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이르는 시기는 구시대의 산물인 고소설과 새로이 등장한 신소설이 공존하며 경쟁했던 시기이다. 출판인쇄업자의 증가와 출판기술의 발달, 상업적 이익 추구의 확대가 이루어지는 출판업계의 변화 속에서 고소설의 변모는 불가피하게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이 시기 새롭게 창작된 고소설은 농촌 아녀자와 도시노동자에게로까지 확대되어 있던 기존의 고소설 독자층을 수용하고, 변화를 지향하고 있는 독자의 이탈을 막는 동시에, 전대 고소설 양식의 전통을 활용해 창작의 속도를 높이면서도 새로운 시대의 모습을 담아냄으로써 상업적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사회적 변화의 요구를 반영하고 있다.특히 애정소설은 여성이 서사의 중심에 서 있으면서도 남성의 세계에 편입하기 위해 여성성을 숨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당대 사회가 지니고 있던 여성 인식의 단면을 살피기에 적합하다. 이 논문은 기생과 사족의 결연이라는 익숙한 틀을 이용해 근대소설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신작 애정소설 芙蓉의 相思曲을 통해 이 시기 고소설이 지닌 근대적 면모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芙蓉의 相思曲은 장면, 사건의 전환, 인물의 등장의 표지가 되는 허두사의 사용, 한시의 이용, 몽유 장치의 이용, 기녀와 사족의 결연이라는 전대 고소설의 양식적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반면에 도입부의 변화와 인물사건 설정의 필연성 부여라는 소설의 구조적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인간의 본성인 애정 추구를 중시함으로써 인간의 본성 추구를 정당화하고 여성의 자아정체성 찾기에 대한 긍정이라는 내용적 측면에서도 근대적 면모를 보여준다. 芙蓉의 相思曲에 나타나는 이러한 모습은 芙蓉의 相思曲을 비롯한 이 시기의 고소설이 새시대의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그 모습을 바꾸어 나가고 있음을 보여주며, 아울러 그 변화의 중심에 인간의 본성으로서의 애정 추구와 여성의 자아 찾기에 대한 가치 부여가 있음에 주목할 수 있다.
This dissertation takes aim at finding out modern characteristics of 'Buyongsansagok' (the story of Buyong's love song) which was using a familiar flame called Gisang and Sunbi. The time of last 19th to early 20th century is the period of that Kososeol which is product of old date coexisted and competed with Sinsoseol which is that of new era. Kososeol was obliged to change in the variation of publishing world which was increasing publishers and printers and extension of commercial profits pursuit. The Kososeol which was created in that times is reflected the requirement of social changes in the way of that both assimilated existing readers of Kososeol who was extended to country women and urban labors and incorporated readers' requests that satisfied their hunger for change. Especially, love stories are the very thing to observe the section of female identity that had society members of that period because it's female character leads it's narrative development, what is more, it's female character didn't conceal their identity to be include in 'male's world'. 'Buyongsangsagok' has modern characteristics not a structural respect which changes of introduction, necessities of characters and events but which affirmation of female's identity to make much of pursuing love as human's nature. As things turns out, 'Buyongsangsagok' inherited old novel's traditions and accepted readers' new requirements as time passes.
(19131976) 芙蓉의 相思曲, 아세아문화사
(2000) 활자본 고소설의 편폭과 지향, 보고사
(1993) 조선중기의 역사소설, 집문당
(1987) 운영전과 상사동기의 비극적 성격과 그 사회적 의미,
(2004)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 청어람미디어
(1983) 완판방각소설연구, 이우출판사
(1994) 조선후기 전 문학 연구, 태학사
(2001) 여성문학의 어제와 오늘, 태학사
(1986) 활자본 신작구소설에서의 애정소설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신작 구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998)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월인
(2000) 한국의 여성영웅소설, 태학사
(1982) 한국가사문학론, 집문당
(1987) 芙蓉相思曲> 연구-구성적 특징과 갈등 구조 및 사회적 의미를 중심으로, 서울대 국문과
(1970) 개화기의 서적상들, 월간중앙 중앙일보사
(1986)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72)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서울대출판부
(1986) 한국근대문학사론, 창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