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직장에서의 정당한 성평등에 대한 믿음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elief in a Just Gender Equality Scale in the Workplac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21, v.40 no.2, pp.155-185
https://doi.org/10.22257/kjp.2021.6.40.2.155
최재광 (건양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유제근 (건양대학교)
송원영 (건양대학교)

초록

이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개인이 경험하거나 지각하는 정당한 성평등에 대한 믿음에 대해 정의하고 이를 직장 내에서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성평등에 대해 4개의 요인을 상정하고 이를 측정하는 53개의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해 46개의 예비문항을 선정하였다. 1차 검증은 일반성인 112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에 대해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4개의 하위 영역에 부합한 22개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2차 검증에서는 20~40대 직장인 25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통해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타당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이 척도는 성평등에 대한 분배공정성의 개인적 믿음, 성평등에 대한 분배공정성의 일반적 믿음, 성평등에 대한 절차공정성의 개인적 믿음, 성평등에 대한 절차공정성의 일반적 믿음의 4요인에 22문항으로 구성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하위요인별 내적 합치도는 .83∼.92로 높은 신뢰도가 나타났고,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52∼.85의 상관계수를 보이고 있어 시간적 안정성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정당한 성평등에 대한 믿음 척도,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남녀평등의식 검사(직업생활영역)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모든 척도와 유의한 상관이 보고되었다. 측정모형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진행하였고 양호한 적합도가 나타났다. 하위요소와 문항구성, 그리고 검증과정에 대한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향후 연구를 위한 제안 등을 논의하였다.

keywords
정당한 성평등에 대한 믿음, 성평등,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직장, 공정성, Belief in a Just Gender Equality, Gender Equality, Belief in a Just World, Workplace, Fairness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the just gender equality experienced or perceived by an individual in adults and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scale to measure it in the workplace. Based on the belief in a just world, four factors for gender equality were assumed and 53 questions were produced to measure them, and 46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through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by related experts. In the first verification,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data collected for 112 adults, and 22 items that corresponded to the four sub-areas were confirmed. In the second verific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250 employees in their 20s to 40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validity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hrough th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found that the measure was reasonable to consist of 22 questions in four factors: Distributive justice to gender equality for self(DJGE-self), Distributive justice to gender equality for others(DJGE-others), Procedural justice to gender equality for self(PJGE-self), Procedural justice to gender equality for others(PJGE-other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sub-factor was, .83∼.92, showing high reliability,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n=42)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52~.85, indicating that it has temporal stability. To confirm the validity,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Belief in a Just World Scal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vocational factor),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scales were reported. To confirm the measurement model,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good fit was found. Sub-elements and item composition, implications for the verification proces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정당한 성평등에 대한 믿음, 성평등, 정당한 세상에 대한 믿음, 직장, 공정성, Belief in a Just Gender Equality, Gender Equality, Belief in a Just World, Workplace, Fairnes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