eudaimonia, and meaning: Me versus Us; Fleeting versus Endurig. In J. Vittersø (Ed.), Handbook of Eudaimonic Well-Being (pp. 175-182). Swizerland: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206.

Steinem, G. (1992). Revolution from within: A book of self-esteem. Boston, MA: little, Brown and Company.

207.

Swann, W. B. (1996). Self-traps: The elusive quest for higher self-esteem. New York, NY: Freeman.

208.

Taris, T. W. (2000). Dispositional need for cognitive closure and self-enhancing belief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0(1), 35-50.

209.

Taylor, S. E., & Brown, J. D. (1988). Illusion and well-being: A social psychological perspective on mental health. Psychological Bulletin, 103(2), 193-210.

210.

Teng, Z., Liu, Y., & Guo, C. (2015).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aggression among Chinese student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21, 45-54.

211.

Tesser, A. (1999). Toward a self-evaluation maintenance model of social behavior. In R. F. Baumeister (Ed.), The Self in Social Psychology (pp. 446-460). New York, NY:Psychological Press.

212.

UN (2016). World Happiness Report 2016. http://worldhappiness.report/에서 2017. 08. 25. 자료 얻음.

213.

Van der Gucht, E., Morriss, R., Lancaster, G., Kinderman, P., & Bentall, R. P. (2009). Psychological processes in bipolar affective disorder: Negative cognitive style and reward processing.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94(2), 146–151.

214.

Wallace, B. A., & Shapiro, S. L. (2006). Mental balance and well-being: Building bridges between Buddhism and Western psychology. American Psychologist, 61(7), 690-701.

215.

Wispe, L.(1991). The psychology of sympathy. New York, NY: Plenum.

216.

Yarnell, L. M., Stafford, R. E., Neff, K. D., Reilly, E. D., Knox, M. C., & Mullarkey, M. (2015). Meta-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selfcompassion. Self and Identity, 14(5), 499-520.

217.

Yonker, J. E., Schnabelrauch, C. A., & DeHaan, L. G.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religiosity on psychological outcomes in adolescents and emerging adults:A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Adolescence, 35(2), 299-314.

218.

Zessin, U., Dickhäuser, O., & Garbade, S.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mpassion and well-being: A meta-analysis. Applied Psychology:Health and Well-Being, 7(3), 340-364.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