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최인훈 희곡 첫째야 자장자장 둘째야 자장자장 연구― ‘무서운 어머니’ 모티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lay Lullaby for Two Siblings by Choi In-Hoo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5, v.0 no.13, pp.371-392
정우숙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여성주의 관점에서 한국 연극을 분석하는 작업은 일정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나 아직 그 대상 작가나 작품을 선택하는 데 있어 한계를 보이고 있어 연구의 폭을 넓히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최인훈은 한국 현대 희곡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에 대한 연구 성과도 축적되어 있지만 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연구 성과는 드문 편이며, 특히 첫째야 자장자장 둘째야 자장자장은 그의 희곡 중 가장 연구가 덜 된 짧은 분량의 시극이다. 이 희곡은 ‘해와 달이 된 오누이’ 이야기를 패러디한 것인데, 이 작품에서 엄마는 호랑이 앞에 주저없이 아이들을 먹이로 내주는가 하면 그녀 스스로 호랑이로 변신하여 아이들을 쫓아오는 등 충격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최인훈은 이야기 소재 자체에 내재된 ‘무서운 어머니’ 모티프를 적극적으로 재창조하여 무의식적 상상력 속의 낯선 모성상을 표면화시킨다. 또한 극형식상으로도 침묵과 생략의 비중을 높여 일반적 극작 문법을 해체함으로써, 환상적 전복성을 통해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연계시킨 연극적 잠재성의 새 영역을 펼쳐 보였다.

keywords
최인훈, 첫째야 자장자장 둘째야 자장자장, 무서운 어머니, 민담의 패러디, 연극적 잠재성., Choi In-Hoon, Lullaby for Two Siblings, ‘Terrible Mother’ motive, parody of folk tale, theatrical potentiality.

Abstract

Analyzing Korean dramas from a feminism has gotten good result. But it has still limits in selecting that kind of plays and playwrights. It is ripe for widening the breadth of such studies. Choi In-Hoon takes a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dramas and studies for him is accumulated. However, studies from feminism is rare. Especially Lullaby for Two Siblings is a short poetic play which has least interest among Choi’s plays. It’s origin is fork tale ‘siblings becoming sun and moon’. In this play, mother gives her two children to a tiger and runs away, so the siblings fall a prey to tiger. But the siblings open sleeping tiger’s mouth and escape there going across creeks and uphills. They arrive home. Mother is there with a tiger. Two children glance furtively at mother who changes slowly into another tiger. So they run away and two tigers chase them. Children wonder whether their mother deserves a good rope. They keep running. They keep dreaming this kind of nightmare and their mother takes care of them. This play shows the motive of ‘Terrible Mother’ which overthrows general conception for motherhood. This motive becomes the basis of unconscious imagination in this play. It also has a mode given much weight in silence and omission, which dissolves general dramaturgy.

keywords
최인훈, 첫째야 자장자장 둘째야 자장자장, 무서운 어머니, 민담의 패러디, 연극적 잠재성., Choi In-Hoon, Lullaby for Two Siblings, ‘Terrible Mother’ motive, parody of folk tale, theatrical potentiality.

참고문헌

1.

(1992) 첫째야 자장자장 둘째야 자장자장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문학과지성사

2.

(2004) 한국 현대 희곡과 여성성/남성성, 연극과인간

3.

(1998) 한국문학과 모성성, 태학사

4.

(1999) 페미니즘과 한국연극, 삼신각

5.

(2004) 21세기 한국 여성 연출사와 미학, 푸른 사상

6.

(1996) 한국희곡과 여성주의비평, 집문당

7.

(2003) 여성의 재현을 보는 열 개의 시선, 집문당

8.

(1995) 한국민담의 심층분석-분석심리학적 접근, 집문당

9.

(1986) 우리 문학은 어디에서 왔는가,

10.

(1999) 한독민담비교연구, 집문당

11.

(1990) Feminist Theories for Dramatic Criticism The University of Michigan , 현대미학사

12.

(2000) Objects of Desire in Modern Narrative 육체와 예술, Harvard University Press 문학과지성사

13.

(1999) The Feminist Spectator as Critic The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여성주의 연극 이론과 공연, 한신문화사

14.

(2001) The Literature of Subversion , ^Routledge

15.

(1997) 문학과 페미니즘, Blackwell Publishing Co 문예출판사

16.

(19761995) Of Woman Born-Motherhood as Experience and Institution 더 이상 어머니는 없다-모성의 신화에 대한 반성, Norton&Company Inc

17.

(19941995) The Myths of Motherhood-How Culture Reinvenys the Good Mother 어머니의 신화, Houghton Mifflin Company

18.

(1999) Encyclopedia of Feminism,

19.

(2004.10) 한국희곡의 정신분석적 읽기 ,

20.

(1995) 웅녀 ‘신화’ 다시 읽기-페미니즘적 독해, 개문사

21.

(2004) 연극치료의 극작술 연구-최인훈 희곡을 중심으로,

22.

(2002하반기) 특집-최인훈, 깊은샘

23.

(1988190~198) 원형적 여성과 대모 페미니즘과 문학, 문예출판사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