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이 글에서 필자는 헤이트 스피치에 대한 한국과 일본의 현황과 대응을 비교하고 논의 방식과 대응책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한국에서 헤이트 스피치에 대한 논의는 몇 년간 꽤 확산되었다. ‘혐오 발화가 무엇인가’라는 개념 정의에 대한 논란 단계는 이제 넘어서 조금은 심도 깊은 논의가 가능한 단계로 진입했다. 한국에서 헤이트 스피치에 대한 대응과 논의는 ‘혐오’와 ‘표현’이라는 두 영역으로 분리되어 진행되는 경향이 있고, 이로 인해 여러 난관을 맞고 있다. 헤이트 스피치나, 차별, 증오 정치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거의 부재한 상태에서 최근 몇 년간 ‘혐오’ 담론이 폭증하였고 헤이트 스피치는 혐오 담론의 일환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헤이트 스피치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진행되지만, 결국 법적 규제에 대한 찬성과 반대, 혹은 규제 강도 등의 문제에 집중되어 있다. 반면 헤이트 스피치에 대한 이론적 탐색은 혐오에 대한 논의나 버틀러의 해석에 대한 논의, 마사 너스바움의 감정과 법에 대한 논의에 주로 의존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헤이트 스피치 연구와 대응은 일본의 식민주의, 차별주의, 배외주의의 역사와 구조, 제도를 탐구하고 그 문제에 대한 이론적, 사회적 대응을 촉구하는 일과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는 헤이트 스피치 연구는 한편으로는 법적 제재 여부에 대한 논쟁에 기울어져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버틀러, 마사 너스바움 등의 정서와 언어 수행성, 언어실천을 강조하는 이론에 크게 기울어져 있다. 물론 이론적 경향은 그 자체로 문제라고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언어 실천에 대한 이론적 기울어짐은 차별의 역사적 구조와 그 특이성에 대한 논의와 균형을 이루거나 보완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헤이트 스피치 논의는 역사와 구조가 사라진 채 법적 판단과 ‘열린 해석 투쟁’의 영역으로 모호하게 축소와 확대를 반복하고 있다.
The paper aims to compare the discussion of 'hate speech' in Korea and Japan. Currently, the debate on hate speech has spread considerably over the years in Korea. The debate over the definition of 'what's 'hate speech' has gone beyond and has entered a phase where a little further discussion is possible. In Korea,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 hate speech is being discussed separately in two areas, 'hate' and 'expression', resulting in a number of problems. Hate speech is often considered a part of hate discourse as there is an explosion of hate discourse in the absence of social debate on discrimination or hate politics. In Korea, various discussions on Hate Speech take place, but in the end, the issue of legal regulations and the opposition to and the severity of regulations will be centered. Theoretical exploration is also focused on discussing the conduct of language, law and emotions. Of course, the problem is not the theory itself that emphasizes language performance or language practice. However, the problem is that the discussion of language, emotions and laws is not balanced with the discussion of the historical structure and specificity of discrimination.
「촛불 시위 이제 그쳐야 한다」, 『한국일보』 사설, 2004년 3월 27일.
강구열·조수영 기자, 「이랜드 社측 ‘맞불시위’」, 『세계일보』, 2007년 7월 31일.
이준택 기자, 「파병 ‘저지’, ‘지지’ 맞불 시위」, 『한국일보』, 2003년 3월 29일자.
권명아, 『음란과 혁명: 풍기문란의 계보와 정념의 정치학』, 책세상, 2013 참조.
모로오카 야스코, 조승미·이혜진 역, 『증오하는 입』, 오월의 봄, 2015.
우에노 치즈코, 나일등 역,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은행나무, 2012, 39쪽.
홍성수, 『말이 칼이 될 때:혐오 표현은 무엇이고 왜 문제인가?』, 어크로스, 2018년
권명아, 「수치스러운 몸의 역사:보이지 않는 역사적 원천과 풍속 통제의 자연화」, 『민족문학사연구』 66호, 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257-288쪽.
권명아, 「신냉전 질서의 도래와 혐오 발화/증오 정치 비교역사적 연구」, 『역사문제연구』 35호, 역사문제연구소, 2016, 11-45쪽.
권명아, 「풍기문란 통제, 입신과 처세의 논리가 되다」, 『주간경향』 1253호, 2018년 11월 12일., 경향신문, 2018.
미류, 「지금 여기, 차별금지법 제정이 필요한 이유」, 『차별금지법 궤도에 올리다』 2018, 발표 자료집, 4-5쪽.
손희정, 「혐오담론 7년」, 『문화과학』 93호, 문화과학사, 2018년 봄호.
이승현, 「혐오 표현에 대한 헌법적 고찰」, 연세대학교 법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5.
이주영, 「혐오 표현에 대한 국제인권법적 고찰:증오선동을 중심으로」, 『국제법학회논총』, 대한국제법학회, 2015, 195-227쪽.
Etienne Balibar, "In War", Open Democracy, 16.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