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조선시대 여성의 감정노동과 서사적 미러링을 통한 ‘이비 신화’의 문제 공유 : 「옥환기봉」과 「한조삼성기봉」을 중심으로

Women’s Emotional Labor and “Two Good Queens Myth(二妃神話)” in Chosŏ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6, v.0 no.38, pp.7-40
김수연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이 글은 아내와 여성에게 부여된 직무를 규범으로 바라보던 기존 시각을 벗어나, 노동 이행으로 보고자 한다. 이러한 관점은 여성의 직무를 공공의 영역에 속하는 문제로 바라보게 하고, 그것에 대한 사회의 책임을 논의할 수 있게 할 것이다. 이는 ‘이비 신화’에 복무하는 것이 당연직이 아닌 선택직이라는 점, 또한 그것이 개인 차원에서 감당해야 하는 의무의 영역이 아니라 공동체가 함께 해결해야 할 협업의 영역임을 주장하고 입증하는 작업이다. 전통적 여성과 아내의 직무를 바라보는 시선은 오늘날 젠더화된 역할 고정 문제와 연결되기에 개인의 자질이 아닌 사회적 시스템의 문제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특히 아내와 여성의 직무에 침윤된 감정노동 중 자기감의 확대가 차단된 표면행동에 주목하여 노동과 관련한 여성의 ‘현실’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상상적 전망과 현실적 실천은 새로운 자기서사를 구축하는 두 날개이다. 소설적 상상력은 실존했던 익명 여성의 개인적 경험과 여성 집단의 사회적 역사가 결합된 것이다. 대안적 상상과 그것의 용기 있는 발화는 삶의 질을 바꾸는 변혁의 기본 조건이다. 이 글이 여성을 통제 대상화했던 조선시대에 여성들이 제안했던 소설적 상상력을 주목한 것도 이 때문이다. 논의 진행 과정에서 서사기법으로서의 ‘미러링’과 사회학의 ‘감정노동’, 자기심리학의 ‘자기감’과 문학치료의 ‘자기서사’ 개념을 중요한 성찰도구로 활용하였다.

keywords
Emotional Labor, Mirroring of Narration, “Two Good Queens Myth”, <Okhwan kibong(玉環奇逢)>, <Hancho Samsŏng kibong(漢朝三聖奇逢)>, 감정노동, 서사적 미러링, 이비 신화, 「옥환기봉」, 「한조삼성기봉」

Abstract

Shrugging off the conventional viewpoint that considers women's duty as a norm, we see it as a performance of labor. This view makes us regard women's duty as the problem of public domain, and discuss social responsibility of it. This claims that serving for 'Two Good Queens Myth' is not the official but the selective, and also is not the area of an individual duty but that of collaboration of community. The way looked at the duty of traditional women or wives, which is in line with the fixed role problems gendered today, should be reviewed as the problems of a social system, not that of a person's qualifications. Especially, in emotional labor permeated the duty of women and wives, paying attention to a surface behavior that the spread of their sense of identity is blocked, we need to try to understand the women's reality related with labor. Imaginative prospect and realistic practice is two wings that construct a new self-epic. Fictional imagination is the combination of personal experiences which a real anonymous woman made and a social history of a female group. Alternative imagination and courageous revelation is a basic condition for changing the quality of life. This is why this paper is focused on fictional imagination that women in Chosŏn dynasty where people controlled women has proposed. On the process of discussion, we made use of 'mirroring' as a narrative skill, 'emotional labor' of sociology, 'the sense of identity' of self psychology, and 'self-epic' of literary therapy as important introspection tools.

keywords
Emotional Labor, Mirroring of Narration, “Two Good Queens Myth”, <Okhwan kibong(玉環奇逢)>, <Hancho Samsŏng kibong(漢朝三聖奇逢)>, 감정노동, 서사적 미러링, 이비 신화, 「옥환기봉」, 「한조삼성기봉」

참고문헌

1.

옥환기봉, 규장각본.

2.

한조삼성기봉 장서각본.

3.

禮記

4.

詩經

5.

이남규, 수당집, 고전번역원.

6.

김미현, 번역 트러블, 이화여대출판부, 2016, 19쪽.

7.

윤혜린, 여성주의 리더십, 이대출판부, 2007, 24~25쪽.

8.

앨렌 시걸, 권명수 역, 하인즈 코헛과 자기심리학,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102~106쪽.

9.

앨리 러셀 혹실드, 이가람 역, 감정노동, 이매진, 2009, 17~21쪽.

10.

강혜선, 조선후기 사족 여성의 경제활동과 문학적 형상화,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4, 189~219쪽.

11.

구선정, 『옥환기봉』의 인물 연구-역사인물의 소설적 재현, 이화여대 박사논문, 2011, 1~138쪽.

12.

김경미, 조선후기 여성의 노동과 경제활동: 18-19세기 양반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28권 4호, 2012, 85~117쪽.

13.

류태모ㆍ위희경ㆍ정현우,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감성리더십과 임파워먼트의 조절효과, 인적자원관리연구 제21권 제3호,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4, 435~460쪽.

14.

이승복, 『옥환기봉』연작의 여성담론과 소설사적 의미, 고전문학과 교육 12,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6, 283~322쪽.

15.

이승복, 『옥환기봉』의 역사수용 양상과 그 의미, 한국문학논총 50, 한국문학회, 2008, 141~182쪽.

16.

이승복, 『옥환기봉』의 인물형상과 작가의식, 고전문학과 교육 15,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463~499쪽.

17.

이정옥, 돌봄노동의 사회화와 감정노동, 사회과학논총 제11집, 2012, 91~109쪽.

18.

임치균, 『옥환기봉』연구, 한국사상과 문화 18, 한국사상문화학회, 2002, 27~50쪽.

19.

임치균, 『한조삼성기봉』연구, 정신문화연구, 제26권 제3호 통권 92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3, 3~30쪽.

20.

임치균, 18세기 고전소설의 역사수용 일 양상- 『옥환기봉』을 중심으로, 한국고전연구 8,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131~162쪽.

21.

임치균, 사랑과 갈등에 대한 남성의 시각 뒤집어 보기: 옥환기봉 과 한조 삼성기본을 중심으로, 고전여성문학연구 9, 고전여성문학회, 2004, 169~195쪽.

22.

임치균, 취미삼선록 연구- 옥환기봉, 한조삼성기봉 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고전문학연구 30, 한국고전문학회, 2006, 351~378쪽.

23.

임형택, 17세기 규방소설의 성립과 <창선감의록>, 동방학지 57, 1998, 103~176쪽.

24.

최기숙, 18세기 여성의 생애사 기록을 통해 본 빈곤의 감성 통제와 여성의 삶, 여성학연구 제32호, 2014, 7~42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