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위안부’, 그리고 중국 항전문학

'Comfort Women' and Chinese Resistance Literatur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6, pp.432-452
https://doi.org/10.15686/fkl.2022..56.432
장수희 (동아대학교)
Jin, Xing-Hua (南通大学)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제2차세계대전 동안 일본군은 죄악이라 할 수 있는 ‘위안부’ 제도를 실시했다. 이로 인해 한·중·일을 포함한 여러 나라의 수만 명의 여성들이 일본군의 성노예가되어 비참하게 짓밟혔다. 중국 항전문학에는 당시 일본군‘위안부’를 소재로 한작품들이 존재한다. 살펴보자면 이 작품들은 전문 작가 외에 학자, 기자, 고급장교 등 다양한 부류의 당대 인물들에 의해 창작되었고, 장르적으로는 소설, 한시, 르포문학과 가극 등을 포함하며, 내용적으로는 ‘위안부’의 피눈물이 담긴 비참한 생활에 대한 묘사 나아가 ‘위안부’의 저항과 각성에 대한 예찬도 들어있다. 한편 작품의 사상적 측면에서 보면 민족주의를 중심으로, 국제주의, 인도주의적 경향과도 결합된 특징을 드러내며, 일부 작품들은 5.4 신문화 운동 이래의 계몽적 경향을 그대로 갖고 있기도 하다.

keywords
항전문학, 위안부 제재

참고문헌

1.

苏智良·姚霏, 「将还原历史,披露现实,献策未来一肩担起——苏智良教授访谈录[ J ]」, 『甘肃社会科学』, 2011(5).

2.

苏智良, 『慰安妇研究[M]』, 上海:上海书店出版社, 1999, 13쪽.

3.

中岛碧, 「丁玲论[A]」, 『丁玲研究资料[c]』, 天津:天津人民出版社, 1982.

4.

董炳月, 「贞贞是个“慰安妇”——丁玲《我在霞村的时候》解析[J]」, 『中国现代文学研究丛刊』, 2005(2).

5.

陈汉平, 『抗战诗史[M]』, 北京:团结出版社,1995, 172-173쪽.

6.

晋察冀边区第三专区各界抗日救国联合会, 「为狼牙山周围七十余村被敌寇烧杀抢掠奸淫之灾难同胞提起控诉书[N]」(晋察冀边区第三专区行政督察专员公署), 『晋察冀日报』, 1943. 6. 6.

7.

딩링, 김미란 역, 『내가 안개마을에 있을 때』, 창비, 2012년, 28쪽의 번역.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