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No.34

KIM BOK SOON pp.7-39
초록보기
Abstract

본고에서는 신소설에 나타난 국민국가 패러다임의 젠더적 성격을 분석해 보았다. 사회진화론 사상 및 문명개화를 폭넓게 호명한 신소설에서 ‘새로운 보편’은 어떤 의미망을 내포하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서구적 보편’을 추동하는 경우와 비서구적 보편을 추동하는 경우 계몽의 방식 및 정의ㆍ죄와 관련한 내포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서구적 보편을 추동한 경우, 무력한 모성과 비‘자유연애’자 본처, 개인적 욕망을 희망하는 악비ㆍ첩ㆍ무당, 복수하는 여자는 ‘정의의 타자’로서, ‘죄’로 처벌되었다. 남성의 경우 무력한 가장이나 난봉꾼들도 ‘죄’로 처벌되지 않고 개화의 일꾼으로 호명된 반면, 여성들은 개화의 취지와 부합해도 ‘개인적 욕망 추구’에 불과한 ‘죄’로 처벌되었다. 남성의 복수는 정당한 것으로 그려진 반면, 여성의 복수는 ‘남장’을 하여야만 가능하거나, 정당성이 있어도 처벌되었다. 반면 비서구적 보편을 추동한 국민국가 패러다임의 경우, ‘여성의 죄’는 ‘부재’로 설정되었다. 새로운 국민국가 만들기에서 여성도 ‘동반자’가 될 수 있다는 패러다임을 보여주었다. ‘비서구적 보편’ 추동 패러다임에서는 근대성의 ‘주체’ 범주에서 여성성을 완전히 배제하지 않았으며, ‘권도’라는 ‘새로운 정의’는 여성성과 배치되지 않았다. ‘서구적 보편 추동’ 신소설에서 보여준 ‘정의의 원칙’의 한계가 여기서는 ‘타자를 포섭’하는 ‘인정의 원칙’으로 발전되어 있었다. 전자의 경우 신소설에 나타난 국민국가 패러다임은 ‘젠더’를 중요한 원리로 삼고 있는 반면, 후자에서는 젠더보다 ‘민족’ ‘국가’ 범주가 우선성으로 부각되어 있었다. 이로써 모든 국민국가 패러다임에서 ‘젠더’가 핵심원리, 우선성의 원리였던 것은 아님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근대성의 젠더가 남성성’이라 평가한 기존의 이론을 수정케 하는 부분이다. 서구적 국민국가 패러다임과 비서구적 국민국가 패러다임은 차이가 있었다.

Seo, Yeon Ju pp.40-60
초록보기
Abstract

본고는 신소설에 등장하는 여성인물의 광기에 주목하여 그 의미를 살펴보았다. 신소설에서 보통 남성인물들의 노정이란 대체로 계몽의 근대를 향해 나가는 출사로 전제되지만 그에 반해 구체적 서사가 빈약하거나 탈각되어 있는 양상으로 허랑방탕한 유람의 성격이 짙다. 이 가운데 신소설의 주 인물은 효와 열이란 구세대적 모티브를 내재한 가정서사를 이끌고 있는 여성인물들이 주동인물로 존재하게 된다. 신소설에 자주 등장하는 남성인물들의 유람모티브는 남성의 계몽에 대한 강박증으로 발현된다. 가정을 완전무결한 질서와 안정의 장소로 이념화하는 신소설의 지향성 가운데 가정이 파괴된 채 집으로 돌아온 여성인물의 경우는 망상 증세를 띠게 된다. 정치적 야욕을 가지고 있었던 작가 이인직의 경우 「혈의누」, 「은세계」에서 구태 정치세력에 저항한 남성인물을 이성적인 숭고한 영웅형으로, 이에 반해 시대적 상황과 마찰하는 내면의 표상으로 여성인물의 광기를 등장시킨다. 자신을 표현할 언어가, 언명이 없었던 어머니들의 광기(망상)는 딸들(옥련,옥순)에게 학업 성취에 대한 책임감을 가져야 할 또 다른 계기를 만들어 주며 근대화의 무대에 여성이 등장할 수 있는 배후 요인으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 한편 신소설은 남성에 대해 무조건적으로 헌신하는 것을 마치 운명적인 것처럼 인식해 왔던 기존의 여성관에 새로운 인간의 모습을 발견하는데 일정부분 기능하였다고 볼 수 있다. 최찬식의 「안의성」, 「능라도」의 경우 미천한 신분이었지만 신교육을 통해 자기성찰 능력을 갖춘 여성인물이 자유연애에 의해 남성과 맺어지나 결국 가정 내 불화로 출분하여 히스테리적 증세를 겪게 된다. 이는 여성을 남성에 대한 타자가 아닌 실존적인 인간으로 본다면, 광기로 규정된 여성인물의 행동을 결코 그들에게 내재되어 있는 동물성이 발현된 것으로만 규정할 수 없다. 오히려 여성의 광기는 억압적인 권력체제로부터 그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보호하기 위해 행한 자기 방어적인 행동으로, 그리고 그러한 체제에 공격을 가하는 저항의 몸짓으로 해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여성의 광기는 여성에게 적대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신의 존재가 갖고 있는 의미는 무엇인지, 그리고 과연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에 해답을 찾아가는 여정의 기폭제로 볼 수 있겠다. 즉 신소설 속 여성인물들의 광기는 이념과 풍속, 체험과 관념, 욕망과 명분 사이의 괴리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불협화음의 표상인 것이다.

Sun-Ok Lee pp.61-87
초록보기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analyze women’s discourse of the oratorical Sinsoseol which was written by speech form, 1890-1910, and to examine how to be called and composed modern women focusing on the oratorical Sinsoseol. The reason to inspect the oratorical Sinsoseol in the aspects of the public sphere which forms public opinion is more of political discourse which communicates with media discourse than completed structure as a genre. Sinsoseol of speech form is a novel genre to make narrative of speech. Particularly this paper focuses on Ahan Kooksun’s 『Yeonseulbeubbang(Method of speech)』, 『Kumsuhoeirok』, and 『Jaujong』 from Lee Haejo, which deal with women subject. Ahan Kooksun’s novel deals with equality between women subject and men subject in modern society. On the other hand, his novel makes women as a target of the enlightenment. And so his novel invented a culture of women as a symbol of disgraceful Joseon and besides dirty and promiscuous sexuality. Lee Haejo’s novel depicts a woman protagonist as a speaker who makes an enlightenment discourse. But the woman protagonist in Lee Haejo’s novel speeches self –denial discourse that Hangeul novels which women readers have been reading for a long time are obscene, miserable and fanciful. Between 1890 and 1910 which called early modern era was the period that women tried to enter the public society and they also began to appear as a subject of speeches. The experience with participation in speeches or debates inspired women to be being a subject of female. As patriotism and ideology of modern national sovereignty were combined, women began to be considered as a nation. Speeches which enabled women to say an official statement and debates were also one of the main causes to stimulate that idea. However the discourse of women and the view of language through the oratorical Sinsoseol showed the typical reversion to a male dominated society, which deleted the sensibility of feminine language and described that women were the promiscuous subject to be enlightened and the ignorant people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world of life. Particularly 『Jaujong』 showed the process that male intellectuals shifted to a new public sphere which used Hangeul instead of Chinese character, Hanmun. They exclusively possessed the language of women and then they also built a new contextual hierarchy of language. Until that time, Hangeul novels had been often considered to be decadent and dissipated and the women who had used Hangeul were even ignorant of a letter. Though women protagonist appeared as a speaker, after self denial that the world of Hangeul did not mean the world of knowledge, Hangeul was reorganized to male-oriented knowledge.

SO-HEE LEE pp.89-148
초록보기
Abstract

This paper analyzes the changing process of Heo Jeong-Sook’s focus on the women’s movement from the “I” of each Joseon woman’s personal self to the “we” of the whole of Joseon women’s modern subjectivity in the colonial Joseon society of the early 1920s. It focuses on Heo Jeong-Sook’s points of view on the subject of modern woman as influenced by socialist feminism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colonial Joseon from 1920 to 1926, just before she left for the USA in May 1926. As a feminist activist, Heo Jeong-Sook was first involved in the women’s education movement in 1920-1921, because women’s education was necessary for the transformation of family and home and, finally, it would lead to the transformation of colonial Joseon society. In 1921-1924 she learned socialism in Shanghai in China and participated passionately in the socialist women’s movement through socialist organizations. After working as a newspaperwoman in Dong-A Ilbo in early 1925, she could understand the hostile life-circumstances of all Joseon women, whereby they were doubly treated as slaves, both personally and economically. She wrote her own feminist ideology for the modern woman in the contemporary feminist magazine New Woman in 1925-1926. She urged that Joseon women should struggle not against men or their husbands, but against traditional customs and the everyday lifestyle. She thought that, because Joseon women were under multiple repressions such as feudalism, patriarchy, capitalism and colonialism, the independent women’s movements would be necessary for both sexual and class emancipation in those days. She therefore insisted on revitalizing the keen senses of Joseon women with individual selfhood by resisting the daily patriarchal oppressions. As a kind of cultural icon of the subject of modern woman, she adopted the practice of cutting her long hair along with other socialist feminists, which brought a sensational cultural shark into colonial Joseon society. Based on socialist feminism, Heo Jeong-Sook sought ways of raising feminist consciousness among Joseon women, and finding out what kind of feminist strategy could be effective for the modern woman and efficient for the women’s movement in the early 1920s.

Jin Sun Young pp.149-179
초록보기
Abstract

송계월은 ‘애라’나 ‘유라’가 아니다. 송계월은 ‘송계월’이다. 이것이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송계월은 기초적인 사실조차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그나마 부분적으로 소개된 경우에도 왜곡되거나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한 경향이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송계월의 서사를 연대기적으로 구성하여 송계월이라는 신여성이 식민지 현실을 통해 계급주의를 자각하는 과정으로서의 ‘자기서사’와 그 형상화적 결과물인 문학텍스트(문학 서사)를 분석하였다. 이 ‘겹’ 서사에 대한 조화로운 이해와 분석이 송계월의 서사를 문학사, 여성사, 제국주의사에서 정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이다. 송계월의 고향이자 요양지였던 함경남도 북청군 신창면은 척박한 환경과 불모의 땅이라는 공간적 의미와 함께 기질을 배태한 요람적 성격을 지닌다. 송계월은 강인한 성격과 생활력을 가질 수 있었던 근원을 함경도적 기질에 두고 있으며, 이를 사회에서 실천하는 현장 경험은 경성여자상업학교 시절에 이루어진다. 계월은 여학교 시절 식민지 사회의 모순을 발견하고 이를 운동과 투쟁으로 행동화하였다. 이후 데파트 걸 체험은 학교 교육의 이상주의와 현실의 간극을 체험하는 장이었고 이를 통해 여성 문제의식과 여성 ‘노동자’에 대한 계급의식을 점화하게 된다. 개벽사에 입사 한 후 ‘붉은 성(赤城)’이라는 필명은 자신의 입론을 사회주의 혹은 계급주의(赤)적 여성에 두고 전투적으로 현실의 문제점을 서사화하겠다는 당찬 레테르이다. 송계월은 여성의 문제에 계급적 이해를 우선하고 있다. ‘진정한 여성 해방은 노동자 농민 해방이 있는 데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계급 해방을 위해 강력한 투쟁과 집단적 연대를 강조한다. 송계월이 평론이나 칼럼을 통해 계급주의적 사고의 민낯을 드러냈다면, 소설은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창작 정신으로 하여 강력한 계급의식과 투쟁의식으로 무장한 프로문학적 성격을 지닌다. 르포적 형태의 수필에서는 노동 현장에서 발생하는 폭력을 다루거나, 노동자에 대한 사회적 억압을 묘파(描破)하거나 함경도 여성들의 강인한 생활력을 점묘하는 가운데 제국에 저항하는 여성적 지향을 제시하기도 한다. 송계월의 문학 서사는 계급주의적 현실을 진단하고 이를 타파하기 위해 프롤레타리아의 강력한 결속과 투쟁을 강조하는 선동성과 정론성을 갖는다. 송계월의 삶과 문학은 당대 신여성들의 갖가지 모습을 압축하는 전형이었다. 신학문과 새로운 문물에의 동경, 식민지 조선 현실에 대한 고민, 민족주의 운동으로서의 투사, 여성의 사회진출, 여성의 자기표현으로서의 창작행위, 여성을 둘러싼 소문 등은 고스란히 그녀의 삶과 작품 속에 녹아 있다. 그러므로 송계월의 ‘겹’서사는 식민지 과도기를 살아낸 한 신여성의 미시사가 아니다. 신여성이라는 존재론적ㆍ사회적 근거를 바탕으로 현실을 냉철하게 인식하고, 당대와 길항하였다. 이것이 굵직한 식민지 역사와 겹쳐질 때 송계월의 삶은 식민지 여성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Kim EunHa pp.181-204
초록보기
Abstract

이 글은 50년대 신문소설이 시민적 연애 공론장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을 주목했다. 근대적 시민의 사생활 영역, 즉 가족을 만들어가는 시험 무대의 성격을 갖는다는 점에서 연애는 결코 가벼운 소재가 아니다. 계몽된 가족은 근대적 공공영역, 즉 시민사회의 핵심 요소이다. 근대는 가족의 승리라 칭할 만큼 가족을 보편적 삶의 양식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가족이 근대적 세속화 과정에서 행복의 표상이 된 것과 관련이 있다. 침실의 자유를 향유하는 한편으로 도덕적으로 가족을 통치하는 개인, 자신의 욕망을 긍정하고 적극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면서도 무분별하게 욕망을 추구하지 않는 시민은 새로이 부상하는 계급의 표상이었다. 50년대 신문소설은 이렇듯 ‘사적 영역’ 발견을 중심으로 근대 가족의 가치와 이념에 관한 규범을 만들어 나간다. 50년대 신문소설은 구질서의 가족을 해체하고 새로운 가족의 탄생이 이루어지는 거대한 실험의 장소였다. 연애는 시민사회의 보편적인 가치와 개인적인 욕망 간의 충돌을 비판적으로 화해시키기 위한 것, 즉 개개인의 삶 속에 사회의 이상들을 통합시키고 질서의 회복을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제의 혹은 절차의 성격을 띤다. 그러므로 연애는 사적인 관심과 공적인 관심 사이에서 모호한 위치를 차지한다. 또한 연애소설은 연애지침서 혹은 연애계발서이기도 하다. 모범적으로 가족을 이끌어 갈 이상적인 주인공은 누구인가, 결혼 배우자를 선택할 때 주의깊게 지켜봐야 할 것은 무엇인지에 관해 토론하는 장이었다. 도덕적으로 올바르면서도 화락한 가족을 만들어 갈 배우자를 찾는 과정이 바로 연애다. 유혹은 세속적 행복의 성소인 가족을 이끌어 갈 이상적인 동반자가 누구인지를 시험하는 한편으로 이상적인 배우자가 되기 위한 상징적 통과제의로서 50년대 소설의 가장 대중적인 주제이다. 50년대 소설의 주인공들은 스스로를 연애하는 인간으로 선언하고 삼각, 사각 등 복잡다단한 짝짓기의 전장으로 뛰어든다. 그러나 남녀의 연애에 대한 이상은 충돌한다. 남자들에게 연애는 전쟁으로 무너진 가부장제를 재건함으로써 다시 한 번 성의 주도권을 쥐는 것이어서 부유한 독신남이나 이혼 위기의 남자가 타락한 여자의 유혹을 이겨내고 정숙한 여자를 선별해내는 플롯을 취한다. 반면에 여자들에게 연애는 봉건적인 가족 제도 하에서 억눌린 삶을 살아온 어머니들의 인생과 결별하고 가슴 떨리는 새 삶의 무대로 나아가는 위대한 도약의 계기였다. 여성들의 연애소설에 대한 탐식증적 독서와 열렬한 반응은 이러한 판단의 증거이다.

Lee Eun Young pp.205-230
초록보기
Abstract

1950년대 한국문학은 6ㆍ25 전쟁의 상흔 속에서 전쟁의 참혹함에 대한 시적 극복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응 양상은 주지하듯이 전쟁의 참혹함을 극복하기 위한 다양한 시적 실천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전통 서정시와 모더니즘의 양상으로 나눠진다. 김남조와 홍윤숙은 1950년대의 전후의 상흔 속에서 전쟁의 참혹함과 절망의 고통을 시적으로 극복하려한 대표적인 여성시인이다. 김남조와 홍윤숙의 1950년대 시는 그들이 처해있는 전후현실을 슬픔의 정조로 드러낸다. 김남조의 1950년대 시는 전후의 시대적 폭력성 앞에서 사랑이라는 평범한 삶에 대한 열망조차 이룰 수 없는 슬픔을 나타낸다. 김남조에게 다가온 사랑의 시대적 불가능성은 슬픔으로 남아 비애를 느끼게 한다. 하지만 김남조는 타자와의 사랑을 이루지 못하는 현실을 견디며 슬픔을 애도하는 모습을 기도의 어조로 보여준다. 홍윤숙의 1950년대 시는 전후의 현실에서 오는 상실의 슬픔을 고향의 상실을 통해 드러낸다. 홍윤숙의 시에서 고향은 자기와 동일시되는 공간으로 작용하는데 홍윤숙은 나르시시즘적인 우울을 나타낸다. 이는 슬픔을 극복하지 못한 우울의 양상을 보이며 비극적인 전후의 현실을 드러내는 객관적인 지표로 작용한다. 이렇듯 김남조와 홍윤숙의 1950년대 시에 나타나는 슬픔과 우울의 정조는 절망 속에서 시로 현실의 위기를 표현하는 방법이 된다. 이는 체험에 의한 절박함과 시대적 감정의 적극적인 표현으로 작용한다.

kimNanhee pp.231-268
초록보기
Abstract

본고는 1980년대 여성시들이 당대의 억압적 상황에서 남성 중심의 사회적 참여시와는 또 다르게 현실에 저항하고, 다양한 방법론 차원에서 시적 담론을 주도하였다는 것을 밝히고자 기획된 것이다. 따라서 그동안 논의되어 온 여성주의적 입장이나 주제론적인 차원과는 달리 1980년대 여성시 주체들의 정치적, 사회적 인식이 시적 담론으로 어떻게 드러나는지, 그리고 그 시적 담론을 이끌어내는 형식적 매개인 ‘웃음’은 어떠한 시적 효과를 낳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는 ‘끔찍한 근대’로 불리우는 1980년대의 정치적 폭압기 속에서 현실에 대한 ‘정치적 저항’이 남성 시인들만의 전유물이 아니고, 그들과는 또 다르게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 현실 감각을 펼쳐내는 여성시 주체들의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했음을 보여주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할 것이다. 고정희의 경우는 마당굿이라는 민중적 축제형식을 통해 지배계급을 조롱하는 카니발적 언어유희와 공동체적 웃음을 통해 정치적 응징의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최승자는 환멸의 웃음을 통해 현실의 모순에 대한 부정과 위반, 저항을 드러낸다. 특히나, 시대의 ‘가위눌림’에 대한 방법적 저항으로서의 유머와 아이러니는 당대의 권위와 거짓, 부패와 억압에 대항하는 독특한 장치로 기능을 한다. 마지막으로 김혜순은 의식적으로 웃음을 차용하고, 웃음은 그의 현실인식을 견인하는 일종의 방법론으로 뚜렷하게 기능을 하는데, 주로 펀(pun)이나 통사파괴 등을 통한 표층적 차원에서의 언어유희 양상은 현실의 억압을 놀이로 변형시킴으로써 현실적인 외압의 무게를 줄이는 시적 장치로 나타나고 있으며, 환상적 언어유희를 통해서는 현실의 무거움과 공포를 가볍게 하는 시적 효과를 보여준다.

kim Soon-A pp.269-306
초록보기
Abstract

이 글은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빈 몸’의 윤리와 감각화 방식을 이수명, 조용미의 시를 중심으로 읽었다. 이들 시의 ‘빈 몸’과 ‘감각화 방식’에 주목한 것은 여성시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주로 페미니즘을 토대로 전개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성시의 ‘몸’은 동양의 노장사상에서도 얼마든지 찾을 수 있다. 노장사상에서 ‘몸’은 세계의 기원이자 최고 인식의 자리로서 도(道)를 의미한다. 도(道)는 너무나 큰 것이기에 ‘텅 비어 있다고’ 할 수밖에 없는 자연/ 여성과 같은 것으로 두 시인의 시에서는 몸의 감각으로 드러난다. 이수명의 시는 ‘보이는 감각’이 지배적이다. 그의 시에서 ‘보이는 감각’은 서경(敍景) 그 자체로 제시되는 이미지로서의 관념을 표상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 의해 개념화되기 이전, 날것으로서의 자연을 표상한다. 자연은 문명 이전의 야생, 즉 인간의 관념이 개입되기 이전의 세계이자 ‘빈 중심’으로서의 도(道)의 세계와 같다. 도는 유(有)와 무(無)가 상호 공존하며 끊임없이 이어지는 시원(始原)의 세계이며, 모든 존재는 스스로의 형상과 행위 자체로 의미화된다. 이러한 제시방법은 시적 자아의 관념을 비움으로써 대상을 ‘전적’으로 살려내는, 무위(無爲)의 윤리를 구현한다고 볼 수 있다. 이와 달리 조용미는 시각뿐 아니라 다양한 감각을 활용한다. 그는 대상을 바라보는 데서 그치지 않고, 손의 촉각과 청각을 빌려 대상을 감지하고 수용한다. 그리고 이에 따른 상념을 고정된 질서나 논리적 언어를 벗어나는 글쓰기로 전개하고 있다. 이는 작은 것으로 더 큰 우주를 만나려는 노장적 소요유와도 맥이 닿아 있다. 노장에서 소요(逍遙)는 정신적 자유를 의미하며, 그것은 수양의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그 과정을 시인은 대상의 몸과 부대낌을 통해 드러내는데, 이때 몸의 이동과 변화는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는 결국 참된 나(我)를 회복함으로써 얻어지는 자유를 향한다고 할 것이다. 두 시인의 시는 관념어보다는 구체적 사물을 시각이나 청각, 촉각 등으로 수용하여 노장적 사유를 표현했다는 점에서, 이미지만 제시한 근대(모더니즘)적 정신을 뛰어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의 시는 90년대 이후 여성시의 발전에 큰 역할을 담당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pp.307-318
Koo Gi Yeon pp.319-329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