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인지과정이 지각과정에 미치는 영향의 한계 : 자극확률효과(刺戟確率效果)를 중심으로

The Limitations in the Influences of Cognitive Processes on Perceptual Processes as Indicated by the Stimulus Probability Effec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3, v.4 no.1, pp.28-42
金正午(Jung-Oh Kim) (서울大學校 心理學科)
吳吉承(Ghil-Sung Oh) (서울大學校 心理學科)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認知過程이 知覺過程에 미치는 영향의 限界를 高確率剌戟이 低確率剌戟들 보다 더 빨리 處理되는 剌戟確率效災와 高確率刺戟에 類似한 한 低確率剌戟이 다른 低確率剌戟들 보다 더 빨리 處理되는 轉移效果를 中心으보 밝히고자 하였다. 高確率剌戟과 低確率剌戟의 類似性을 總瞪的 形態, 細部特徵들의 關係 및 細部特徵內游의 세 水準에서 操作하고 轉移效果가 어느 水準에서까지 일어나는지를 검토하였다. 前記한 두 效果를 豫言하는 셰마(schema), 캐스캐이드(cascade) 및 通路局限 模型들을 검증하였다. 反應時問 (reaction time)을 主從屜測定値로 사용한 본 實驗에서 先行硏究들이 보고한 것보다 더 낮은, 즉 細部特徴 類似水準에서 轉移效果가 있었다. 이 결과는 確率剌戟이 유발시킨 期待, 記憶 등의 認知過程들이 高確率剌戟 및 이것과 視覺的으로 類似한 低確率剌戟의 細部特微을 抽出하는 略號化의 初期段階까지 影饗을 줄 가능성을 시사한다. 條件들간의 平均 RT패턴은 셰마模型이 가장 잘 예언한 것으로 밝혀졌다.

keywords

Abstract

An attempt was made to explore the limitations in the influences of cognitive processes on perceptual processes as indicated by the probability and transfer effects in the stimulus probability paradigm. Three levels of visual similarity between the high probability stimulus and one of the low probability stimuli were manipulated to examine the processing stage at which the probability effects occur: The global configuration, relational features, and specific features. Three models, schema, cascade, and route-specific, were tested in terms of their predications about the transfer as well as the probability effects in various stimulus conditions. There were rather significant transfer effects at the feature similarity level, which was well below those levels reported by previous studies. This result was interpreted as supporting the !lotion that cognitive processes closely tied to stimulus probability affects the feature extraction stage, i.e.. the early part of the encoding stage in the processing of the stimulus. Patterns of mean RTs among stimulus probability conditions moderately supported the schema model.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3-07-02
수정일Revised Date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