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여성작가의 전쟁 체험 장편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와 ‘딸의 성장’ 연구―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과 박완서의 나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spects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 and 'Growth of Daughter' in Fair and Battlefield of Park Gyeong-Lee and Bared Trees of Park Wan-Seo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5, v.0 no.13, pp.311-336
박정애 (강원대학교)

Abstract

모녀관계와 딸의 주체 구성이 서사의 주된 줄기를 형성하는 모계 문학이라는 점에서 박경리와 박완서의 작품은 ‘고향 상실 시대의 부계문학’으로 범박하게 총칭할 수 있는 남성 작가의 전후소설에 대비되는 바 있다. 부계문학이 신화적 모성 혹은 모성적 유토피아를 추구하는 경향을 보인다면, 『시장과 전장』과 『나목』은 모성적 헌신과 아울러 허위와 기만, 소유욕과 광기를 포함한 모성의 실체를 소설화함으로써 모성을 탈신화화한다. 『시장과 전장』에서 어머니 윤씨는 자식의 양육자 ․ 보호자로서의 어머니라는 정체성으로밖에 자기를 재현할 수 없기에 딸을 영원히 피양육자의 자리에 묶어두려 한다. 딸은 어머니의 희생과 헌신에 대하여 적절히 보답하지 못하고 있다는 죄의식에 묶여 자기 인생의 주체로 성숙하지 못한다. 윤씨의 경우와 달리 『나목』에서 이경의 어머니는 ‘아들의 어머니’로서의 가부장제적인 제한된 정체성에 집착하는 인물이다. ‘아들의 어머니’이기만 한 어머니로부터 상처받은 딸은 살아 있음에 대한 죄의식이라는 일종의 정신적 질병에 걸린다. 한국전쟁과 남성 가장의 죽음이라는 사건은 가부장제하에서 제도화된 모녀관계에 은폐되어 있던 모순을 노출시키고 새로운 형태의 관계 정립을 강제하는 극적 계기가 된다. 전쟁으로 인한 수난상황이 심각해질수록 지영은 생명의 힘을 신뢰하게 되고 어린 자식들에 대하여 강한 모성애를 발휘한다. 그 와중에 일어난 어머니의 죽음은 역설적으로 딸의 어머니 되기의 여정을 완성시킨다. 한편 『나목』의 어머니는 현실과 삶을 부정하고 환상과 죽음 충동 속에서 목숨을 이어간다. 어머니의 모성애 시나리오 안에는 가부장과 아들의 자리만 있고 딸의 자리가 없다. 마침내 어머니가 죽자, 이경은 어머니의 죽음이 자기 때문이라는 가상 시나리오를 만들어 보지만, 곧 ‘아들의 어머니’에 집착하는 모성애이거나 무한히 이타적이고 희생적인 모성애이거나 간에 이데올로기적 허상 내지는 거짓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고가(古家)의 해체를 통해 한 번 더 이루어진 어머니의 죽음을 바라보면서 이경은 낡은 주체를 허물고 새로운 주체를 구성하기 위한 제의적 고통을 느낀다. 어머니가 죽은 이후에야 이경은 내면의 은밀한 통증을 기제로 글쓰기라는 도구를 통해 죽은 어머니와 청춘의 통과제의를 호출한다. 자기 안의 통증으로 존재하는 어머니의 몸이, 상징적 아버지와 남성 연인들이라는 ‘글쓰기 팰러스(writing phallus)’를 대체하고 작가로 하여금 글쓰기에 이르도록 한 것이다.

keywords
모녀관계, 주체 구성, 전쟁, 모성, 어머니, 통과제의, 성장, 아들의 어머니, 어머니 되기., mother-daughter relationship, formation of subjectivity, warfare, motherhood, les rites de passage, growth, mother of son, becoming mother.

참고문헌

1.

(1999) 시장과 전장, 나남출판

2.

(2001) 한국 전쟁과 주체성의 서사 연구,

3.

(1996)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사랑과 이념의 두 구원 ,

4.

(2002) 박완서의 나목론 - 치유와 복원의 소실점 ,글쓰기, 국학자료원

5.

(2001) 박완서 문학 길찾기, 세계사

6.

(2003) 박경리의 시장과 전장에 나타난 ‘개인의식’ 연구,

7.

(2001) 박완서 소설의 서술성 연구 ,

8.

(1991) 「ꡔ시장과 전장ꡕ의 이념 검증」 ꡔ한국의 전후문학ꡕ,

9.

(1999) 모성의 사회적역사적 구성 - 조선 전기 가부장적 지배구조의 형성과 ‘아들의 어머니,

10.

(1999) 박완서 문학에 투영된 625 전쟁,

11.

(1986) ‘The Conception of Engendering The Erotics of Editing’ The Poetics of Gender, Colombia University Press

12.

Difference On Trial’ Poetics of Gender, Colombia University Press

13.

(2000) 가족이야기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책세상

14.

(2000) 전쟁과 사회 우리에게 한국전쟁은 무엇이었나, 돌베게

15.

(2004) 여성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한국전쟁과 젠더,

16.

(2000) 페미니즘어제와 오늘, ^민음사

17.

(1997) 문학과 페미니즘, 문예출판사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