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In Korean traditional narratives, one can find a narrative pattern where a woman, rejected by a man, becomes a vengeful spirit and inflicts harm upon the male counterpart. In this paper, the focus is on three representative narratives: 〈첫날밤 소박맞은 신부〉(The Bride Who Was Beaten on the First Night), 〈조월천과 상사뱀〉(Jo Wolcheon and Sangsa Snake), and 〈신립장군과 원귀〉(General Shin Rip and the Vengeful Ghost). By examining these narratives, the paper investigates the structure of revenge narratives consisting of causal and retaliatory events. It also explores how the existential and relational attributes of the female protagonist change within each sequence. The revenge narratives of female spirits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address problems that arise due to the existential attribute of “woman” as a fixed and essential characteristic. Through the concept of narrative identity, the paper argues that these narratives transform the very essence of this existential attribute into a vengeful spirit, thereby forming a new relational attribute and attempting to resolve the issue through the process of forming new relationships. The revenge narratives of female spirits highlight that revenge actions could only be attempted after taking on the form of spirits, and the acts of repayment were aimed at neutralizing the social status of the male counterpart, emphasizing the sexual political significance.
1990년대 전경린의 소설은 주부의 ‘불륜’을 주요 소재로 삼아, 섹슈얼리티로 기존 삶에 반란을 꾀하는 여성을 그려내 왔다고 할 수 있다. 1999년에 발표한 『내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은 전경린이 「염소를 모는 여자」 이래 계속해서 주부의 불륜을 소재로 하여 작품을 써냈기에 이제는 새로울 것이 없다는, 즉 그녀의 ‘위기’를 증명하는 소설로서 불리기도 했다. 본고에서는 이때 전경린이 “간통은 진부하다”는 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어째서 다시 주부의 섹슈얼리티를 소재로 하여 작품을 써냈는지를 고민한다. 가리어진 여성들, 다시 말해 이 소설에서후경화된 여성들이 어쩌면 힌트를 줄 수 있겠다는 생각에 다다랐을 때, 범죄에연루된 두 여성 은연과 부희가 눈에 띈다. 단행본에 이어 소설의 신문 연재본까지를 참고로 하여 이들 여성의 서사를되짚어봄으로써 본고는 가정 내 여성이 지금까지도 쉽게 법에 의해 범죄의 ‘가해자’로서 위치 지어지는 현실과 이 소설이 맞닿아 있다는 점을 초점화해 바라본다. 지금, 여기와도 크게 동떨어져 있지 않은, 1990년대 한국 사회 내 ‘여성 범죄’ 의 정치학을 노출하는 이 텍스트는 이렇듯 가정 내 여성이 쉽게 ‘가해자’로 내몰리는 상황이 섹슈얼리티의 “몰수”로부터 비롯되었다는 판단과 이어진다. 곧 본고의 관점에서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은 “여성의 쾌락적 삶의 평등성” 의 획득을 위해, 무엇이 여성에게 ‘고통’을 주고 무엇이 여성에게 ‘쾌락’을 주는지, 미흔의 식으로는 “개인적인 모랄”들이 끊임없이 공유되도록 하는 것이 ‘여성범죄’를 판결하는 이전과는 다른 광경을 선사할 것임을 역설하고 있다.
Byeongangsoega and Dendongeomiwhajeonga are juxtaposed due to their similar narrative involving a female character who experiences the repeated loss of her husband and subsequent involvement with a new partner. This study focuses on the narratives of Ongnyeo in Byeongangsoega and Dendong-eomi in Dendongeomiwhajeonga, and compares them from a new angle, moving beyond hierarchical evaluations of them and considering more various dimension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women’s relationships with their respective communities shows that the disparities between Ongnyeo and Dendong-eomi do not stem solely from their respective “inclinations” but are closely tied to the “conditions” that contextualize them. Their conditions are intricately intertwined with the aesthetics of the text as well: the aesthetics of discomfort in Byeongangsoega and the aesthetics of harmony in Dendongeomiwhajeonga. It is because these aesthetics are closely linked to whether a female character who experiences the repeated loss of her husband and then remarries—in other words, one who deviates from the social norms of the late Joseon period—is excluded from the community or not. Building upon this analysis, this study seeks to reposition Byeongangsoega and Den dongeomiwhajeonga as significant sites for contemplating the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boundary of the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modern female subjectivity portrayed in the novels of Kim Myung-soon through Judith Butler’s theory of ethical subjectivity and to highlight its value. Butler argues that the violence of ‘abstract universality’ should be exposed, and an imperfect subject as a ‘vulnerable singularity’ must assume responsibility through ‘giving an account of oneself’. The modern female subjects in Kim Myung-soon’s novels experience objectification through the normative violence of modernity and undergo various forms of tangible and intangible violence. They encounter experiences where their own and others’ bodies are projected through violence, and they constantly fail in their efforts to justify their conditions of emergence, thus confronting alterity within themselves. In confronting alterity, these modern female subjects do not conceal their ‘passivity,’ ‘sensitivity,’ and ‘responsiveness,’ but rather express them openly. This takes the form of writing letters (Turkey(Chilmyeonjo)), being aware of their dependency on others and recognizing the possibility of solidarity with other women (‘Looking Back’), or contemplating relationality through literature and reconfiguring the subject (‘Tansil and Joo Young’). The ethical discourses enacted by modern female subjects as imperfect subjects reveal the necessity to revisit the excluded subject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give mean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elodrama as a form of representation of moral life in capitalist society in Jang Deok-jo’s novel 『Raging Waves』, which variation corresponds to the social reality of the late 1950s. In that the character composition of good and evil, the narrative centered on dramatic situations, and the suspense of crime and conspiracy are realized, 『Raging Waves』 follows the melodramatic representation style, but it is differentiated from typical melodrama in that it appears to be a narrative of suffering for the heros(male subjects). It follows the patriarch ethical structure in the melodrama in that it demonizes women with desire, but it is differentiated in that these women are not punished. Men’s gaze represents the visual power that stigmatizes women while looking at women. In 『Raging Waves』, the sensational conspiracy and violence of Chu-ryun invert the structurally given visual power and serve as an opportunity to criticize the superior voice of the empire that benefits. The melodramatic devices such as ethical polarization and sensational suspense in 『Raging Waves』 are linked to the anxiety surrounding the aid economy of the present age and the prospect of a desirable ethics beyond that. The ending in which Park Chang-ryeol’s aid is given as a price for self-reliance, not love, corresponds to the demands of intellectuals at the present age who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economic self-reliance (reconstruction) through Western (imperial) aid in the late 1950s. The narrative of the partron romance between Han Eun-joo and Park Chang-ryeol, Park Chang-ryeol’s death, and independence through property inheritance draws a fantasy prospect of self-sufficiency, self-support, and reconstruction of the bankrupt Korean economy.
1960년대는 여성 일반을 위한 대중 공론장이 마련됨에 따라, 경제적으로 그리넉넉지 않은 서민 여성들이 ‘주부’라는 이름의 문학 행위자로 편입될 수 있었던시기였다. 당대 가난 극복 수기의 한 종류인 ‘생활수기’라는 새로운 여성문학 장르가 그 소산이라 할 수 있다. 1930년대 이래 여성문학이란 연애와 결혼과 관련된 자신의 개인사를 두고생겨나는 ‘비애’와 ‘번민’을 지극히 과잉된 감상성으로 묘사하는 문학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그러나 ‘생활수기’의 주된 행위자층인 서민 여성들은 그간 문학적제재로서 적합하지 않다고 간주되어왔던 세속적인 일상생활을 사실적으로 재현했으며, 고된 생활고 속에서도 억척스러운 생활의 의지와 현실 세태에 대한 강한비판을 보인다는 특징이 있었다. 아울러, ‘생활수기’에서 여성의 무력함과 취약함은 남성과 종속적인 성적 관계를 맺어야만 하는 당위적 전제로서 인식되기보다, 다른 여성과 연결되어야 하는 이유가 되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생활수기’의성격은 특히 가난의 고통을 그 제재로 다룰 때 전국민적인 감동을 자아냈다. 이처럼 ‘생활수기’는 서민 여성들로 인해 기존의 여성문학과 변별되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을 보이는 여성문학이 출현할 수 있었음을 징후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근대화와 경제개발이 1970년대를 전후한 여성문학의 변화를 이끈 결정적계기가 되었다고 추측해볼 수 있게 해준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 먹기도 하지만 음식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기도 하고, 경험과문화를 공유한다. 하지만 “음식의 성정치”에서 고기는 남성의 지배 관점에서 여성을 소외시키고 주변화하면서 동물과 같이 대상화한다. 이에 채식주의–페미니즘 이론은 여성에 대한 구조적 차별과 동물에 대한 억압적 구조를 연결하여 지배구조에 대한 반성을 요구하고 억압에 대항하고자 한다. 하지만 채식–여성, 육식– 남성은 오히려 음식의 성정치의 이분법과 결합해 왜곡된 이원론을 강화하는 결과를 낳는 위험성을 내포한다. 즉 필수적인 ‘식’생활이지만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서 생산해 낸 채식과 여성(유약함, 부드러움, 순응적 등)에 대한 왜곡된 담론이 강화되면서 채식과 여성의 비주류적 연대라는 성향이 두드러질 수 있다는 것이다. 더불어 채식과 페미니즘을 연결하는 것에 있어서는 다양한 근거와 이론적자료가 있음에도 실제적으로 채식을 하지 않거나, 육식을 하는 여성들은 소외되고 설명되지 못한다. 본고의 연구주제는 이러한 부분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된다. 여성의 육식은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 것인가? 에 대한 답을 채식주의 주인공이육식을 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영화 〈RAW〉를 통해 찾고자 한다. 채식주의자로서 소외된 존재에서 가부장제 질서 문화와 남성적 학교 구조에 대항하고자 할수록 주인공은 육식에 눈을 뜨고 나아가 인육을 욕망한다. 영화는 육식과 여성은반대에 위치해 있을 것이라는 이원론적인 텍스트들을 해체함과 동시에 ‘여성의육식’을 왜곡된 이원론이 만들어낸 표상으로서의 여성과 억압과 폭력적인 구조속에서 대항하고 있는 것으로 의미화 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처럼 ‘여성의 육식’을 의미화 할 수 있는 텍스트의 발견은 곧 음식과 성정치에 있어서 주류의 대항으로 비주류가 아닌 새로운 담론으로 “여성의 육식”을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