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AI는 피해자를 대신하여 증언할 수 있는가 : 일본군 ‘위안부’ 피해생존자 증언 활용 AI콘텐츠의 의의와 한계

Can AI Testify on Behalf of Victims? :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AI for Use in Testimonies of the Japanese Army “Comfort Women” Survivor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3, v.0 no.58, pp.295-323
https://doi.org/10.15686/fkl.2023..58.295
임경화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생존자의 증언을 활용한 AI 인터랙티브 증언 콘텐츠 ‘영원한 증언’의 제작, 활용, 효과에 대해 개괄하며 그 의의와 한계를 밝힌다. 전쟁이나 국가폭력의 피해생존자의 증언을 AI기술과 접목시켜 가상 대화를가능케 하는 기술 개발은 홀로코스트 피해생존자들의 증언을 활용한 쇼아 재단의 DiT 프로젝트 등이 존재한다. ‘영원한 증언’은 이러한 국제적인 선례를 이어국내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프로젝트이다. 생생한 모습을 간직한 가상의 증언자와 직접 대화를 나누는 개인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생존자들이 더 이상 증언할 수 없는 시대에 새로운 교육 콘텐츠로서의 활용 가능성을열어주는 의의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콘텐츠는 1차 증인으로서의 피해생존자와 그 증언의 현장을 시공간적으로 공유하며 응답하는 질문자로서의 2차 증인사이의 직접 대화와 달리, 체험자가 피해생존자와 시공간을 공유하지 않으면서가상 대화라는 간접적인 체험을 통해 정서적인 교감을 느낄 때 비로소 3차 증인이 될 수 있는 성격을 띠고 있다. 가상 대화라는 간접성, 증언자와 질문자의 비대칭성 등은 본 콘텐츠가 안고 있는 재현의 윤리 문제에 대한 성찰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keywords
일본군 ‘위안부’ 문제, AI, 영원한 증언, DiT프로젝트, 재현의 윤리, 3차 증인, AI-enabled Interactive Contents, ‘Comfort Women’ Victims, Eternal Testimony, Dimensions in Testimony, representational ethics, tertiary witness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overview of the production, use, effects, and implications of the “Eternal Testimony” project, which is focused on creating AI-enabled interactive content based on the testimonies of Japanese Army “comfort women” survivors. Projects being pursued abroad that enable virtual conversations with survivors of wars or state violence with the help of AI technology include the DiT Project, which preserves the testimonies of Holocaust and Nanjing Massacre victims via AI-enabled interactive content. The “Eternal Testimony” project is the first South Korean project of this kind, and it was influenced by similar projects abroad. This project holds the potential to enable participants to undergo the personal experience of engaging in direct conversion with virtual survivors who appear as if they were with us. This could be of considerable educational value in an era when “comfort women” survivors are no longer able to offer direct, living testimony. However, this virtual content differs from actual conversations between survivors as primary witnesses and their interlocutors sharing the actual space and time of the testimonial act with them as secondary witnesses. Those who come to experience virtual testimonies cannot share the same time and space with the survivors and are, therefore, bound to become tertiary witnesses only as long as they manage to successfully conduct an affective exchange through an indirect medium of virtual conversation. The indirectness of virtual dialogue and the asymmetry between the witnesses and the interlocutor necessitates a reflection on the immanent problems of representational ethics that such virtual content presents.

keywords
일본군 ‘위안부’ 문제, AI, 영원한 증언, DiT프로젝트, 재현의 윤리, 3차 증인, AI-enabled Interactive Contents, ‘Comfort Women’ Victims, Eternal Testimony, Dimensions in Testimony, representational ethics, tertiary witness

여성문학연구