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소외는 사회적으로 무시당하거나 배척당하는 것으로, 또래 관계가 중요한 청소년기에 소외 경험은 외로움, 우울, 낮은 학업 성취도 등의 매우 부정적인 경험으로 이어진다. 최근 소외를 감소시키기 위해 목격자의 역할이 중시됨에 따라 소외 상황에서 이들의 행동 양상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소외를 목격한 후 보이는 청소년의 행동이 소외 목격 여부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소외를 목격한 참가자의 도움행동과 사회적 기술 간의 상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51명의 청소 년을 소외 목격 집단과 소외 비목격 집단에 무선 할당한 후 사회적 기술 향상 체계-평정 척도와 친사회적 사이버볼 게임(PCG)를 실시하였다. 친사회적 사이버볼 게임은 타인의 소외를 목격한 후 참가자의 행동을 탐색하기 위해 만들어진 컴퓨터화된 행동 과제이다. 연구 결과, 삼원상호작용이 나타나 집단별 사후 분석 을 진행하였는데, 소외 목격 집단에서 여자에 비해 남자가 소외된 플레이어에게 던진 공 횟수비율이 유의 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과 시간의 이원 상호작용효과가 유의미하여 사후 검정을 실시한 결과, 소외목격집단에서만 목격시행전에비해 목격시행후유의한향상이보고되었다. 마지막으로, 도움행동 정도와 사회적 기술 간의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소외를 목격한 청소년이 대체로 소외된 상대를 도우며, 행동 수준은 성별에 영향을 받음을 의미한다.
The experience of ostracism during adolescence, a period where peer relationships are extremly important, leads to numerous negative conseuqnces such as loneliness, depression, and poor academic performance. Recently, the role of witnesses has been emphasized to reduce alienation, underlining the need to measure witnesses’ behaivor accuretly. The current study explores whether adolescents who witnessed ostracism help the marginalized other, whether the degree ostracism perception and helping behavior differ by gender, and lastly if there is any correlation between ostracism perception, help behavior and social skills. 151 adolesc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ostracism witnessing group or non-witnessing groups and Social Skills improvement System (SSiS-RS) and Prosocial Cyberball Game(PCG) were conducted subsequently. Prosocial Cyberball game is a cumputerized behaivoral task desinged to explore participant’s behavior after witnessing others’ exclusion. Results showed that boys helped the excluded player more frequently than girls in ostracism witnessing group. Also, only in the ostracism witnessing group, ball throw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after witnessing round. Last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helping behavior and social skills. Thes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who witnessed ostracism generally help the excluded others and that the degree of the helping behavior is affected by gen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