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 new technologies change a society, librarians need to understand and adapt to technology innovations. However, most innovations that librarians are supposed to adopt are government-driven or top-down changes; and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conducted to identify any patterns or consistencies in librarians’ perceptions of innovation. This paper, therefore, has two research purposes. First, it introduces the Concern Based Adoption Model (CBAM) as one metho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librarians see such change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school librarians’ concerns regarding digital textbooks in South Korea applying the CBAM theory. The test signifies that school librarians present a typical non-user profile, and the pattern anticipates a potential resistance to digital textbooks. Also, it discovers the less experienced and innovator librarians had higher concerns across every stage. The findings underscore a need of various interventions. The CBAM theory suggests, in terms of intense Stage 0 and 1, it is required for school librarians to have events to gain information about digital textbook implementation. Regarding targeted interventions, since the biggest gaps occurs in Stage 4, Consequence and Stage 5, Collaboration, according to school librarians’ experience and adoption style, new school librarians need stronger engagement with the community, which including associations, mentors or peer support, and collaborating with public libraries; innovator school librarians require opportunities to test and present their use of digital textbooks (Hall and Hord 1987).
본 연구는 성공적인 공공도서관 운영을 위한 공공도서관장의 리더십 역량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를 통한 내용분석법, 우수성과자로 구성된 포커스그룹 인터뷰, 서울특별시 자치단체 소속 공공도서관의 관장 및 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전문가를 통한 타당성 검증 등의 복합적인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19개 요소로 구성된 국내 공공도서관장 리더십 역량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이는 향후 공공도서관장 리더십 역량개발 및 강화를 위한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eadership competency model for Korean public library directors which could help the progress of public libraries. Complex methods like contents analysis of precedent studies, FGI with high performers, survey to librarians and directors of public libraries which were affiliated to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validation by specialists were used for this study. As a result, a leadership competency model for Korean public library directors which consists of the 19 components was developed and this model can be used as the criteria for improvement of the leadership competencies of Korean public library director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청소년에 대한 교육 정보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는 공공도서관 사서의 자아상을 의미 변별법을 활용하여 측정하고 일반적인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자신의 일에 보람을 느끼고 있으며 친절함, 공평함, 상냥함을 지녔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자신의 역할이 영향력이 없고 무시당하고 있으며, 초라하고 답답하다는 부정적인 자아상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자신의 능력과 자질 그리고 활동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자아상을 가지고 있지만, 사서직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와 긍정적인 평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 사서에 대한 고정관념을 극복하고 사서직에 대한 평가와 역할에 대한 긍정적인 자아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아동․청소년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구축 및 프로그램 운영, 선배 사서들의 리더십 발휘, 도서관과 사서직의 새로운 가치와 역할에 대한 홍보 그리고 교수자로서의 자질 함양을 위한 사서 재교육 활성화 등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self images of public librarians who should increasingly take charge of services for children and young people through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d analyze its’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public librarians have been satisfied with their works and believed that they are kind, fair and gentle. One the other hand, they have had negative self images such as no influence, neglect, poor and stuffiness. Therefore, the result show that public librarians consider their ability, quality and activity as positive images, but they have felt lack of the social consensus and affirmative evaluation of their role. So, we can see building a good physical environment and running great programs to create access of children and young people to the public libraries, demonstrating leadership among senior librarians are so important in order to beat the stereotype and improve their positive self images of their evaluation and role. It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the new value and role of public libraries and librarianship and to enable retraining for cultivating their qualities as a teacher.
서비스디자인은 서비스를 개선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기 위한 과정이며, 방법론이다. 본 연구는 서비스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하여 도서관서비스를 혁신하거나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본 사례연구는 덴마크 코펜하겐 시립도서관,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립도서관, 피츠버그 카네기도서관, 조지아 공과대학도서관,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도서관 등 5개 도서관을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사례분석을 위해 내용요소를 디자인 요구, 참여 대상자, 기간, 프로세스, 도구, 결과, 주요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①도서관의 서비스디자인은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미래지향적인 서비스 창출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②도서관의 서비스디자인은 사서, 이용자, 디자인 컨설팅 전문가 등 모든 이해당사자의 협업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③기간의 관점에서 보면, 서비스디자인은 지속적이며, 프로젝트의 성격이 있다. ④도서관 서비스디자인은 이용자 경험, 과정, 프로토타입 개발 및 적용에 주안점을 둔다. ⑤도서관 서비스디자인은 설문, 조사, 면담 등 전통적인 방법 외에 블루프린트, 고객여정지도, 터치 포인트, 섀도우, 폐르소나 등 새로운 도구를 활용하고 있다. ⑥도서관 서비스디자인의 목적은 서비스 개선 및 서비스 창출에 있고, 총체적인 접근방식에 주안점을 둔다.
Service design is a process and methodology for innovating or creating service. This study analyzed library case that applied service design method to library service innovation and creation. The object of this case studies include 7 library such as Copenhagen’s municipal library, State Library of Victoria, Carnegie Library of Pittsburgh,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library,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 analyzed separately to service design requirements, stake-holders, period, process, tools, result and main feature. The implications obtained through this case study are as follows: ① The design of the library service are focused on user-centered services, future service creation. ② The service design for library is designed by the collaboration of all stake-holder. ③ From the point of view of period, the service design is continuous, and it has a nature of the project. ④ The service design in library focus on user experience, processes and prototype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⑤ The service design in library are applied to the new tool such as blue print, customer journey map, touch-point, shadow, persona. ⑥ The purpose of the service design in library is improved and created services, and is has holistic approach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안한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요구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전국의 학생과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이다. 연구에 사용된 요구조사 도구는 한국도서관협회의 기준, IFLA의 학교도서관 가이드라인, AASL의 기준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10개의 시설특성과 세부요소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설문대상은 전국 18개 학교에 소속된 507명의 학생과 134명의 사서교사이며, 이들로부터 학교도서관 시설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학생과 사서교사는 모두 학교도서관의 시설특성의 중요도를 현재 수준보다 높게 평가하였다. 학생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시설특성은 자료 접근성, 편리성, 공간성 순서이며, 사서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쾌적한 환경, 확장성, 자료 접근성 순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n the needs assessment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 Korea. After exploring KLA’s Standards for Korean Libraries, IFLA’s School Library Guidelines and AASL’s Empowering Learners, the needs assessment tool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was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y. The tool contains 10 major properties on school library facilities. This study gathered data from 507 students and 134 teacher librarians.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Students and teacher librarians evaluated the importance of library facilities more highly than the current level of facilities. Collection access, convenience and space are revealed more important properties to students and good environment, expandability, collection access are more important to teacher librarians among the properties.
소비자에게 형성된 심상 분석을 통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는 포지셔닝(Positioning) 기법은 공공시설, 기업, 대학이 공중에게 주는 이미지 분석을 비롯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과 학생이 직장으로서 도서관․정보센터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이미지를 포지셔닝 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공공, 대학, 학교, 국가도서관을 유사한 이미지의 직장으로 인식하는 반면, 포털과 전문도서관은 이들과는 이질적인 진출처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무에 있어서는 이용자봉사업무와 기술업무, 문화프로그램 업무를 각각 상이한 직무 군집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만족스러운 업무와 고용안정성이라는 이미지는 국가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보수가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곳은 포털 업체, 성장가능성이 가장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곳은 전문도서관으로 포지셔닝되었다. 한편, 학생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장선택준거는 고용안정성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선호하는 직장으로는 공공도서관이 선택되었는데, 이러한 공공도서관 선호 집중 현상은 수도권대학보다는 지방대학 학생들에게 더욱 강하게 나타났다.
Positioning technique which has been widely used for making marketing strategy by analyzing customer’s image also has been used for public and test-taker’s image analysis about public facilities, entrepreneurs, universities. This study analyze image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who trying to find a job in library fields about diverse type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enters by Positioning technique. As a result of Similarity cognition analysis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K-means clustering, it was found that students recognize that public, national, university, school library are similar, on the other hand, portal company and special library are different from those types. In the jobs, user service jobs and technical service jobs are recognized as separated clusters, and cultural program job is also recognized dissimilarly from those clusters. By the way, images about work satisfaction and stability of employment shows high in national library; high wage shows high in portal company; employee’s growth potential shows high in special library; job importance shows high in reference service jobs; difficulty shows high in content’s job. Anyway, in the workplace selection, almost students regard stability of employment as top priorities, accordingly they prefers public library at most. Such a preference concentration tendency is strongly appeared in local university students than in metropolitan area students as a result of Pearson’s chi-square test.
본 연구는 디지털 레퍼런스 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해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유일의 협력형 디지털 레퍼런스 서비스인 ‘사서에게 물어보세요’의 실제 이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 이용패턴 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정보요구 특성, 이용자 인식요인 등과 서비스 만족도 및 후속의도와의 영향력 관계를 검증하였다.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 요인 중 사서와의 상호작용과 답변의 신속성이 정(+)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영향요인별 분석결과를 토대로 디지털 레퍼런스 서비스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mote the use of collaborative digital reference service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user satisfaction and developing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the findings.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administered to the users of the “Ask a Librarian” service and a survey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patterns of usage of the service. The survey analyzed the associations among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formation seeking patterns, factors that influence user recognition, service satisfaction, and follow-up intentions via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Rapidity answers in factors of service satisfaction is found that the high impact of positive (+). According to the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the priority of service improvement strategies of digital reference service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19대 전반기 국회의원의 속성에 따른 입법정보 이용행태에 대한 분석을 통해 20대 전반기 국회의원의 입법정보 수요예측과 입법정보서비스의 정책적 함의를 찾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입법정보 지원기관인 국회도서관의 참고질의회답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의원의 정치속성과 관계속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분석한 결과 소속정당․선출방식․내향중심성에 따라 국회도서관의 입법정보 이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와 함께 20대 국회가 여소야대의 국회의원 구성과 3당 체제의 원내구성이라는 점에서 국회도서관의 입법정보 수요가 증가될 것이라고 예측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policy and to predict the needs of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For this purpose,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use behavior of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attribute for the member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results of reference service of National Assembly Library of Korea using the politics attribute and the relation attribute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National Assembly. Consequently,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use of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 between users by party affiliation, method of an election and introversion. Also, the increased demand of legislative information service was predicted in that the 20th National Assembly is the status of the opposition majority and the three major parties.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1월 ACRL(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의 이사회에 제출되어 2016년 1월 최종 승인된 ‘고등교육에서의 정보리터러시 프레임웍’(이하 ‘Framework’)의 내용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ACRL의 정보리터러시 ‘Framework’에서 제시하는 6개 프레임의 중심 개념이 분석되었고, ‘Framework’ 작성의 기본원리가 되었던 4개의 주요 개념, 즉 문지방 개념, 메타 리터러시,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모형, 한계 공간의 개념이 분석되었다. ‘Framework’는 개념적이고 서술적인 성격을 갖는다. 또한, ‘Framework’는 학습자의 전체 교육과정동안 단발성의 일회용 정보리터러시의 수업을 위하여 설계된 것은 아니며, 체계적이면서도 다양한 수준의 학습 프로그램과 통합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다. ‘Framework’에 근거한 새로운 교과과정 개발 및 평가에 대한 연구가 앞으로의 연구 과제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ramework for Information Literacy for Higher Education’ filed by the ACRL(Association of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Board on February 2, 2015 and adopted on January 11, 2016. Six concepts central to information literacy in Framework and four main theories or models (i.e., threshold concepts, metaliteracy, Backward Design, and Liminal Space) underpinning the Framework were analyzed. The Framework provides conceptual or descriptive approach. In addition, the Framework is not designed to be implemented in a single information literacy session in a student’s academic career. Instead, it is intended to be systematically integrated into the student’s academic program at variety of levels. This study recommends curricular development and assessment methods supporting Framework as a further study.
본 연구는 정보격차해소를 위하여 공공도서관에서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조사와 분석은 정보취약계층에 대한 투입과 성과의 양적인 상태를 가장 잘 알 수 있는 도서관 통계지표를 활용하고자 하였다. 도서관 통계지표의 분석을 통하여 정보격차해소를 위해 각 도서관이 투입하는 요소들의 변화양상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시설의 퇴보, 장애인용 특수자료 수의 지속적인 감소, 정보취약계층 서비스 이용자수의 감소, 전체 도서관 예산에서 차지하는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예산의 매우 적은 비율과 그 예산마저도 매년 감소하는 현상 등의 문제점이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도서관통계에 나타난 정보취약계층을 위한 지표들과 그 추이는 각종 관련 정책들과 공모사업들의 추진이 지식정보격차해소에 긍정적인 성과를 가져오지 못함을 보여주고 있다. 즉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노력은 지속적인 관심을 갖고 추진되고 있는 듯 보이나, 실질적인 예산의 투입이나 관련 정책의 추진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강력한 대책이 요구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nges in inputs and outputs for information-poor in public libraries to eliminate the digital divide. The survey and analysis was utilized indicators for the information-poor shown in library statistics. And through the analysis of statistical indicators, it examined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elements that each library are inputted to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As a result, it revealed problems such as regression of facilities for the aged and disabled, continuous decrease in the number of special materials for disabled person, and reduction of service users and budget for information-poor.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nd to achieve the desired performance for eliminating the digital divide. it’s required the budget increase and strong policies for information-poor.
본 연구는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 구성요소인 능력단위 및 능력단위요소의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하고 분석함으로써,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를 도서관 실무에 적용했을 때 현장 사서들이 실질적으로 중요하게 생각하고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첫째, NCS ‘문헌정보관리’ 직무의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중요도 및 활용도를 평가한 결과, ‘이용자 정보서비스’,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동시에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능력단위는 중요도와 활용도가 낮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에 대한 Borich 요구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문헌정보 큐레이션’, ‘문헌정보시스템 운영’, ‘문헌정보 실무 연구수행’ 구성요소는 바람직한 수준과 현재 수준이 공통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어 요구도가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한 직무 구성요소(능력단위)의 우선순위 분석 결과, ‘독서문화 프로그램 운영’, ‘이용자 정보서비스’, ‘문헌정보수집’, ‘문헌정보 서비스 마케팅’, ‘문헌정보 보존’, ‘문헌정보 이용 분석’의 6개 능력단위가 최우선순위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derive components that librarians think preferentially necessary and realistically important when applying the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to the library working environments. It was possible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ability unit and its elem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First, ability units of ‘User Information Services’,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were higher in importance and utilization at the same time. Ability uni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al Research Perform’, ‘Library and Information Cu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were lower in importance and utilization when we evaluate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f ability unit and its element which are the components of NCS ‘Library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s duty’. Second, components of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User Information Service’, ‘Library and Information Collection’ were higher in the order, and component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u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Practical Research Perform’ were found lower in demands as the desirable level and the current level appear less common when we analyzed the demands on the duty components utilizing Borich requirements analysis model. Third, six ability units of ‘Reading and Culture Programs’, ‘User Information Services’, ‘Library and Information Collection’, ‘Library and Information Services Marketing’, ‘Library and Information Preservation’, ‘Library and Information Use Analysis’ were derived as priority components when we analyzed the priority of the duty component (ability unit) utilizing The Locus for Focus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Cutter의 전개분류법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분류법 평가와 관련된 4가지 요소를 기준으로 전개분류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 첫째, 주류 배열은 철학과 종교, 역사와 지리, 사회과학, 자연과학과 예술, 언어와 문학 순으로 배열되어 있어 그 순서가 논리적이며 진화적이다. 둘째, 기호법은 문자를 사용하는 순수기호법이며, 저자기호법을 포함시켰다. 셋째, 7개의 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표는 자연과학 분야가 전개되었고, 제3표부터는 전 주제 분야로 확산되었다. 넷째, 지역구분을 적용하였는데, 대륙별로 지역의 연결성을 강조하여 나열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utter's Expansive Classification. The four elements about classification evaluation were applied to analyze it. Results show that first, from philosophy and religion class to literature class, the order of main classes is logical and evolutionary. Second, the notation is a pure notation including author mark. Third, the classification is expansive from first classification to seventh classification. Science classes were expanded in the second classification comparing to the first classification. From the third classification, all classes were expanded. Fourth, it was applied by the local list to indicate places emphasizing connection of geographical space.
본 연구는 이용자의 관점에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을 이해하고 이를 분석하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이용자가 대학도서관에서 ‘무엇’을 이용했는지가 아닌 대학도서관 서비스를 이용하는 그 ‘과정’에 주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구술면담자료를 근거이론 방법으로 서비스 품질요소를 도출하여 LibQual+ 구성차원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1) 이용자의 정서적 부분과 관련된 품질요소, 이용자 맞춤서비스와 관련한 ‘서비스 고객화’가 도출되었고, (2) 실질적인 이용자 요구가 좀 더 구체적으로 분석되었다. 도출된 품질요소에 대한 속성과 중요도는 KANO와 AHP를 적용하여 분석하고 서비스 품질요소를 차별화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quality of University library service and to propose analyzing method from user’s perspective. For that, this study noted that ‘the process’ of using the university library service rather than ‘what did they use’ in the university library. In-depth interview data about User’s experiences that they used university library drew service quality elements based on the method of grounded theory. Comparing the derived service quality elements with LibQual+ dimen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Service quality element related to the user’s emotion and new user-friendly service customization were shown. (2) Substantial claims of users were analyzed more specifically by this study. It seeks ways to differentiate service quality factors by attributes and priority importance about service quality elements which was analyzed using KANO and AHP.
전 세계 수많은 대학들이 오프라인 강의를 MOOC 형태로 제작하여 온라인에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대학의 움직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해외 대학도서관들은 자신의 역할을 재정립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했다.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국외 문헌정보학 저널들에 게재된 MOOC 관련 논문들을 선정 분석하고 기존 연구의 한계와 도서관 분야의 MOOC 지원 서비스 항목들을 도출하여 향후 국내 도서관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 고려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4년 동안의 해외 문헌정보학 저널에 게재된 연구 논문 348편 중 최종 34편을 관련 논문으로 선정하고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 관련 MOOC 연구(24편)와, 문헌정보학 교육 관련 MOOC 연구(10편)로 나누어 요약 정리하였으며, 주요 MOOC 지원 서비스는 크게 5개 단계로 나눌 수 있었다. 첫 번째 MOOC 강의 디자인 단계의 저작권 처리 및 컨설팅, 콘텐츠 라이센스, 오픈 콘텐츠 홍보 및 안내 서비스와 두 번째 강의 제작 단계에서 강의 제작 및 편집 지원과 자체 사서 MOOC 콘텐츠 제작, 세 번째, 강의 운영 단계에서 강의 운영 자료 및 학습 안내 자료 제작과 수강생 지원 서비스, 네 번째로 강의 평가 단계의 강의 관련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강의 운영 평가 서비스가 있으며 다섯 번째로 강의 재사용 단계에서 강의 콘텐츠 메타데이터 작성 및 아카이브 구축이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국내 도서관의 MOOC 지원 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 추후 MOOC 관련 연구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제시하였다.
Many universities are offering some of their offline courses for anyone to learn free online as an MOOC format. University libraries In response to changing university conditions, foreign university libraries are struggling to redefine their roles and provide new services.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trends and models to support MOOCs in foreign librarie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omain by conducting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n foreign library and information journals which have been published from 2012 to 2015. A total of 34 out of 348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also aimed to present the limits and the future models of MOOC support direction. The relevant articles could be identified, two criteria: 24 MOOCs studies relating to Libraries and 10 MOOCs studies related to LIS. The selected articles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yearly. The study identifies elements of library MOOC support models in 5 areas including MOOC design (copyright clearance and consulting, content licensing, open content), production support (course production, video editing, librarian MOOC production), management support (instructional design and content creation, students support), evaluation (MOOC data collection, analysis), reuse (MOOC metadata management, archive structure).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ed the models of library MOOC support and set the theoretical fundamentals.
학술단행본은 지식의 표현과 전달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으며 동시에 학술연구의 중요한 성과물이다. 대학출판부는 상업성이 낮은 학술단행본을 발간하는 최후의 보루로 여겨진다. 하지만 국내 대학출판부를 통한 학술단행본의 규모와 내용에 대한 체계적인 데이터가 부족하다. 본 연구는 국립중앙도서관의 온라인 목록을 기반으로 1950년대부터 2015년까지의 대학출판부 출판 통계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총 21,015건의 서지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2001년부터 2015년까지 발간된 자료에 대해서는 학술단행본 여부에 대한 추정을 시도하였다. 국내 대학출판부를 통한 단행본 출판은 1970-80년대의 완만한 상승기를 거쳐 1990년대에 급격한 성장을 보였으나 2005년을 정점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학술단행본보다 어학교재, 강의교재 및 교양 관련 서적 발간의 비중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출판부 간의 출판 규모 및 학술단행본 발간 비중에서도 큰 격차가 있다. 저자 유형에 있어서는 1인 저서의 비중이 가장 높고 번역서의 경우 일정한 비율을 보이고 있지만 편집 저서의 경우 상당한 감소 추세를 보인다. 주제분야별 출판 분석에서는 사회과학 도서의 비중이 가장 높으며 분야별로 학술단행본의 비중은 큰 차이를 보인다.
Scholarly monographs have been a main vehicle for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transfer as well as an important research outcome. University presses have long been considered as the last bastion for scholarly monographs that have low commercial prospect. Until now there has not been a systematic data analysis regarding scholarly monograph production by university presses in Korea. In this paper, we collected bibliographic records of university presses’ monograph publications between 1950 and 2015 using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s online catalog system. A total of 21,015 records were used in the analysis. In particular, for monographs published between 2001 and 2015, we categorized them into scholarly monographs and non-scholarly monographs. University presses’ publishing showed sharp increase during the 1990’s but is in decline after its peak in 2005. University presses seem to have engaged in publishing more non-scholarly monographs than scholarly monographs by a ratio of 6:4. Large university presses in size seem to produce higher proportions of scholarly monographs than smaller presses. In terms of authoring types, single authorship accounts for the highest proportion and on the increase. However, edited books are losing ground as translated books seem to hold steady. Monographs in social sciences have been published more frequently than any other subject areas as there seem to be significant discrepancies among subject areas in terms of the scholarly monograph proportion.
본 연구는 다중개체모형을 기반으로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요소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에 새롭게 제정된 「무형문화재 보전 및 진흥에 관한 법률」과 무형문화유산 기록화도서 및 자원조사를 실시한 기관들의 기록정보자원과 가이드라인 및 전승현황을 조사하고, 관련 기관의 무형문화유산 디지털아카이빙 현황과 정보서비스들을 분석하여 무형문화유산에서 요구되는 정보항목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다중개체모형 기반의 무형문화유산 메타데이터 개발을 통해 가장 핵심인 무형문화유산 정보를 기준으로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행위주체들의 정보, 그리고 이들이 생산하는 기록정보자원 정보, 이들 기록정보자원들을 관리하는 데 필요한 기록관리업무 정보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무형문화유산의 다양한 관계와 이들 정보의 최신성을 유지함으로써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더불어 이용자에게 무형문화유산에 대한 풍부한 맥락 정보를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무형문화유산의 가치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has developed standard metadata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based on multiple entity model. By analyzing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ct”, which was newly legislated in 2016,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chiving books, archival information resources and guidelines of organizations which conducted resources investigations, the transmission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the current statu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archiving and information services of related organizations, we obtained information lists required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took them into account in the process of selecting element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tadata. In addition, developing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metadata based on the multiple entity model made it possible to provide comprehensive information by organically linking numerous sorts of information―with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which is the most essential, in the center, information on agents related t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rchival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that they produce, and record management task information required to manage these archival information resources. By maintaining various relations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and keeping the information up-to-date, the developed metadata is expected to provide rich contextual information 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in addition to the efficient management of information; and ultimately, make contribution to sustainably developing the value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본 연구는 뇌파측정기술(EEG/ERP)을 적용하여 멀티미디어 자료의 주제 적합성의 단순 모형과 복합 모형을 제안하였다. 즉, 단순 탐색을 처리할 때의 주제 적합성 판단 과정은 단순 모형으로 기술하고, 복합 탐색을 처리할 때의 주제 적합성 판단 과정은 복합 모형으로 설명한다. 단순 모형은 이미지의 의미 분석을 기술하는 N300과 작업 분류에 대한 판단을 할 때 발생하는 P3b 요소들을 이용하였다. 한편 복합 모형은 이미지 기반 표현과 개념적 표현을 하나의 문맥으로 통합시킬 때 나타나는 N400과 복잡한 인지 과정을 기술하는 P600 요소들을 이용하였다. 제안된 적합성 모형들은 EEG 측정 정보에 기초한 멀티미디어 정보시스템의 상호 작용 인터페이스 설계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study proposed two topical relevance models, simple and complex models, using EEG/ERP techniques. In the simple model regarding simple search tasks, N300 and P3b components are used. The N300 is specific to the semantic processing of pictures and the P3b reflects mechanisms involved in the decision about whether an external stimulus matches or does not match an internal representation of a specific category. In the complex model regarding complex search tasks, on the other hand, N400 and P600 components are used. The N400 reflects activation of an amodel system that integrates both image-based and conceptual representations into a context, whereas the P600 is related to complex cognitive processes. Our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a source to design an EEG-based interactive multimedia system.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마케팅 관련 국내외 연구의 저자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도서관마케팅연구의 경향성을 살펴보고 국외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국내 연구가 지니는 특성을 살펴보는데 있다. 분석 대상은 국내의 경우 문헌정보학분야 4대 학회지의 도서관마케팅 관련 연구의 저자 키워드이며 국외의 경우 Scopus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되어 있는 문헌정보학분야의 도서관마케팅 관련 연구의 저자 키워드이다. 수집된 저자 키워드는 NetMiner4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국내의 도서관마케팅연구는 주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반면 국외의 경우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2) 국내의 경우, 도서관마케팅연구의 주제가 다양화되지 못한 경향이 있으며 일부 소수 학자들의 학문적 관심에 의해 주도되는 경향성이 강하였다, 3) 국외의 경우, 디지털시대에 걸맞은 소셜미디어와 온라인 등을 통한 마케팅적 접근이 활발한 반면 국내의 경우는 이에 대한 관심이 미미하였다, 4) 국내외의 경우 모두 학교도서관에 대한 도서관마케팅연구자들의 관심은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library marketing research trend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rough the analysis of author keyword network of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The author keyword was collected from four major LIS journals in Korea and Scopus academic database for other countrie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NetMiner4 softwa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In Korea, lots of library marketing studies focused on public libraries. However, there was a range of library marketing researches focused on academic libraries in other countries, 2) In Korea, there was not a variety of subjects of library marketing studies and the studies were mainly led by a few scholars, 3) In other countries, many scholars paid attention to digital library marketing through social media and/or web, and 4) there little library marketing studies focused on school libraries both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본 연구는 RDA라는 새로운 목록규칙이 도입되는 국제적인 추세에 따라, 국내의 목록 교육에 있어서 RDA의 내용을 반영하기 위한 고려 사항을 분석하고, 전공 교과로서 RDA를 포함한 목록 교육 모형과 실행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특히 기존의 목록규칙과 RDA가 공존하는 현실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목록 과목에 주어진 시간 제약 속에서 효과적인 교육 내용 구성 및 전달 방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현행 문헌정보학 전공 목록 교육의 현황을 RDA와의 관계성 속에서 파악하였다. 둘째, 교육자의 인식과 교육 방안을 파악하기 위하여 RDA 교육에 관한 교수자들의 토론 내용과 이슈를 분석하였다. 셋째, 학습자인 전공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2개 대학 목록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RDA 수업에 대한 의견을 설문조사의 방법으로 파악하였다. 넷째,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RDA를 도입한 목록 교육 모형을 설계하였고, 이 모형을 바탕으로 정보조직 강의계획안을 설계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e newly developed cataloging rule, RDA on the LIS cataloging education and to propose Korean LIS cataloging curriculum in a time of RDA. This study specially intended to examine the coexistence of the AACR and RDA and its implications on the LIS cataloging curricula design in the limited time of the course of stud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apidly changing cataloging circumstances and how it affects on the cataloging education in LIS. This study also explored the students’ as well as instructors’ opinion and demand on cataloging education specially regarding RDA. As a result, this paper designed a cataloging education model including RDA curriculum and it also suggested cataloging syllabus based on the education model.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단행본 대출패턴을 대출건수 및 Bonn 이용계수 측면에서 주제별, 신분별,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대출건수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도서를 ‘집중장서’라 정의하였으며, 전체 대출건수의 50%를 대출도서의 20%인 집중장서가 차지한다는 ‘대출도서 20/50 법칙’을 제안하였다. 각 주제별 대출건수 중 집중장서가 차지하는 비중을 이용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월별 대출패턴과 대출기간도 분석하였다. 또한 대출횟수와 대출기간을 함께 고려한 ‘장서활용량’을 정의하고, 집중장서의 대출패턴을 대출횟수와 장서활용량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집중장서의 경우 총 대출건수와 총 장서활용량의 약 50%를 차지함을 알 수 있었고 모두 멱함수 분포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circulation patterns of books with checkout transaction count by 11 subject areas, 5 positions, and 5 divisions with a Use Factor developed by Bonn in an Academic Library. 20% of the loan books occupies more than half of circulation and these are regarded as core collection. It proposes a ‘Loan books 20/50 rule’ that 20% core collection accounts for 50% of its circulation. It analyzes the proportion of core collection from the aspect of each subject area with a use factor, monthly change trend and loan period. It also defines ‘book usage’ considering checkout frequency of each title and loan period. Circulation patterns of core collection are compared and analyzed in terms of both checkout frequency and book usage. Core collection occupies about more than half of both total checkout transactions and total book usages and they all show a Power Law distribution.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마주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이 그들의 일상 정보 행태, 특히 미디어 사용을 통한 정보 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3세에서 18세 사이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11명을 대상으로 정보요구기록지, 미디어 이용에 관한 설문조사, 두 차례에 걸친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 문제 상황과 미디어를 통한 정보 요구 해결의 양상을 다각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일상의 문제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의 주제는 학업, 여가, 외모, 자기개발, 생활, 진로 등이었으며, 특히 학업과 여가에 대한 정보 요구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 참가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정보 요구의 해결을 위해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미디어는 심리적 도피처이자 안식처였고, 자기표현을 위한 도구였으며, 지식과 생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해답의 책이자 여가 시간의 동반자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미디어 이용 관련 방안들은 추후 도서관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기획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ormation behavior and media use of Korean young adult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 11 young adults between 13 and 18 with immigration background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provided data via daily logs about information needs, written surveys about media use, and two times of in-depth interviews. The data gathered from these diverse methods were used in analyzing the participants’ daily problem situations and attempts to satisfy information needs using media. The information needs of young adult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in their everyday lives included study, leisure, appearance, self-development, living, and career searching - study and leisure were the most needed information subjects. The young adul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actively using media to solve their information needs. For them, media was an emotional support, a tool to express their own identities, a solution that gives all the answers, and a good companion to spend time with. The proposed strategies about young adults’ media use in this study could be used in planning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본 연구에서는 해외의 주요 도서관 컨소시엄의 운영현황과 특성에 대하여 선진국의 도서관 컨소시엄 전문가를 직접 면담하고 자료를 수집하고 비교․분석하였다. 조사결과, 해외 도서관 컨소시엄들은 구성 목적, 조직, 재원, 기능 등에 있어서 각각의 독특한 특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컨소시엄별 전문가들의 인식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공통적으로 도서관 컨소시엄의 가치를 정보가격 협상력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보가격 인상의 대안으로 OA(Open Access)를 지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외 도서관 컨소시엄 운영에 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library consortia around the world. This study was done by interviewing 5 library consortia experts from 4 developed countries. Findings are each consortium has unique characteristics in purposes, organizations, funding sources, functions and also perception of consortium by experts were different. Experts recognized the value of library consortia as an economy of scale (mainly buying power) and pointed out open access as one of the alternatives for electronic information price increase. This study could improve understanding current status of library consortia around the world.
납본제도란 국가지식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기 위하여 국가에서 발행되는 모든 출판물의 일정 부수를 지정된 도서관 또는 기관에 제출하도록 하는 제도를 말한다. 도서의 경우 「도서관법」과 「국회도서관법」에서 납본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고, 납본한 자료에 대하여 정당한 보상을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의 납본과 정당한 보상의 의미와 범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도서의 납본과 보상에 대한 주요 국가의 법령과 우리나라의 법령 및 현황을 검토해 보고 문제점을 분석해 보았다. 납본과 관련된 판례를 분석하여 납본제도에 대한 합헌성 검토, 납본 거부 및 정당한 보상에 대한 법적 검토와 평가에 기초하여 납본과 보상 관련 규정 정비, 정당한 보상에 대한 구체적 법규의 정립과 처벌 규정 등을 개선방안으로 제안하였다.
Legal deposit is a system that a person who publishes in the country a work shall deposit a certain copies of publications in designated libraries or institutions in order to preserve and transfer national knowledge and culture heritage. Under 「Libraries Act」 and 「National Assembly Library Act」, depositors shall present books to the Library and the Library shall properly compensate him/her for such copies presented. This study focuses on presentation and proper compensation of books. This study has reviewed laws and regulations about them in major countries and our country,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and some problems of our country.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nstitutionality of legal deposit, the refusal of copies presented, and the meaning of proper compensation through analyzing cases on legal deposit. Based on these analyses, it has proposed the modification of regulations on presentation and proper compensation of books, the establishment of specific rules on proper compensation, and the penalties on unfair presentation.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진흥법에 따른 대학도서관 운영평가를 실시하기 위한 평가요소와 평가체계안을 개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도서관 내․외부의 전문가, 실무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설문조사, 공청회, 토론 등을 실시하여, 합의를 바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평가항목 구성안은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에 기반을 두고 개발되었으며, 대학도서관 운영 전반에 걸친 요소와 성과에 대한 균형 잡힌 관점을 제공하였다. 제안된 대학도서관 운영평가안이 도서관의 가용 자원이 목표달성 활동을 위해 사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게 함으로써 대학도서관 발전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lan for university library evaluation with factors and their systems, and an evaluation process, based on the Korean University Library Promotion Act. This study adopts a consensus based method including open-ended interviews with various stakeholders around university libraries, a questionnaire survey, a public hearing, and numerous discussions with the stakeholders. Balanced Scorecard is adopted as a basic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provides a balanced perspective on the whole aspects in the university library management, including factors and performances in the management, The proposed plan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help to examine whether the resources are used for reaching the goals in the libraries, and to contribute the growth of the university libr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