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recall of ‘Sulmundaehalmang’ in Jeju Stone Park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7, v.0 no.41, pp.7-37
Ryu Jeong Wol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본고에서는 제주 돌문화공원의 1코스인 ‘신화의 정원’을 대상으로, ‘설문대할망’ 이야기와 이를 구현하는 돌형상이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살펴봄으로써 돌문화공원을 구성하는 장소감과 장소의 정신을 연구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돌문화공원의 구성요소를 이야기와 돌형상, 즉 언어와 자연으로 분절한 후, 각각의 콘텍스트를 살펴본다. ‘설문대할망’ 이야기의 콘텍스트는 ‘설문대할망’의 다양한 설화 유형이며, 돌형상의 콘텍스트는 제주 탐라목석원이다. 이들을 살피는 것은, 지금 현재 존재하는 돌문화공원의 ‘신화의 정원’이 다른 모습으로 존재할 수는 없었는지 그 대안적 가능성을 가늠하기 위해서이다. 먼저 ‘설문대할망’ 설화 유형을 보면, 이 이야기는 존재 유형, 행위 유형(창조적 행위 유형과 비극적 행위 유형)으로 나뉘며, 신화적, 전설적, 민담적 성격을 두루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가운데 돌문화공원에서는 비극적 행위 유형을 중심으로 ‘신화의 정원’을 스토리텔링 한다. 돌문화공원의 돌형상은 탐라목석원에 있던 것들을 전승하고 있는데, 탐라목석원에서는 돌형상을 통해 구체적이며 일상적인 이야기를 만드는 작업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돌문화공원의 ‘설문대할망과 오백장군’ 이야기에서는 그러한 일상성이나 구체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 결과 돌문화공원에서 언어와 돌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환된 ‘설문대할망’은 일상의 창조성이 탈각된 ‘어머니’로서의 이미지이다. 모성에 대한 감응은 이곳에 부여된 장소의 정신이기도 하고, 관람객들이 인지하는 장소감이기도 하다. 돌문화공원에서 장소감과 장소의 정신은 모성성을 매개로 일치한다. 그리고 본고는 바로 그 점이 돌문화공원에서 가장 아쉬운 지점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허구로는 제주만의 지역성을 살리기 힘들기 때문이다. 돌문화공원의 지역적 정체성은, 설문대할망의 풍부하면서도 다면적 면모를 구현할 수 있을 때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돌문화공원, 설문대할망, 신화, 돌형상, 탐라목석원, 모성성, 도상성, Jeju Stone Park, Seolmundae-Halmang Tale, myth, stone figure, Tamramoksukwon, maternity, iconicity.

Reference

1.

현용준, 「제주도 전설」, 서문문고, 1996.

2.

장주근, 「한국의 신화」, 성문각, 1961.

3.

권태효, 「한국의 거인설화」, 역락, 2002, 40.

4.

송효섭, 「신화의 질서: 도성기호학적 탐구」, 문학과지성사, 2012, 57-153.

5.

조현설, 「우리신화의 수수께끼」, 한겨레출판사, 2006, 148-159.

6.

조현설, 「마고할미 신화연구」, 민속원, 2013, 11-140.

7.

도린 매시, 「공간, 장소, 젠더」, 정현주 역, 서울대학교출판부, 2015, 44-45.

8.

이-푸 투안, 「공간과 장소」, 심승희․구동회 역, 대윤, 2007, 293.

9.

<탐라목석원>, 「두산백과」, DB.

10.

권태효, 「여성거인설화의 자료 존재양상과 성격」, 「탐라문화」 37호,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10, 223-260.

11.

김영순, 「‘강인한 제주 여성 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성공회대 석사학위논문, 2013, 1-85.

12.

문영미, 「설문대할망 설화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1999, 1-90.

13.

박지선, 「테마파크의 스토리텔링 체계」, 학술발표자료, 한국프랑스학회 2007, 177-190.

14.

안승범․최혜실, 「공간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테마파크 기획 연구」, 「인문콘텐츠」 17호, 인문콘텐츠학회, 2010, 279-303.

15.

윤현호 외 2인, 「관광지 스토리텔링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관광연구」 26권 1호, 대한관광경영학회, 2011, 267-286.

16.

이성준, 「설문대할망 설화연구」, 「국문학보」 10호, 제주대, 1989, 53-78.

17.

이창식, 「설문대할망 관련 전승물의 가치와 활용」, 「온지논총」 37권, 온지학회, 2013, 65-98.

18.

이창식, 「설문대할망설화의 신화적 상상력과 문화콘텐츠」, 「온지논총」 30권, 온지학회, 2012, 7-45.

19.

정진희, 「제주도 구비설화 <설문대할망>과 현대 스토리텔링」, 「국문학연구」 17, 국문학회, 2009, 229-254.

20.

조현설, 「마고할미․개양할미․설문대할망: 설문대할망 전승의 성격과 특징에 대하여」,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 2009, 140-173.

21.

현승환, 「설문대할망 설화 재고」, 「영주어문학회지」 24집, 영주어문학회, 2012, 91-118.

22.

황용섭, 「사건과 이미지에 의한 전일적 공간의 장소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1-233.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